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 총장골 동맥의 국소적 협착 : 풍선 혈관성형술 Focal Stenosis of Common Iliac Artery : Balloon Angioplasty

황대현 , 이신호 , 강익원 , 배상훈 , 우영민 , 최창식 , 윤대영
Korean J Interv Radiol 1997;4(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1997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진단방사선과
  • 101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중심단어
Iliac artery stenosis, angioplasty
증례
67세 /남자
임상 소견
우측 6개월전부터 시작된 파행과 2달전부터 나타난 휴식통을 주소로 내원 함.
영상소견
하부대동맥 소견상 원위부 우측 장골 동맥의 심한 협착 소견이 관찰됨. 하부 전골 후골 동맥은 잘 관찰됨 (Fig. 1). Max 9000으로 시행한 부분 혈압은 우측대퇴부가 102mmHg이고 좌측이 163mmHg으로 대퇴부 상부의 협착이 강력히 의심됨 (Fig. 2).
Fig. 1
Aortogram shows severe focal stenosis in right distal common femoral artery.
Fig. 2
Max 9000 partial pressure measurment shows decreased right femoral arterial pressure (102 mmHg) than that of left side (163 mmHg).
시술방법 및 재료
8mm×40mm balloon을 이용하여 확장을 시행함 (Fig.3). 풍선혈관성형술 후 시행한 조영상에서 협착부위는 사라졌음 (Fig. 4). 추적 검사에서 우측 대퇴부 압력이 154mmHg로 증가되었고 ABI가 0.52에서 0.86으로 호전되었음. 풍선확장시 정맥으로 3000 unit Heparin을 투여후에 8mm×40mm 크기의 Balloon으로 2분간 확장을 지속시킨 후 검사를 끝내고 혈관 촬영과 pressure 측정으로 결과를관찰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Fig. 5).
Fig. 3
Balloon angioplasty was done with 8X40mm size balloon.
Fig. 4
Post balloon-dilatation angiography shows good patency from iliac artery to femoral artery.
Fig. 5
Partial pressure measurment after balloon-dilatation shows increased right femoral artery pressure from 102mmHg to 154mmHg.
고찰
국소적 협착이 있고 말초부위가 이상이 없을 경우 풍선 확장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대개는 Doppler만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도 좋지만 성공적인 혈관 성형술은 세심한 계획과 주의가 요망된다. 최근에는 좋은 기구와 함께 기본원리에 충실할 때 좋은 결과가 나타나며, 중간 크기의 환부위에 국한된 국소 병변, 특히 장골동맥은 결과가 다른 혈관에 비해 좋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1년 개통율은 평균 90% 5년 개통율은 72%로 보고되고 있다. 시술을 전후하여 양쪽 혈압의 비교 ABI, 동맥의 파형을 보는 것이 중재적 시술을 하기전에 유용한 것으로 사려된다.
참고 문헌
1. Becker GJ. Katzen BT. Dake MD. Non coronay angioplasty. Radiology 1989; 170:921-940 2. Brewer ML, Kinnison ML, Perter BA, white RI Blue Toe Syndrome : treatment with auticoagulauts and delayed per cutaneous Trarno luminual angioplasty. Radiology 1988;166: 31-36 3. Kaufman SL, Barth KH, Kadir et al. Hemodynonic measurment in the evaluation and follow up of transluminal angioplasty of the iliac artery and femoral arteris. Radiology 1982;142: 329-336 4. Dotter CT. Roser J. Robinson M. Fluroscopic guidance in femoral artery pantine. Radiology 1978 ; 127 : 266-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