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7 파열된 Rasmussen 동맥류의 코일색전술을 이용한 치료 Treatment of a ruptured Rasmussen aneurysm with coil embolization

최연수 , 김진혁 , 전웅배 , 장주연
Korean J Interv Radiol 2020;27(1):7.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1양산부산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105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Rasmussen aneurysm, hemoptysis, pulmonary artery, embolization
국문 초록
50년전 폐결핵 병력 있으며,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치료 중인 69세 남자 환자가 입원 중 대량 객혈을 호소하였다. 이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시행한 흉부 CT에서 폐의 좌하엽의 경화된 부분 내부에 Rasmussen 동맥류가 확인되었다. 혈관조영술 시행 도중 Rasmussen 동맥류의 파열이 발생하여 산소포화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미세코일을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한 후 활력징후가 회복되었다.
영문 초록
A 69-year-old male patient with old pulmonary tuberculosi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mplained massive hemoptysis. Chest CT and angiography images showed a Rasmussen aneurysm at left lower lobe. During selective angiography, the aneurysm was ruptured, and oxygen saturation was rapidly decreased. The patient underwent selective embolization of Rasmussen aneurysm with microcoils and his vital signs were recovered.
Introduction
폐동맥에 발생한 Rasmussen 동맥류는 공동성 결핵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며, 대량 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이런 환자의 치료에 있어 두 가지 중요한 점은 손상된 폐동맥에서의 추가적인 출혈을 막는 것과 기도를 확보하는 일이다. 치료는 수술 또는 동맥류 색전술을 할 수 있는데, 색전술의 성공률은 최근 매우 향상되고 있다.
Case report
증례 69세/남자 임상소견 50년전 폐결핵 병력 있으며,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치료 중인 환자가 대량 객혈을 보였다. 환자의 헤모글로빈 수치는 8.6 g/dL로 저하되어 있었으며, 기관절개 상태였다. 진단명 A Rasmussen aneurysm in left pulmonary artery. 영상소견 흉부 CT에서 좌하엽의 경화된 부분 내부에 약 1.7cm 크기의 조영증강을 보이는 확장된 혈관이 관찰되었고, Rasmussen 동맥류로 판단되었다(Fig. 1). 폐결핵으로 인해 폐실질의 섬유화와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이 동반되어 있었다.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대퇴정맥을 천자한 뒤, 6Fr sheath (Flexor Ansel Guiding Sheath; Cook medical, Bloomington, IN, USA)를 삽입하였다. 5F Pigtail catheter (Merit medical, South Jordan, Utah, USA)를 이용하여 좌측 폐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고 Rasmussen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5Fr Simmons 1 catheter (A&A M.D., Seongnam, Korea)를 이용하여 좌측 폐동맥을 선택한 후 시행한 혈관조영술에서 Rasmussen 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조영제 누출이 확인되었다(Fig. 2). 이어 동맥류를 미세도관 (Tellus; Asahi Intecc, Seto, Japan)으로 선택한 후 미세코일(Nester embolization coil, .018” 8mm x 6ea and 10mm x 2ea; Cook medical, Bloomington, IN, USA)를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시행한 혈관조영술에서 가성동맥류 내부의 혈류가 사라지고 조영제의 누출이 없음을 확인하였다(Fig. 4). 추적관찰 환자는 객혈 증상은 회복하였으나, 중환자실 치료 중 폐렴으로 색전술 15일 뒤에 사망하였다.
Fig. 1.
Fig 1. Contrast-enhanced CT scan shows a Rasmussen aneurysm (1.7cm, arrow) within the consolidation of left lower lobe.
Fig. 2.
Fig 2. Selective angiography of left pulmonary artery with 5F Simmons 1 catheter shows a Rasmussen aneurysm with contrast extravasation (arrows) at the branch of left pulmonary artery, suggesting rupture of the aneurysm.
Fig. 3.
Fig. 3. Postembolization angiography demonstrates complete occlusion of the Rasmussen aneurysm.
고찰
Rasmussen 동맥류는 폐결핵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대량 객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며, 폐결핵에 의한 공동이 있는 경우 5% 정도에서 동반된다고 알려져 있다. Rasmussen 동맥류는 결핵 병변 주변의 폐동맥벽의 외막과 중간층이 육아 조직으로 바뀌고 섬유소 침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혈관벽이 약화되어 생기는 병변으로, 파열이 생길 경우 사망률이 50% 이상으로 매우 높다. 대량 객혈시에는 응급 외과적 절제술, 폐동맥 색전술 또는 기관지내 압전을 고려해야 한다. 이전에는 완전한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코일을 이용한 폐동맥 색전술이 수술적 치료를 대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 널리 시행되고 있다. 환자와 같이 혈관조영술 중 동맥류 파열이 일어난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색전술을 마무리하고 기도를 확보함으로써 대량출혈 및 호흡곤란에 의한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저자들은 Rasmussen 동맥류가 파열된 환자에서 코일 색전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참고문헌
1. Picard C, Parrot A, Boussaud V, Lavole A, Saidi F, Mayaud C, et al. Massive hemoptysis due to Rasmussen aneurysm: detection with helicoidal CT angiography and successful steel coil embolization. Intensive Care Med 2003;29:1837-1839 2. Tanahashi Y, Kondo H, Osawa M, Yamamoto T, Yamaguchi M, Furui S. Transcatheter embolization of a Rasmussen aneurysm via pulmonary artery with n-butyl cyanoacrylate and iodized oil mixture injection with balloon occlusion. J Vasc Surg Cases Innov Tech 2016;2:161-164 3. Shin KC, Chung JH. A case of massive hemoptysis due to Rasmussen aneurysm and successful embolization with micro-coil. Korean J Med 2008;74(1):110-111 4. Nguyen ET, Silva CI, Seely JM, Chong S, Lee KS, M?ller NL. Pulmonary artery aneurysms and pseudoaneurysms in adults: findings at CT and radiography. AJR 2007;188:126-134 5. Sapra R, Sharma G, Minz AK. Rasmussen's aneurysm: A rare and forgotten cause of hemoptysis. Indian Heart J 2015;67:S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