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3. 경피적 담도 배액술 시행시 우연히 발견되는 간 내 림프관의 조영 / Hepatic Lymphatics Demonstrated during PTBD

안경식 , 김형래 , 조성범 , 정환훈 , 김윤환
Korean J Interv Radiol 2004;11(1):3.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4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123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Lymphography, Lymphatic system Bile ducts, interventional procedure
증례
57세 / 여자
임상소견
우상복부 통증, 체중감소
진단명
췌장 두부암 간 전이
영상소견
경피적 담도 배액술을 위해 담도를 찾는과정에서 염주 모양의 불규칙한 양상의 선들이 간문부 (hilum) 방향으로 흐르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Fig. 1). 이후 카테터 끝의 위치를 조정한 뒤 정상적으로 간내 담도가 조영된다 (Fig. 2).
Fig. 1
Beaded irregular shaped, multiple lymphatic channels are visualized. They are drained to the region of the liver hilus and extended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liver to the region of the T12 vertebral body.
Fig. 2
After modulation of the needle tip, the bile duct is visualized.
시술방법 및 재료
초음파 유도 하에 22G Chiba needle로 오른쪽 간내 담도 접근을 시도하였다. 처음 조영제를 주사하였을 때 림프관이 조영되었다.
고찰
경피적 담도 배액술을 위해 담도를 찾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간내 림프관이 조영되는 경우가 있다. 림프관은 담도와 마찬가지로 간주변부에서 중심으로 차들어가는 (centripetal) 모양을 보여 간문맥이나 동맥과 쉽게 구별되고 담도에 비해서는 염주 모양의 좀더기복이 심한 형태를 보이며 여러 개의 관으로 나타난다. 간혹 림프관의 밸브가 조영이 되지 않는 선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밖에도 림프관은 담도와 달리 간문부 바깥쪽으로 쉽게 뻗어나가며 T12 흉추까지 이르기도 한다. 간 정맥과는이동 방향과 조영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통해 구별할 수 있다. 간 정맥은 심장 쪽으로 주행하고 조영되는 시간도 몇 초로 짧다. 간에는 크게표층과 심부 림프관 시스템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림프관들은 대개 간문부로 이동되며 주변의 림프관들과 합쳐지거나 림프절로 이동된다. 그 밖에 간 정맥 주변의 림프관들은 간 정맥을 따라 하대정맥 부위로 주행하기도 하고 피막 혹은 피막하의 림프관들은 횡경막 문을 따라 흉곽으로 이 동되기도 한다. 림프액 저류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이런 상황이 좀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 췌장 두부 암으로 인한 간외 담도 폐색 환자 등에서는 림프관이 확장되어 있으므로 좀 더 쉽게 림프관 조영을 볼 수있다. 간내 림프관의 방사선학적 모양과 위치를 파악하여 경피적 담도 조영술 시행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림프관이 조영되었을 때 이를 담도나 간내 다른 혈관들과 구별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하겠다.
참고문헌
1. Okuda K, Sumikoshi T, Kanda Y, Fukuyama Y, Koen H. Hepatic lymphatics as opacified by percutaneous intrahepatic injection of contrast medium. Analysis of hepatic lymphograms in 125 cases. Radiology 1976; 120:321-326. 2. Goldberg HI, Dodds WJ, Lawson TL, Stewart ET, Moss AA. Hepatic lymphatics demonstrated by percutaneoustranshepatic cholangiography. AJR 1975;123:415-419. 3. Percutaneous transhepatic lymphography method to image and treat intra-abdominal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hepatobiliary pancreatic cancer. Surgery. 2002 May; 131(5):5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