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Hydronephrosis
Kidney, interventional procedures
Ureter, stenosis or obstruction
Ureter, stents
임상소견
오른쪽 옆구리의 통증과 발열 및 배뇨장애로 내원하여 방광요관역류에 의한 양측 수신증 및 수뇨관증을 진단받았다. 초음파와 배뇨방 광요도조영상에서 수신증과 수뇨관증의 정도는 우측 신장과 요관이 grade 5, 좌측은 grade 4였다. 이를 방광요관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치료로 양측 요관방광재이식술을 시행 받았으나 수술 후 3일째 문합부위의 협착이 의심되어 경피적콩팥창냄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경로를 이용하여 선행성 double-J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진단명
방광요관 역류에 의한 수신증 및 수뇨관증요 관방광재이식술 후 문합부위의 협착
영상소견
요관방광재이식술 전에 촬영한 배뇨방광요도조영상에서 방 광요관역류에 의해 조영되는 우측 신장의 신우와 신배가 매우 심하게 확장되어있으며요관도 확장되어 꺽여있는 소견이 보였다(grade 5), 좌측 신우 및 요관도 grade 4의 확장소견을 보였다 (Fig. 1).
Fig. 1
Voiding cystoureterogram shows severe hydro-nephroureter of both kidneys and ureters.
시술방법 및 재료
요관방광재이식술 후에 우측 요관과 방광의 문합부위의 협착이 의심되어 수술 후 염증반응에 의해 협착이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우측 신장에 경피적콩팥창냄술을 시행하여8.5 Fr배액관 (DM, Cook, Bloomington, IN, USA)을 삽입한 다음 2일 후 이 경로를 통해 외경 6 Fr, 길이 24 cm의 double-J 스 텐트 (Cook, Bloomington, IN, USA)를 삽입하였다 (Fig 2).
2주 후 방광경을 이용하여 double-J 스텐트를 제거하려 하 였으나 실패하고 인터벤션으로 역행성 제거를 시도하였는데 이 때 double-J 스텐트는 확장되어있는 요관 안에서 말단부위가 처음 삽입한 위치보다는 약간 방광쪽으로 이동되어 있었다 (Fig. 3A). 경피적콩팥창에 삽입된 배액관을 제거하고 8 Fr 피포(sheath)를 삽입하였다. 이를 통해 snare kit (Microvena, White Bear Lake, MN, USA)를 넣어 double-J 스텐트를 제거하려 하였으나 신우 및 요관의 확장이 매우 심하여 double-J 스텐트의 말단부위를 올가미 내로 포획할 수 없었다. 다시 피포내로 Omni Flush catheter (Angiodynamics, Queensbury,
NY, USA)를 삽입하여 제거를 시도하였고, 요관부위에서 새끼 줄처럼 꼬이게(twist)한 후 double-J 스텐트가 신우쪽으로 약 간 이동되었으나 피포 내로 제거 시에는 꼬임이 다시 풀려 실패 하였으나 double-J 스텐트의 위치는 신우쪽으로 약간 더 이동 되었다 (Fig. 3B, C). 새로운 방법으로 인터벤션에 이용되는 철 선을 올가미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계획하고 Safe-T-J curved fixed core wire guides (Cook, Bloomington, IN, USA)의 중간부위를 꺾어 사각형으로 만든 다음 방향조절을 우 해 끝부분을 다시 약 900 각도로 꺽었다 (Fig 4). 이를 피포 내 로 삽입하여 신우 및 요관 내에서 커다란 올가미를 만든 다음 double-J 스텐트를 포획하는데 성공했고 피포 내로 끌어당기 면서 피포와 함께 제거하였다 (Fig 5A, B). 경피적콩팥창에는 다시 8.5 Fr 배액관을 삽입하였다.
Fig. 2
To prevent stenosis of the vesicoureteral anastomosis after ureteral reimplantation for vesicoureteral reflux, antegrade placement of the double-J stent was done via percutaneous nephrostomy tract, which had been made 2 days ago.
Fig. 3. The first trial of removal with an Omni Flush catheter
A. Follow-up image obtained at six weeksafter placement shows migra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double-] stent to medial side (A).
B. Removal of the double-J stent via tract of percu-taneous nephrostomy was tried by twisting with the Omni Flush catheter (B).
C. Although removal was failed because of untwisting between the Omni Flush catheter and the double-J stent, the head portion was migrated to renal pelvis (C).
Fig. 4
Snare made by bending of safe-T-J curved fixed core wire guides.
Fig. 5
Double-J catheter was successfully captured by newly designed snare.
고찰
Double-J 스텐트는 방광요관부위를 침범한 악성종양이나 이를 치료하기 위해 시행한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섬유화에 의 한 협착에 의한 요관폐색으로 인해 신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신장의 독각석을 체외충격파 쇄석술로 치료할 때 발생하는 중요한 합병증인 요 관폐색을 예방하기위해서 삽입하기도 한다 (1), 또 Double-J 스텐트는 요관손상이나 요관신우이행부폐색의 치료를 위해 신 우성형술을 시행한 후에 주변으로의 요일출을 방지하고, 이에 동반되는 섬유화를 감소시키며, 염증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문 합부에서 일정한 내경을 유지해주는 장점이 있어 안전하고 환 자의 회복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2,3).
Double-J 스텐트의 제거는 방광경을 이용해서 요도를 통해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X-선 투시하에 올가미를 이용하 여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4). 방광을 통한 역행성 접근방법과는 달리 경피적콩팥창이 있는 경우에는 인터벤션 영 상의학과 의사가 X-선 투시하에 지름 25-35 mm gooseneck
올가미로 스텐트를 제거할 수 있다 (5). 그러나 이 방법은 스텐 트의 상단부가 상부의 신배까지 이동한 경우등에는 스텐트가 올가미에 잡히지 않아 이용할 수 없어 집게겸자와 코브라 모양 의 카테타 등을 이용하거나 0.038 인치 유도 철사로 20-30mm의 올가미를 만들어 제거하기도 하였다.
상기 증례에서는 소아환자에서 수술 후에 방광과 요관의 해 부학적 구조에 변형이 있어 방광경을 이용한 double-J 스텐트 제거가 실패했고, X-선 투시하에 경피적콩팥창을 이용한 방법 이 유일한 상황에서 기존의 질환이 방광요관역류로 인해 신우 와 요관이 심하게 확장된 상태였으므로 올가미를 이용한 제거 가 불가능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안내철선을 이용하여 만든 올 가미를 이용하는 것은 double-J 스텐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특히 올가미를 만들 때 올가미 부분에서 손잡이 부 분으로 이행하는 부분을 약 900 각도로 꺽어서 만든 것은 요관 과 신우 내에서 double-J 스텐트가 잘 잡힐 수 있는쪽으로 올 가미의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만들어 double-J 스텐트 제거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었다.
참고문헌
1. 이윤보, 윤재영, 황태곤. 악성종양에 의한 요관 폐색시 Double-J 도관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1998;39:82-86
2. 권영미, 노병석, 이성아 등. 수술에 의한 요관 손상시 경피적 신루설치술과 체내 요관 스텐트 설치술의 유용성.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6; 35:605-611
3. 부명섭, 최호철, 최성협. 성인의 무도관, 절단식 신우성 형술의 경험과 요관내 Double-J 스텐트 삽입의 의의. 대한 비뇨기과학회지 1997; 38:410-415
4. 김형중, 오주형, 윤엽, 서태석. X - 선 투시하의 요관 선택술: 예비적 경험.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9; 40:851-855
5. 신태범, 김용주, 성창규. 상부 요로에 있는 이물 및 결석의 경피적 제거술. 대한방사선의학회지 2002;47:69-76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