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Renal arteries, stents; Angiography, complications
임상소견
1년 전부터 고혈압이 조절되지 않아 이차성 고혈압여부에 대하여 검사하기 위해 내원함.
진단명
신동맥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한 신주위 혈종
영상소견
MR angiography상 우측 신동맥 근위부에 협착이 관찰되었으며, 우신동맥 혈관조영술상 같은 부위에 약 90%이상의 협착이 관찰되었다(Fig. 1a).
시술방법 및 재료
8Fr 유도 카테터를 우측 신동맥 기시부에 위치한 후 guidewire를 renal artery의 anterior branch까지 삽입하고, 협착 부위에 5 mm x14 mm Corinthian stent (Cordis, Roden, Netherland)를 삽입하였다. Stent 삽입 직후 시행한 혈관조영술상 협착은 소실되었다. 그러나, 스텐트 삽입 전 환자는 심한 우측부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혈관조영술상 신장의 외형이 변형되고 있었다 (Fig. 1b). 응급으로 시행한 CT검사상 신장을 심하게 압박하고 있는 신주위 혈종이 관찰되었다(Fig. 1c). 혈종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았으며, vital sign도 안정되어 보존적 치료를 하기로 하였다. 혈색소 수치는 7.5 g/dl로 감소되어 수혈을 시행하였다. 1개월 후에 시행한 CT검사상 혈종은 호전되었으며 스텐트는 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Fig. 1d).
Fig. 1
A. MR angiogram shows osteal stenosis of right renal artery (arrow)
B. Aortogram after stent deployment shows patency of right renal artery. However, note surface irregularity of right kidney (arrows)
C. Irrmediately CT scan after stent deployment shows a large subcapsular hematoma.
D. CT scan performed one-month later shows decreased amount of hematoma.
고찰
신동맥 협착환자에서 스텐트시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술적 성공율은 96~100%,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0~66%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스텐트 치료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1) catheterization시 나타나는 arterial dissections, guidewire에 의한 신장의 perforation, femoral pseudoaneurysm, 수혈 또는 수술을 요하는 groin hematoma 등이 있으며, 2) stent deployment시 나타나는 stent를 너무 원위부에 위치시키고 50% 이상 잔여헙착이 남은 경우, stent를 위치시킨 후 stent가 대동맥으로 2mm 이상 돌출된 경우, stent dis lodgement, 신동맥 이외의 혈관에 stent를 위치시킨 경우 또는 합병증 후 stent를 수술적으로 제거한경우 등이 있다.
스텐트 삽입시 발생하는 subcapsular hematoma는 1%의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원인은 불분명하나 guidewire에 의한 신장실질의 통과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종의 양이 적은 경우 수액요법은 시행하고, 혈색소 수치가 감소된 경우 수혈을 시행하는 보존적 요법으로 대부분 호전된다. 그러나, 출혈이 많거나 환자의 기저상태가 나쁜 경우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이 되지 않으며 출혈이 발생된 혈관에 대한 색전술이 필요하기도 한다.
본 증례에서 guidewire에 의한 신손상 여부와 subcapsular hematoma와의 연관관계는 불분명하나 저자들은 의인성 손상일 것이라 추정하며, 출혈이 국소적으로 관찰되고,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추가적인 색전술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던 예이다.
참고문헌
1. Beek FJ, Kaatee R Beutler JJ, van der Ven PJ, Mali WP. Complications during renal artery stent placement for atherosclerotic ostial stenosi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720:184-190
2. Morris CS, Bonnevie GJ, Najarian KE, Nonsurgical treatment of acute iatrogenic renal artery injuries occurring after renal artery angioplasty and stenting. AJR Am J Roertgenol 2001;177:1353-1357
3. Axelrod DJ, Freeman H, Pukin L, Guller J, Mitty HA. Guide wire perforation leading to fatal perirenal hemorrhage from transcortical collaterals after renal artery stent placement. J Vasc Interv Radiol 2004,15:985-987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