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0. 후복막강 종양 환자에서 대동맥 graft-stent 삽입 / Aortic graft-stent insertion in patient with retroperitoneal malignancy.

양희선 , 김재규 , 윤 웅 , 정상영*
Korean J Interv Radiol 2004;11(1):1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4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외과학교실*
  • 106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증례
40세 / 남자
임상소견
40세 남자 환자가 내원 8개월전 retroperitoneal mass excision과 inverted Y shaped bi-iliac gotex bypass graft를 시행한 후 추가적인 치료 없이 지내다가 다시 복통, 복부 팽대,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CT상 recurred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로 다시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나 복부대동맥에 유착되어 있는 종괴까지는 제거 하지 못하였다.
진단명
Recurred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with obliterated and abutting parent abdominal aorta.
영상소견
초기 CT(Fig.1)에서 복부대동맥을 감싸고 있는 종괴와 종괴 내부로의 조영제의 유출이 보였다. 2차 수술(partial resection) 후 추적 CT(Fig.2)에서 복부대동맥은 patent하지만 종괴가 인접한 bypass graft를 encasement하고 있었다.
Fig. 1
Initial CT shows active bleeding(arrow) from abdominal aorta into the soft tissue mass which is encasing the aorta.
Fig. 2
Post-op followup CT shows an interposed graft(black arrow) in the aortic lumen and huge soft tissue mass(white arrows) which is partially abutting to aortic wall.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고동맥을 통해서 12Fr sheath introducer를 이용하여 20mm 직경-5cm 길이 graft - stent(태웅 메디칼, 서울, 대한민국 ; Dacron graft, 양끝에 각각 1cm 길이의 bare segment)를 infrarenal aorta에서부터 이전의 graft 상방에 약간 겹치게 삽입하였다(Fig.3). 추적 CT에서 graft-stent는 정확히 삽입이 되었고 상장간막동맥과 양측 신동맥은 정상 소견을 보였다(Fig.4 a,b)
Fig. 3
Aortogram after insertion of graft-stent shows a patent SMA(white arrow) and both renal arteries(black arrows).
Fig. 4
A. Followup CT after 2 days later shows a graft-stent within the surgical graft and somewhat decreased soft tissue mass. B. CTA shows a patent SMA(arrow) and both renal arteries.
고찰
Retroperitoneum내에 커다란 종괴가 존재할 때 인접한 retroperitoneal organ을 침범한 경우 여러 가지 증상이나 증후를 나타나게 된다. 대개의 경우 extrinsic compression이나 invasion등에 의한 것으로 수신증, 하대정맥 압박에 의한 하지 부종, 혹은 심부혈전증, 또는 대동맥과 분지부에 미치는 영향으로 하지 허혈이 대표적이다. 또한 악성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나 화학요법에 의한 염증 반응으로 동맥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증례는 복부대동맥을 감싸는 종괴로 외과적 수술로 완전 제거가 불가능 했었고 장차 일어날 수 있는 종괴에 의한 복부대동맥 파열을 좀 더 덜 침습적이면서도 안전하며 효과적인 graft-stent을 삽입했던 예이다.
참고문헌
1. Lee JT, Donayre CE, Walot I, Kopchok GE, White RA. Endovascular exclusion of abdominal aortic pathology in patients with concomitant malignancy. Ann Vasc Surg 2002;16;150-156. 2. Kerwin G, Silverstein M, Lewis C. Percutaneous stent treatment for arterial occlusion caused by retroperitoneal fibrosis. AJR 2000; 175; 1283-1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