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Aneurysm, Splenic artery
국문 초록
46세 여자 환자가 건강검진으로 시행한 상복부 초음파에서 발견된 복강동맥과 인접한 동맥류로 내원하였다. 복부 3D 혈관CT촬영 결과 복강동맥에서 비장동맥 기시부 직후방에 발생한 목이 넓은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역행성 혈류를 막기 위해 동맥류 원위부의 비장 동맥을 코일로 색전하고, 비장 동맥의 기시부를 막을 수 있도록 복강동맥 기시부로부터 스텐트 그라프트를 총간동맥까지 거치하였다. 이후 시행한 혈관 조영 촬영에서 동맥류의 성공적인 치료를 확인하였고, 환자는 1개월 이후 외래에서 이학적, 실험실적 검사에서 모두 정상이었으며 장기 경색을 시사하는 소견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영문 초록
A 46-year-old woman visited out patient clinic with aneurysm adjacent to celiac trunk which was detected by health screening upper abdomen ultrasonography. Abdomen 3D CT Angiography identified wide neck aneurysm at proximal splenic artery. Distal splenic artery was embolized with coil to prevent retrograde blood flow into aneurysm. Stent graft was placed from celiac trunk os to common hepatic artery to block the antegrade blood flow into aneurysm. Angiography showed complete exclusion of aneurysm. After one month, the patient showed normal physical and laboratory test result without any sign of organ infarction.
Introduction
비장동맥 동맥류는 가장 흔한 내장동맥 동맥류이며, 이 중 비장동맥의 근위부에서 발생한 동맥류의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한 치료를 보고하고자 한다.
Case report
증례
46세/여자
임상소견
건강검진으로 실시한 상복부 초음파에서 복강동맥과 인접한 동맥류가 발견되어 내원하였다. (Fig. 1)
진단명
An aneurysm arising from proximal splenic artery
영상소견
복부 3차원 CT 혈관촬영에서 복강동맥으로부터 비장동맥 기시부 직후방에서 기원한 3.4cm 크기의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Fig. 2)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대퇴동맥을 초음파 유도하에 Seldinger method로 천자하여 6Fr sheath (Fast-Cath, St.Jude Medical, USA) 를 십입하였다. 0.035" 유도철선 (Radifocus guidewire, Terumo, Tokyo, Japan)과 Yashiro catheter (RHR, Cook Medical, Bloomington, IN, USA)를 이용하여 복강동맥을 선택하여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복강동맥조영술에서 비장동맥 기시부 직후에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Fig. 3.) 비장동맥 동맥류가 기시하는 원위부를 2.0 Fr microcatheter (Progreat, Terumo, Tokyo Japan) 및 0.016” 유도철사 (Meister 16, Asahi intecc, Aichi, Japan)로 선택하여 혈관조영술을 실시하고 분리형 코일 (Concerto NV8-30-Helix, NV6-20-Helix, Medtronic MIS, Sunnyvale, CA, USA) 및 Nester coil (0.018“-8mm14cm, 6mm-14cm, Cook medical, Bloomington, IN, USA) 으로 색전하였다. (Fig. 4) 동맥류 기시 원위부의 비장동맥 색전이 완료된 뒤 동맥류에 스텐트 그라프트를 설치하기 위해 8Fr Ansel guiding sheath (8Fr 55cm, Cook medical, Bloomington, IN, USA)로 교체하였다. 이후 Yashiro catheter를 총간동맥에 위치시키고 0.035" 유도철선을 우위대망동맥에 진입시키고 스텐트 그라프트(6mm-40mm Covera Plus Vascular Covered Stent, BARD, Arizona, USA)를 복강동맥 기시부로부터 위십이지장동맥이 분지되기 전인 총간동맥에 설치하였다. 설치 이후 실시한 복강동맥 혈관조영술에서 동맥류의 완전 폐쇄를 관찰하였다. (Fig. 5) 좌위동맥은 비장동맥 기시부의 직전에 분지되어 불가피하게 스텐트 그라프트로 폐쇄되었다. 그러나 복강동맥 조영술에서 우위동맥 및 우위대망동맥 등으로 위 전반의 조영을 확인하였으며, 측부순환을 통한 비장의 조영또한 확인하였다. 상장간막동맥 조영술을 실시하여 췌장과 비장문 부위의 조영이 원활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여 스텐트 그라프트 설치로 인한 주요 장기 경색의 가능성은 낮음을 확인하였다. (Fig. 6)
추적관찰
환자는 1개월 뒤 외래 방문을 하였고, 주관적 증상, 이학적 검사 및 실험실 검사 결과 모두 정상이었다.
Fig. 1.
(A), (B) Upper abdomen gray-scale and Doppler sonography shows anechoic saccular lesion with turbulant doppler flow adjacent to celiac trunk.
Fig. 2.
(A), (B) Arterial phase of contrast enhanced CT shows a 3.4-cm sized aneurysm originated from the proximal splenic artery. (C) 3D reconstructed volume rendering image shows orientation and location of aneurysm.
Fig. 3.
Celiac arteriogram shows a 3.4-cm-diameter saccular aneurysm that arises from the proximal splenic artery.
Fig. 4.
Arteriogram shows embolization with placement of coils in the splenic artery of distal portion of the aneurysm.
Fig. 5.
Complete exclusion of the aneurysmal sac with a stent-graft while blood flow through the common hepatic artery is maintained.
Fig. 6.
(A), (B) Final Celiac trunk and SMA arteriogram show preserved collateral blood flow to the gastric, omental, pancreatic and splenic vessels.
고찰
저자들은 본 증례를 통해 우연히 발견된 비장동맥 근위부에서 발생한 동맥류를 스텐트 그라프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내장동맥류는 인구의 약 0.2%에서 발생하며 비장동맥류는 이중 70%에 해당하는 가장 흔한 동맥류이다. 증상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것이 대부분이나, 파열시 35%-100%의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 대부분 간경화와 동반된 문맥압 항진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며, 임신, 본태성고혈압, 동맥염, 췌장염이나 외상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치료 적응증은 복통 및 방사통 등의 증상이 있거나, 임산부, 문맥합 항진증 동반, 간이식 계획중, 가성동맥류, 크기가 2.5cm 넘는 동맥류 등이 있다. 비장동맥류에 대한 치료로 동맥류를 절제하고 인조혈관을 삽입하거나 단단문합을 통해 치료하는 수술적 치료가 있다. 그러나 최근 비장동맥류의 다양한 인터벤션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중 동맥류의 근위부와 원위부 혈관을 막으며 가두는 (Sandwich method) 기법이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본 환자의 경우 동맥류가 비장동맥의 입구와 매우 가까워 동맥류의 근위부에 코일 등으로 색전 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동맥류를 직접 코일로 채우는 기법은 시간 소모가 크며 코일의 근위부로 이동하여 복강동맥을 막을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이에 비해 스텐트 그라프트의 설치는 모혈관 (Parent vessel)의 개통성을 보장하면서 시술 과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케이스는 국내에서 최근에 도입된 자가팽창형 스텐트 그라프트로 효과적으로 치료하였던 증례다.
참고문헌
1. Abbas MA, Stone WM, Fowl RJ, Gloviczki P, Oldenburg WA, Pairolero PC, et al. Splenic artery aneurysms: two decades experience at Mayo clinic. Ann Vasc Surg 2002;16:442-449
2. Madoff DC, Denys A, Wallace MJ, Murthy R, Gupta S, Pillsbury EP, et al. Splenic arterial interventions: anatomy, indications,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potential complications. RadioGraphics 2005;25:S191-211
3. Reed NR, Oderich GS, Manunga J, Duncan A, Misra S, Souza LR et al. Feasibility of endovascular repair of splenic artery aneurysms using stent grafts. J Vasc Surg 2015;62:1504-1510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