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Liver, neoplasms.
Shunts, portohepatic
임상소견
5개월전부터 상복부통증으로 내원당시 HBsAg(+), AFP(+), CT상 다발성종괴로 간세포암으로 진단하였다. TAE를 시행하기 전 간기능은 AST가 경하게 상승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이었다.
영상소견
CT상 저음영의 종괴가 5번, 6번 간분절에 분포하고 있었다(Fig.1). 간동맥조영술상 간동맥 말초보위가 지저분하게 확장되어 보이고 동맥주행과 평행하는 다른 혈관들은 관찰할 수 있었다(Fig.2). 간문맥조영상 간의 중앙에는 문맥혈의 공급으로 hepatogram이 잘보이는데 간의 우하측변연부는 조영제 결손상이 나타나고 있다(Fig.3).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사진에서 간문색상 결손상이 있는 간의 우하측 변연부에 리피오돌이 침착되었다(Fig.4).
Fig.1. Spiral dynamic CT scan:
a. Pre-enhancing scan shows multilobulated lower-density tumors at the 5th and 6th segments of the liver.
b. Post-enhancing initial phase scan shows heterogeneous enhancement pattern on tumor bed.
c. Delayed phase scan shows somewhat delayed washout pattern in tumors.
Fig.2
Hepatic angiography shows numerous tumor vessels in peripheral liver with small arterioportal shunts.
Fig.3
a. Normal patency of main portal vein and obstructed right anterior portal branch.
b. A star-fish like filling defects on the portal hepatogram suggested to portal perfusion defect.
Fig.4
Post-TAE film shows multiple lipiodol-filled-nodules in tumor bed and peripheral liver.
시술방법 및 재료
50mg 아드리아마이신과 7.5cc 리피오돌은 혼합한 유탁액 (emulsion)을 고유간동맥을 통하여 주입하였다.
고찰
간문맥상 변연부 결손상은 간세포암이 말초 간문맥혈관으로 침투하여 간문맥 폐색을 유발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간동맥조영상 종양혈관이 나타나고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리피오돌의 분포가 CT상 간암의 위치와 동일하므로 이는 간세포암이 정상간문맥 조영상을 대치한 것에 기인한 것이다. 간문맥조영상의 관류 결손과 리피오돌 분포에 대한 상호 보완적인 해석이 간동맥조영술과 CT소견에 대한 판독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1. Boyer TD. Major sequelae of cirrhosis. In: Wyngaarden and Smith. Cecil Textbook of Medicine.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1988: 847-850.
2. 문태용, 김병호, 구봉식 등. 토끼 고유간동맥에 주입한 Lipiodol 독성에 관한 실험적연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0; 26(3): 449-461.
3. Imaeda T, Yamayaki Y, Hirota K, et al. Tumor thrombus in the branches of the distal portal vein: CT demonstration. J Comput Tomogr 1989; 13(2): 262-268.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