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Cancer, esophageal Stent and prosthesis
임상소견
10년전부터 승모판 폐쇄 부전증과 부정맥으로 내과적 치료를 받아오다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연하 곤란으로 식도 조영 검사 및 내시경 조직 검사를 통해 하부 식도의 편평상피암으로 진단받았으며 CT검사에서 종양 은 폐와 임파절로의 원격 전이가 있어 수술을 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됨. 고식적 식도 스텐트 설치를 위해 의뢰되었고 당시 환자는 미음도 거의 삼킬 수 없는 상태였음.
영상소견
스텐트 설치전 시행한 식도 조영상 하부 식도에 심한 협 착이 있고 식도위연결부까지 침범되어 있음(Fig. 1).
Fig. 1.
Esophagogram obtained before stent placement shows distal esophageal stenosis with involvement of gastroes- ophageal junction.
시술방법 및 재료
10% lidocaine spray(Astra, Sweden)로 환자의 구강을 마취시키고, 유도철사(Terumo, Tokyo, Japan)와 bougie 카테타(Wilson Cook, USA)를 중부 식도까지 전진시킨후 유도철사를 제거하고 식도 조영 검사를 시행하였다. 다시 유도철사를 위까지 전진시켜 협착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였을 때 17cm 이었다. 여기에 스텐트의 양끝 부분 shoulder 2cm 식을 포함하여 길이 21cm의, 역류 방지용 밸브가 달 린 굴곡성 피복 스텐트를 준비하였다. Amplatz Superstiff 유도철사(Meditech/Boston scientific, Watertown, Mass)로 교체하고 이를 통해 스텐트가 장착된 삽입기구를 협착 부위까지 전진시킨 후, 협착 부위에 위치하도록 설치 하였다. 스텐트 설치 직후 시행한 바륨조영사진에서 스텐트는 정확히 위치하였고 폐색은 사라졌다(Fig. 2). 환자는 시술 다음날부터 죽을 먹을 수 있었고, 2주째 추적 식도 조 영 검사에서 재협착의 증거는 없었으며 위식도 역류도 없었다(Fig. 3). 그 후 한달까지 죽이나 반고형 음식으로 식사가 가능하였고 역류에 의한 주관적 증상은 없었다. 환자는 스텐트 삽입 40일 후에 심부전으로 사망하였다.
Fig. 2.
Antireflux valve stent was placed in the stenotic portion. There is no evidence of the esophageal perforation.
Fig. 3.
On follow-up barium study with patient's LPO position and Valsalva maneuver, there is no demonstrable gastroes- ophageal reflux.
고찰
전이를 동반하거나 주요 인접 장기의 침범, 또는 환자의 거부 등으로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악성 식도 협착 환자의 연하 곤란에 대한 고식적 치료방법으로서 또한 식도-기관 지 혹은 식도-기도 누공에 대한 치료를 위해, 스텐트 설치 술에 대한 요구가 점점 늘고 있다. 지금까지의 보고에 의하 면 스텐트 설치술의 기술적 성공율은 거의 100%이며 연하 곤란의 증상 호전도 90% 이상으로 보고되었다. 대개 스텐트 시술을 받는 식도암 환자들의 자연 임상경과가 매우 나쁘기 때문에 장기간의 스벤트 개통율과 정확한 합병 중 발생율을 알기는 힘들다. 하지만 합병증으로서 식도 천 공, 스텐트의 이탈, 통증, 스텐트 폐쇄, 그리고 위식도 역류 등이 알려져 있다.
기존의 스텐트 중 Song stent, Cook stent, Wallstent 등이 식도 협착을 해소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데, 이 들 스텐트의 경우 유연성이 부족하여 심한 굴곡이 있는 부 위에서는 스텐트가 꺾이거나 한쪽 끝이 막힐 수가 있다. 또한 하부 식도 병변에서 위식도 접합 부위가 좁아져 있을 때 이를 해소할 목적으로 이들 스텐트를 삽입할 경우 정상 판막이 스텐트로 인해 정상 기능을 할 수 없어서 위식도 역류에 의한 점막 손상, 기도와 폐 손상, 그리고 심한 경우 질식사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식도 역류는 19%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굴곡성 피복 스텐트의 원위부에 삼천판형 판막을 설치하여 역류방지수 단으로 사용하는 역류 방지형 식도 스텐트를 개발하였고, 현재 그 장기적 개통율과 합병증, 특히 위식도 역류 방지 능력에 대하여 추적 검사 중이다.
참고 문헌
1. Song HY, Choi KC, Kwon HC, et al. Esophagogastric neoplasms: palliation with a modified Gianturco stent. Radi- ology 1991:180:349-354 a
2. Do YS, Song HY, Lee BH, et al. Esophagorespiratory fistula associated with esophageal cancer treatment with Gianturco stent tube. Radiology 1993;187:673-677
3. Song HY, Do YS, Han MY, et al. Covered, expandable esophageal metallic stent tubes: experiences in 119 patients. Radiology 1994;193:689-695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