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Urethra, stenosis or Urethra, Interventional procedure, Urethra Stents and prostheses
임상소견
내원 5개월전 골반 골절과 함께 요관 손상을 받은 후 배뇨장애가 생김. 방광조루술 및 내시경적 요관성형술을 받았으나 배뇨장애는 지속됨.
진단명
Recurrent urethral stricture near external sphincter due to trauma
영상소견
수상후 1개월 뒤 시행한 역행성 요도조영술상 외측 괄약부위(external sphincter) 근처의 팽대부 요도(bulbous urethra) 부위에 국소적 협착이 있다 (Fig. 1).
Fig. 1
Retrograde urethrography show a focal stricture at the bulbous urethra near external sphincter.
시술방법 및 재료
요도를 통해 유도철사(Terumo, Tokyo, Japan)을 요도협착부위를 지나 방광에까지 진행시킨다음, 협착부위의 길이를 재고 amplatz superstiff 유도철사로 교환하여 TIPS 세트를 이용해 13F sheath를 삽입, 스텐트(10 mm in diameter, 30 mm in length, self-expandable retrievable nitinol stent)를 협착부위에 위치시킨다. 요도 협착부위에 있는 13F 피포를 넣고 이 피포를 통해 직경 10mm 길이 30mm의 제거 가능한 자가 평창성 Nitinol 스텐트를 요도 협착부위에 설치하였다(Fig. 2). 설치 후 요도 협착부위는 호전되었고 환자의 배뇨장애도 개선되었다. 시술 도중이나 직후 약간의 출혈이 이외 합병증은 없었다. 스텐트 설치 한달뒤 스텐트를 제거하였다. 다시 한달 뒤 배뇨장애가 다시 생겨 요도 스텐트를 다시 설치하였고 증상은 개선되었다. 한달 뒤 2번째 스텐트를 제거하였다. 스텐트 제거 전 시행한 역행성 요도 조영술상 스텐트를 통해 조영제의 통과는 좋았다 (Fig. 3). 요도 스텐트의 제거는 제거 가능한 기관지 '송' 스텐트와 마찬가지로 요도로 유도철사를 13F 피포에 넣은 후 피포를 통해 갈고리 철사를 넣어 스텐트 입구에 있는 나일론 줄을 당겨 스텐트를 오므라들인후 스텐트를 피포를 통해 제거하였다 (Fig. 4). 스텐트 제거 직후 시행한 역행성 요도 조영술상 요도 협착은 호전되었다 (Fig. 5).
Fig. 2
Plain radiographs show that along the guide wire, 13F sheath is placed in the urethra, and stent (10 mm in diameter, 30 mm in length, self-expandable retrievable nitinol stent) placed at the stricture through the sheath.
Fig. 3
Retrograde urethrography before the second stent removal shows good contrast passage through the stent.
Fig. 4
Plain radiographs show grasping of the drawstrings of the stent with the hooker wire, withdrawal of the hook wire through the sheath.
Fig. 5
Retrograde urethrography obtained after removal of the stent shows improvement of the stricture.
고찰
남성에 있어 골반골절과 동반된 요도 손상은 5 - 10% 빈도로 나타난다. 요도 손상 후 생긴 요도 협착의 치료에 있어서 최근에는 내시경적 요도 성형술 및 자가 평창성 금속 스텐트가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시경적 요도성형술은 2년 이내에 요도협착의 재발율이 40 - 70%에 이르고 있다. 자가 평창성 금속 스텐트를 통한 요도 협착의 치료도 외측 괄약부에 있는 경우 괄약기능의 유지가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하여 협착부위의 치료뿐만 아니라 괄약기능의 유지를 위해 피복된 제거가 가능한 자가 팽창성 Nitinol스텐트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스텐트의 합병증으로 생길 수 있는 스텐트의 이동, 스텐트의 부러짐, 육아조직의 형성에 의한 스텐트의 막힘 등을 피복되어 있고 제거가 가능한 스텐트임으로 피할 수 있었다. 이 새로운 요도 스텐트는 설치 후 보통 8주 뒤에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앞으로 피복된 제거가 가능한 자가 팽창성 Nitinol스텐트는 외측 괄약부위의 요도협착 치료에 중요한 발전이 되리라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Pitkamaki RR, Tammela TLJ, Kontturi MJ. Recurrence of urethral stricture and late results after optical urethrotomy: comparison of strictures caused by toxic altex catheters and others causes. Scand J Urol Nephrol 1992;26:327.
2. Jennifer JD, David R, Euan JGM. Stricture Disease: Radiology of urethral stents. Radiology 1991;180:447-450.
3. Song HY, Park SI, Jung HY, et al. Benign and malignant esophageal strictures: treatment with a polyurethane-covered retrievable expandable metalic stent. Radiology 1997;203:747-752.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