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 십이지장 폐쇄를 야기한 복부대동맥류의 영상소견 Imaging of duodenal obstruction casued by the abdominal aortic aneurysm

신화선 , 신태범 , 유진종
Korean J Interv Radiol 2007;14(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7
경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103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중심단어
Aortic aneurysm, duodenal obstruction
증례
72세/남자
임상소견
내원 하루 전 시작된 복통과 함께 구토를 주소로 내원함. 환자 내원 당시 탈수증상을 보였으며 이학적 검사에서 박동성 복부종괴가 촉지되어 복부대동맥류을 의심함. 내원 당시 활력징후 이상소견은 없음.
진단명
Aortoduodenal syndrome.
영상소견
수술 전 조영증강 복부 CT scan에서 복부대동맥류의 근위부에 의하여 십이지장 3구역이 눌려서 가늘어진 소견이 보이며 위장관을 포함한 근위부 십이지장의 심한 확장소견을 보여 복부 대동맥류에 의한 십이지장의 폐쇄소견으로 진단함 (Fig 1). 환자는 Levin tube를 이용하여 상부위장관 감압술을 시행하고, 탈수를 교정한 후 복부대동맥류의 제거 및 대동맥-총대퇴동맥 우회로술을 시행함. 수술 소견에서 대동맥류와 십이지장-공장 문합부위의 유착이 관찰되었으며 장관의 개통성은 유지된 것으로 보여 장관절제술은 시행하지 않음. 술 후 조영증가 복부 CT scan 및 상부위장관 조영술에서 십이지장의 폐쇄는 소실되었고, 공장으로 조영제의 원활한 흐름이 관찰됨 (Fig 2, Fig 3).
fig. 1. A
Fig. 1 Initial abdominal CT images show tapering zone of duodenum (white arrow) and severe dilation of proximal bowel due to 6cm sized abdominal aneurysm.
fig. 1. B
Fig. 1 Initial abdominal CT images show tapering zone of duodenum (white arrow) and severe dilation of proximal bowel due to 6cm sized abdominal aneurysm.
Fig. 2. A
Fig. 2 Abdominal CT images obtained after 5 days of aortic bypass surgery show decompression of stomach and duodenum.
Fig. 2. B
Fig. 2 Abdominal CT images obtained after 5 days of aortic bypass surgery show decompression of stomach and duodenum.
Fig. 3.
Fig. 3 Upper GI series image obtained after 10 days of aortic bypass surgery shows well passage of contrast material from duodenum to jejunum.
고찰
대동맥십이지장증후군은 1905년 William Osler에 의해 처음 기술된 이후로 30건 미만의 case만 보고된 임상적으로 드문 질환으로 발병율은 남녀 비 4:1로 남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발병시 동맥류의 크기는 4.5-10cm로 다양한 소견을 보인다. 십이지장, 트라이츠 인대 (Treitz ligament) 및 작은 창자는 탄력성이 뛰어나 심한 전방전위 혹은 압박 등에도 폐쇄를 유발하지 않으나 대동맥류에 의한 주위 유착이 발생할 경우에는 대동맥류에 의한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 박동성의 복부종괴를 가지면서 지연성 구토를 하고 이로 인해 탈수, 알칼리증, 저칼륨혈증 등의 전해질, 수액 불균형이 야기될 수 있다. 드물게 체중감소, 복부통증, 복부팽만을 호소할 수도 있다. 고연령에서 위출구폐쇄증과 박동성 복부종괴 내지 과거력에서 동맥류의 존재는 임상적으로 대동맥십이지장증후군을 의심해야한다. 진단은 조영증강 CT로 확진되고 상부위장관조영술, 상부위장관내시경, 혈관조영술등은 십이지장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원인을 배제하는데 도움을 준다. 대동맥십이지장증후군의 치료목표는 위장관 폐쇄 완화와 수액, 전해질 교정이다. 수액과 전해질 불균형은 수술 전에 교정이 이루어져야하며 위장관 폐쇄는 대동맥수술로 대동맥류를 치료함으로써 완화된다. 과거 위장관 폐쇄를 완화하기 위해 대동맥 수술 전에 고려된 위장관 우회수술은 높은 실패율을 보였고 최근 20년간 대동맥수술(예; 대동맥류절제 & 선택적 동맥 치환술) 의 우선 선택으로 대동맥십이지장증후군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대동맥십이지장증후군이 제대로 치료되지 않는다면 흡인성 폐렴, 신부전, 대사성 장애, 대동맥 파열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현재 대동맥십이지장증후군의 수술사망률은 수술 전후 처치, 수술수기 등의 발달로 단순 대동맥류의 수술사망률에 근접하고 있다.
참고문헌
1. Deitch JS, Heller JA, McGagh D, et al. Abdominal aortic aneurysm causing duodenal obstruction: two case repor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Vasc Surg 2004;40:543-7. 2. Coster DD, Stubbs DH, Sidney DT. Duodenal obstruction by abdominal aortic aneurysms. Am J Gastroenterol 1988;83:981-4. 3. Bhama JK, Ogren J, Guinn G, Fisher WE. Unique cause of duodenal obstruction by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J Vasc Surg 2001;34:1130-2. 4. Sostek M, Fine SN, Harris TL. Duodenal obstruction by abdominal aortic aneurysm. Am J Med 1993;94: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