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 비인두암의 방사선치료 후 발생한 내경동맥 가성동맥류의 stent graft 치료 Stent graft for treatment of pseudoaneurysm arising from internal carotid artery after radiation therapy for nasopharyngeal cancer

안은정 , 이은주 , 김영환 , 장혁원
Korean J Interv Radiol 2010;17(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0

계명의대 동산의료원 영상의학과

  • 108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중심단어
Internal carotid artery, pseudoaneurysm, stent graft
증례
40 세/남자
임상소견
1 년 전 nasopharyngeal cancer 진단되어 combined chemoradiotherapy를 한 후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임. 내원 3 일 전부터 기침할 때 출혈이 있었고 내원 시 의식불명의 환자를 구급대가 발견하여 응급실로 옮겨짐. 환자는 응급실에서 의식을 회복하였으나 massive hemoptysis가 발생하여 활력징후가 불안정하였고 헤모글로빈이 감소하였음.
진단명
내경동맥 가성동맥류
영상소견
CT상 비인두에 종괴는 관찰되지 않으나 left internal carotid artery의 cervical segment 에 11x8x7mm의 가성동맥류가 관찰되며 주위 internal carotid artery의 직경이 감소되어 있음(Fig. 1). Left internal carotid angiography 에서도 CT와 동일하게 가성동맥류와 함께 left internal carotid artery의 국소적 협착이 관찰됨 (Fig. 2).
시술방법 및 재료
Right femoral artery를 천자하여 7 Fr guiding catheter (Vista, Cordis, Miami, USA)를 proximal ICA에 위치시키고 0.014 inch wire (Transcend, Boston, Miami, USA)를 supraclinoid ICA까지 진입시킴. 3.0 mm 직경, 19 mm 길이의 Jo stent(Coronary stent graft system, Abbott, Ulestraten, Netherland) 2개를 가성동맥류 neck 부위와 국소적 협착 부위에 설치하였음. 시술 후 internal carotid angiography에서 가성동맥류와 국소적 협착은 소실되었으며 혈류도 개선됨 (Fig. 3).
고찰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장기 합병증으로 큰 직경 동맥의 병변이 있을 수 있으며 협착과 폐색이 가장 흔하고 천공과 가성동맥류가 그 뒤를 잇는다. Carotid artery와 subclavian artery와 같은 두경부 혈관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aorta 와 femoral artery에도 흔히 발생한다. 방사선은 우선 small artery에 손상을 입히고 vasa vasorum의 이런 손상은 large vessel 의 media의 변화를 일으켜 medial fibrosis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종종 vessel lumen의 narrowing을 일으키며, vessel perforation을 유발할 수도 있다. 가성동맥류는 true wall이 없어서 다른 동맥류와 다르며 방사선에 의해서 arterial wall의 weakness가 발생한다. 또한, 방사선에 의한 osteonecrotic bone은 동맥과 가성동맥류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radiation에 의해 유발된 가성동맥류는 coil embolization을 실시하였을 때 성적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Stent graft는 atheromatous aortic, iliac, or popliteal aneurysm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vascular injury에 효과적인 치료로 사용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본 증례에서도 stent graft는 가성동맥류의 obliteration과 patent vascular lumen의 복구를 동시에 이룰 수 있어 radiation에 의해 유발된 가성동맥류의 성공적인 치료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long-term patency에 대한 보고가 없다는 한계가 있으며 stent graft의 infection이나 mechanical damage로 인해 thrombosis가능성이 있으므로 close follow-up 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Bae re T, Ou sehal A, Kuo ch V, Sapova I M, Lagrange C, Roche A. Endovascular management of bleeding iliac artery pseudoaneurysms complhating radetbn therapy for pelvic malignancies. AJR 1998; 170:349-353 2. Auyeung KM, Lui WM, Chow LC, Chan FL. Massive epistaxis related to petrous carotid artery pseudoaneurysm afte r radiatio n therapy:emergency treatment with covered stent in two cases. AJNR Am J Neurotadiol 2003; 24:1449-1452
Fig. 1. A
Fig. 1. Enhanced CT scan shows pseudoaneurysm (arrow) in the cervical s^ment of the left ICA.
Fig. 2.
Fig, 2. Left internal carotid angiography shows a large pseudoaneurysm in the cervical segment of the ICA and narrowing of the adjacent ICA.
Fig. 3.
Fig, 3. Angiography after stent placement shows complete obliteration of the pseudoaneurysm and patent 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