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03 슬와동맥에 발생한 Cystic Adventitial Disease Cystic Adventitial Disease of the Popliteal Artery

김영환 , 성창규 , 김용주
Korean J Interv Radiol 2002;9(1):3.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2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90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Cystic adventitial disease, arteries Popliteal arteries, angiography, CT
증례
56세/남자
임상소견
6개월 전 좌측 종아리가 저리고 약 1 km 정도에서 파행이 발생하여 한방 치료 해오던 중 증상 호전 없이 최근 좌측 종아리에 동통이 발생하였고 500 m 정도에서 파행이 보여 만성폐쇄성 혈관질환 의심 하에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내원 당시 좌측 하지의 ankle brachial index(ABI)는 0.69 였다.
진단명
Cystic adventitial disease of the popliteal artery
영상소견
대퇴동맥 조영술에서 좌측 슬와동맥 상부에 약2 cm 길이의 완만히 가늘어지는 협착 소견이 보이나 원위부 혈류는 원활하였다 (Fig. 1). 대동맥과 양측 하지동맥에 죽상동맥경화증 병변은 보이지 않았다.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좌측 슬와동맥의 내측 벽에 낭종이 관찰되었으며 좌측 슬와동맥은 낭종에 의해 압박을 받아 내경이 감소되어 있었다. 비복근(gastrocnemius)의 대퇴 접합부위는 해부학적으로 정상 위치를 보이고 있었다 (Fig. 2). 수술시 젤라틴양 물질을 함유한 0.5×4 cm 크기의 낭종이 슬와동맥 벽에 있었으며 슬와동맥 내강은 좁아져 있었다. 낭루술(cystostomy) 과 낭종 감압술(cystic decompression)을 시행한 후 슬와동맥 내강은 정상적으로 확장되었다. 수술 후 ABI는 0.92로 호전되었다.
고찰
Cystic adventitial disease는 대퇴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1000명 중 1명의 빈도에서 발견되는 드문 혈관 질환으로 남자에서 5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약 80%에서 50세 이전에 발병하며 85%에서 슬와동맥에 생기나 외장골동맥, 대퇴동맥, 요골동맥, 척골동맥 등에서도 볼 수 있다. 발병 기전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으나 관절낭(joint capsule)이나 건초 (tendon sheath) 등에서 기원한 결절종(ganglion)이라는 주장이 많으며 동맥 벽 내에 점액을 함유한 낭종이 동맥을 압박하여 간헐적 파행 증상을 나타낸다. 특징적인 혈관조영술 소견으로는 국소적으로 완만히 가늘어지는 협착을 보이며 동심성압박(concentric compression)인 경우에는 모래시계 모양을, 편심성 압박(eccentric compression)인 경우는 신월도모양(scimitar deformity)을 보인다. 또한 협착후부확장 (poststenotic dilatation)은 없고 측부혈행이 적으며 주위 혈관의 죽상동맥경화증 병변은 보이지 않는다. 약 30%에서는 완전한 폐색(complete occlusion)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초음파 및 컴퓨터단층촬영 상에서는 얇은 벽을 가진 낭종으로 보이며 색도플러 초음파에서 낭종 내에는 혈류가 관찰되지 않으며 혈관 내강을 압박하여 조영증강이 되는 동맥은 초승달 모양의 협착을 보인다. 감별진단으로는 죽상동맥경화증, Burger’s disease, 슬와동맥 색전증, 혈전증이 동반된 슬와동맥류, 슬와동맥 포획 증후군(popliteal artery entrapment syndrome) 등이 있으나 특징적인 혈관조영술 소견과 초음파 및 컴퓨터단층촬영 등으로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Flanigan DP, Burham SJ, Goodreau JJ, Summury of cases of adventitial cystic disease of the popliteal artery. Ann Surg 1979;189:165-175 2. Fitzjohn TP, White FE, Loose HW, Proud G. Computed tomography and sonography of cystic adventitial disease. Br J Radiol 1986;59:933-935 3. Kim JS, Chung JW, Park JH, Kim SJ, Han MC. Cystic adventitial disease of the popliteal artery demonstrated by CT & MR imaging : a case report. J Korean Radiol Soc 1997;37:835 837 4. Bunker SR, Lauten GJ, Hutton Jr SR. Cystic adventitial disease of the popliteal artery. AJR 1981;136:1209-1212
Fig 1
Femoral angiogram shows smoothly tapered stenosis of left popliteal artery with adequate distal run off. No evidence of atherosclerotic change is noted.
Fig 2
A. Contrast-enhanced axial CT scan through the upper popliteal fossa shows cystic mass abutting on the left popliteal artery (arrow). B. Contrast-enhanced axial CT scan at the level of mid popliteal fossa reveals a slitlike compression of the left popliteal arterial lumen (arrow) and appropriate location of gastrocnemius mus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