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응증
대부분의 simple cyst는 증상이 없어서 sonogram(초음파), CT, Intravenous pyelography(경정맥신우조영술) 등의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커지게 되면 다양한 증상들을 일으킬 수 있고 이렇게 증상을 동반한 renal cyst가 치료의 대상이 된다.
Renal cyst의 증상 중 가장 흔한 것은 renal cortex(신피막)가 cyst에 의해 팽창됨으로 발생되는 통증이며 그 외에 microscopic hematuria(현미경적 혈뇨), hypertension(고혈압), 압박에 의한 renal pelvis(신우) 또는 calyx(신배)의 확장 등이 생긴다.
2. 금기 사항
절대적 금기사항은 낭종성 신세포암, Renal pelvis와 연결이 있는 낭종 (calyceal diverticulum or hydrocalycosis), 출혈경향이 있는 경우이며, 상대적 금기사항은 감염이나 출혈이 동반 된 낭종이다.
3. 시술 방법
1) 우선 천자할 피부를 2% Lidocaine hydrochloride로 국소 마취한 후 sonogram이나 CT유도 하에 혈관이나 cyst주위의 중요구조물을 피하는 경로로 18G 또는 21G Chiba침을 이용하여 cyst를 천자 한다.
2) 천자 후 20ml 정도의 액체를 흡입하여 색, 냄새 및 점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동반된 출혈이나 감염여부를 확인한다.
3) 천자된 침을 통하여 0.035 인치 guide wire(유도철사)를 cyst 내 삽입하여 6F에서 8F의 dilator(확장기)를 사용하여 경로를 확장한 후 6-8F pigtail catheter(도관)를 cyst 내에 진입시킨다. 21G Chiba침을 이용한 경우에는 주사침안으로 0.018인치 유도철사를 삽입한 후 그 위로 stylet이 장착된 metal introducer set를 cyst에 삽입한 후 stylet을 빼고 0.035인치 유도철사를 넣고 dilator 을 사용하여 경로를 확장한 후 6-8F catheter을 담낭에 삽입한다
4) catheter를 삽입한 후에는 cyst 내 내용물을 완전히 배액 한다. 작은 cyst의 경우에는 배액 시 큰 문제는 없으나 큰 cyst인 경우에는 급속한 배액에 의한 심한 통증이나 hypotension(저혈압) 등의 증상이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5) 배액 한 액체의 양을 기록하고 희석된 조영제를 cyst 내에 주입하여 조영제가 cyst 밖으로 새지는 않는지, renal pelvis와의 연결은 없는지를 환자의 체위를 바꾸어 가면서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이때 경화제주입시 경화제가 cyst 밖으로 새는 경우에는 국소적 peritonitis(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renal pelvis와 연결된 경우에는 협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영제의 투입후의 관찰이 중요하다.
6) 조영제가 cyst 밖으로 새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는 들어간 조영제를 모두 배액 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ethanol 등의 경화제를 주입하여 경화치료를 시행한 후 들어간 경화제가 충분히 배액 되지 않고 남아있으면 cyst 벽으로의 계속적인 흡수에 의해 숙취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7) 경화치료는 95-100%의 ethanol을 이용하며 cyst 부피의 25-50%의 ethanol을 주입하여 치료를 시작한다. 그러나 전체 주입 량은 100ml를 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보고자에 따라서는 ethanol의 농도가 희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소량의 알코올을 주입하여 cyst 내를 세척하고 즉시 제거하는 예비적 조치를 4-5회 미리 시행하는 방법도 사용한다.
8) 경화제 주입 후에는 경화제가 cyst 벽에 골고루 묻을 수 있도록 환자의 체위를 바꾸어 주어야 하며 매 5분 supine, right lateral decubitus, prone, left lateral decubitus로 체위를 바꾸어 가면서 15-30분 정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9) 경화치료는 하루에 1-2회 시행하며 배액 되는 양을 관찰하고, 하루에 배액 되는 양이 5ml이하가 되는 경우에 catheter를 제거하여 치료를 종료한다.
10) Polyurethane으로 만들어진 catheter(e.g.,Flexima(r) Mediteck, Boston, USA)인 경우에는 ethanol로 경화치료를 시행하는 경우에 수 차례에 걸친 ethanol과의 접촉으로 골절이 생길 수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4. 추적검사 및 재발의 판정
Cyst의 경화치료후의 추적검사에서 cyst가 액체 없이 완전히 소실되지 않고 약간의 액체가 남아 있을 수 있다. 경화치료 후 추적검사에서 다시 발견된 cyst들의 대부분이 cyst벽의 epithelial cell들의 잔존으로 인한 실제 재발이라기보다는 반응성 또는 염증성 삼출액에 의한 일과성이며 계속적인 추적검사에서 그 액체는 저절로 소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경화치료 후 추적검사상 cyst가 계속 보일 때는 곧 재치료를 시행하기보다는 일단 6개월 정도 추적검사를 시행하여 cyst 크기의 변화를 관찰하여야 하며 6개월 이후에도 계속 남아 있거나 추적 중 크기가 계속 커지는 경우에는 치료가 실패하거나 재발된 경우로 생각하여 다시 치료를 시도하여야 한다.
5. 합병증
1) 천자, catheter삽입 등의 시술에 따라 발생하는 합병증 : cyst내 또는 cyst밖 출혈, arteriovenous fistula (동정맥루), pseudoaneurysm (가성동맥류) 등이 생길 수 있다.
2) 경화치료제의 유출에 따른 합병증 : 경화치료제가 cyst 밖, 연부조직으로 새면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심하면 retroperitoneal fibrosis(후복막강 섬유화) 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혈관이나 ureter 등으로 들어가면 thrombosis(혈전증)나 ureteral stricture(요관협착) 등
을 일으킬 수 있다.
3) 그 밖에 일시적 체온상승, systemic drug reaction(전신적 약반응), 감염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Fig. 1
A. 초음파유도 하에 18G 침을 삽입한 후 약간 양의 조영제를 주입하여 낭종의 윤곽을 확인하고 0.035 유도철사를 낭종 내에 삽입한다
B. 유도철사를 따라 8F pig tal형태의 배액카테터를 삽입한다
C. 낭종의 내용물을 배액 하여 그 양상을 확인한 후 조영제를 주입하여 조영제의 유출, collecting system과의 교통유무 등을 확인하며 주입한 조영제가 모두 배액 되는지도 확인한다.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경화요법을 시행한다.
D. 1회의 경화요법을 시행한 후 시행한 cysogr am상 낭종이 collapse되어 있는 소견이 보인다.
참고문헌
1. Bean WJ. Renal cysts: treatment with alcohol. Radiology 1981;138:329-331.
2. Han MC, Park JH. Interventional Radiology. Seoul: Ilchokak, 1999 620-625
3. Sarfelippo RM, Beahrs OH, Weiland LH. Cystic disease of the liver. Ann Surg 1974;179:922-925
4. Friedland GW, Shrinking and disappearing renal cysts. Urol Radol 1987;9:21-25
5. Dalton D, Neiman H, Grayhack JT. The natural history of simple renal cysts: a preliminary study. J Urol 1986:135:905-908
6. Evan AT, Coughlin JP. Urinary obstruction due to renal cysts. J Urdl 1970:103:277-280
7. Lang EK Renal cyst puncture studies. Urol Clin North Am 1987;14:91-102
8. Bean WJ, Rodan BA. Hepatic cysts: treatmert with alcohol. Am J Roentgenol 1985,144:237-241
9. 김종수, 정경호, 이상용등. 선천성 cys에서 경피적 알코올경화치료법.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2;28:29-35
10. Holmberg G, Hietala SO. Treatment of simple renal cyst by percutaneous puncture and instillation of bismuth-phosphate. Scand J Uronephrol 1989:23:207-212
11. Raskin MM, Poole DO, Roen SA, et al. Percutaneous management of renal cysts: results of a four-year study. Radiology 1975;115:551-553
12. Gelet A, Sanseverino R, Martin X, et al. Percutaenous treatment of benign renal cysts. Eur Urol 1990;18:248-252
13. 정회석, 노택수, 김윤환, 김제종. 경피적 도관 삽입술후 2일간의 반복적 신cyst의 경화치료법.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5;33:621-626
14. 박석민, 한성태, 박석희 등. 간 및 신cyst의 경피적 ethanol 경화치료:효과 및 추적검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30:253-258
15. 민성기, 부명섭, 정재일 등. 신cyst의 경피적 흡인후 반복적 경화요법의 효과. 대한비뇨기과학회지 1996:37:986-989
16. 박복환. 초음파유도 하의 알코올주입을 이용한 신cyst흡인 제거법. 대한초음파학회지 1987;6:168-173
17. Hanna RM, Dahniya MH. Aspiration and sclerotherapy of symptomatic simple renal cyst: value of two injection of a sclerosing agent. Am J Roentgenol 1996;167:781-783
18. Chung BH, Kim JH, Hong CH, Yang SC, Lee MS. Comparison of single and multiple sessions of percutaneous sclerotherapy of simple cyst. BJU Int 200085:626-627
19. Fontana D, Porpiglia F, Morra I, Destefanis P. Treatment of simple cysts by percutaneous drainage with three repeated alcohol injections. Urology 199953:904-907
20. Dominicis CD, Miccariello M, Peris F, et al. Percutaneous sclerotization of simple renal cysts with 95% ethanol followed by 24-48h drainage with nephrostomy tube. Urol Int 2001:66:18-21
21. Lin Y, Pan H, Liang H, et al. Single-session alcohol-retention sclerotherapy for simple renal cysts: comparison of 2 and 4 Hr retention techniques. Am J Roentgenol 2005;185:860-866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