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thoracic aortic aneurysm, stent-graft, celiac trunk embolization
임상소견
건강검진상 우연히 흉부하행대동맥 동맥류가 발견됨. 흉복부 컴퓨터단층촬영혈관조영술(CTA)에서 원위부 흉부하행대동맥의 우전외측으로 낭성 동맥류가 발견됨(전후직경 3.4cm, 높이 6.2cm). 6년전 심근경색의 병력이 있으며, 심초음파에서 심첨부 운동장애가 있고 박출계수도 34%로 저하되어 있음.
영상소견
흉복부 CTA에서 원위부 흉부하행대동맥의 우전외측으로 3.4 × 6.2cm크기의 동맥류가 있다(Fig. 1A, B). 대동맥조영술에서 동맥류는 복강동맥 직상방까지 진행되어있다(Fig. 2A). 복강동맥의 근위부를 10mm Amplatzer vascular plug I을 사용하여 색전하였다 (Fig. 2B). 동맥류와 복강동맥을 포함하여 상장간동맥 직상방까지 30mm×80mm Zenith TX2 스텐트 그라프트를 삽입하였다(Fig. 2C). 일주일 후 시행한 CTA에서 동맥류 내부는 완전히 막히고 혈전으로 차있었으며 복강동맥분지들은 곁순환에 의해 정상적으로 혈류가 유지되어 있다(Fig. 3).
Fig. 1
Enhanced axial and coronal reformatted CT angiography show distal descending thoracic aortic aneurysm just above celiac trunk (arrows).
Fig. 2
A. Thoracic aortogram also shows descending thoracic aor tic aneurysm (arrow).
B. Radiograph shows expanded 10mm Amplatzer vascular plug I in celiac trunk (arrow).
C. Thoracic aortogram after stent-graft insertion shows no endoleaks.
Fig. 3
One-week follow up CT angiography shows thrombosed aneurysm without endoleak and good collateral flow to the celiac artery territory.
시술방법 및 재료
초음파 유도하에 좌측 총대퇴동맥을 천자하여 7Fr vascular sheath(St. Jude. Medical, Minnetonka, USA)를 삽입하고 하행대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동맥류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원위부 landing zone이 충분치 않아 상장간막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우간동맥이 상장간막동맥에서 기시하는 변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췌십이지장동맥에 의한 곁순환로가 온전함을 확인하였다. 이어 7Fr, 55cm 길이의 Renal double curve guide catheter(Cordis, Miami Lakes, FL, USA)와 5Fr, 90cm 길이의 Envoy guiding catheter(Cordis, Miami Lakes, FL, USA)를 이용하여 10mm Amplatzer vascular plug I(AGA Medical, Golden Valley, MN)으로 복강동맥 기시부를 색전하였다. 이후, 흉부외과의에 의해 우측 대퇴동맥을 절개하고 상장간막동맥 기시부 직상방부터 근위부 대동맥에 30×80mm, Zenith TX2(Cook, Blooming ton, IN) stent-graft를 설치하였다.
고찰
흉부하행대동맥류의 파열은 연간 10만 명당 5명 정도의 발병률을 보인다. 특히 6cm 이상의 대동맥류를 가진 사람의 경우는 파열이나 박리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연간 약 15%로 매우 높다. 또한 대동맥류를 가진 사람이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에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비율이 매우 낮아서, 치명률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대동맥류의 경우 기존에는 수술적 치료에 의존해 왔으나, 최근에는 수술에 의한 합병증의 발생 확률이 높은 경우에 인터벤션 혈관내치료를 시행하는 추세이다.
본 환자의 경우도 심근경색의 병력으로 인해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서 혈관내치료를 시행하려 하였으나, 복강동맥 기시부까지 동맥류가 확장되어 원위부 landing zone이 짧은 어려움이 있었다. 저자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복강동맥의 근위부를 색전함으로써 충분한 landing zone을 확보하고 성공적으로 스텐트-그라프트를 설치하였다.
참고문헌
1. Tholpady A, Hendricks DE, Bozlar U, et al. Percutaneous occlusion of the left subclavian and celiac arteries before or during endograft repair of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s with detachable nitinol vascular plugs. J Vasc Interv Radiol 2010; 21:1501-1507.
2. Ross TC, Ettles DF, Renwick PM, Robinson GJ. Three year Follow-up of Fenestrated Thoracoabdominal Stent Graft Bidging an Endovascular Thoracic Stent Graft and a Surgical Abdominal Aortic Graft. J Vasc Interv Radiol 2011; 22:385-390.
3. Black SA, Wolfe JH, Clark M, Hamady M, Cheshire NJ, Jenkins MP. Complex thor acoabdominal aortic aneurysms: endovascular exclusion with visceral revascularization. J Vasc Surg 2006; 43:1081-1089.
4. Biasi L, Ali T, Loosemore T, Morgan R, Loftus I, Thompson M. Hybrid repair of complex thoracoab dominal aortic aneurysms using applied endovascular strategies combined with visceral and renal revascularizatio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9; 138:1331-1338.
5. Jacobs MJ, Mommertz G, Koeppel TA, et al. Surgical repair of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s. J Cardiovasc Surg 2007; 48:49-58.
6. Bakoyiannis C, Kalles V, Economopoulos K, Georgopoulos S, Tsigris C, Papalambros E. Hybrid procedures in the treatment of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s: a systematic review. J Endovasc Ther 2009; 16:443-450.
7. Mehta M, Darling RC 3rd, Taggert JB, et al. Outcomes of planned celiac artery coverage during TEVAR. J Vasc Surg 2010; 52:1153-1158.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