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Kidney
Fistula, arteriovenous
Embolization, coils
임상소견
10세경부터 현미경적 혈뇨가 있어 오다 최근 육안적 혈뇨로 악화되어 내원하였고, 25세때 신생검 검사를 받은 병력이 있음.
진단명
Left renal arteriovenous fistula
영상소견
좌측 신장 색도플러 초음파 검사와 조영증강 복부 CT에서 좌측 신장 하극에 비정상적으로 구불구불하게 확장된 혈관 병변이 관찰되었다 (Fig. 1).
혈관조영술상 좌측 신동맥으로부터 기시한 구불구불하게 확장된 혈관 병변을 통해 심하게 확장된 동측 신정맥과 하대정맥이 조기에 유입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Fig. 2).
Fig. 1
A. Color Doppler ultrasound shows a large cystic lesicn with intemal flow signa invdlving the lower portic of the left kidney.
B&C. Contrast-enhanced CT shows a large, lobulated, highly enhancing lesion in the lower pole of the left kidney and bulbously dilated left renal vein (arrows).
Fig. 2
Left renal angiography shows tortuousty dilated inferior segmental artery with early draining left reral vein.
시술방법 및 재료
혈관 병변을 공급하는 좌측 신동맥의 분지를 5Fr Cobra 카테터를 이용하여 선택한 후, 0.035inch 코일 네 개(5×5 두 개, 5×8 한 개, 8×10 한 개)를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Fig. 3).
시술후 시행한 혈관조 영술에서 이전에 보였던 거대한 동정맥루는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으며 추적검사로 이틀 후에 시행한 조영증강CT상 더 이상 혈관 병변이 조영되지 않아 병변내 혈전이 진행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 4). 환자는 시술후 육안적 혈뇨는 호전을 보였다.
Fig. 3
Post-embolization renal angiogram shows complete regression of the arteriovenous fistula.
Fig. 4
Follow-up CT demontrastes no more enhancement of the vascular lesion, suggesting thrombus formaic. The left renal vein pears to decrease in its caliber.
고찰
신장에 발생하는 동정맥루는 후천적, 선천적, 특발성 등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후천적 유형은 70~80 %로 가장 흔하고 외상, 암, 염증, 신장생검 biopsy 등의 외인성 요인에 의한다. 혈관조영술 검사상 구불구불하게 확장된 하나의 큰 동맥과 그것과 교통하는 하나의 정맥으로 관찰된다.
선천적 유형은 14~27 %이고 다발성의 구불구불한 동맥 및 정맥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특발성 유형은 약 2.8%를 차지한다. 신장생검에 의해 생긴 동정맥루는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일시적인 증상을 보이고, 대개 18개월 내에 없어진다. 동정맥루에 대한 치료에는 경동맥 색전술과 수술적 요법이 있는데, 색전물질로 gelfoam, cyanoacrylate, plastic polymer, autologous blood clotting, balloon 그리고 코일 등이 사용된다. 크거나 high-flow의 동정맥루는 대개 수술로 치료하지만, 경우에 따라 우선적으로 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Tommaso L, Francesco G Giuseppe G, Guglielmo M, et al. Giant high-flow renal arteriovenous fistula treated by percutaneous embolization. Urol 2003;61(4): 8371-837iii
2. Roland D, Siegfried T, Rupert P, Alexander B, et al Embolization of iatrogenic vascuar injuries of renal transplants: immediate and follow-up resul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8 21: 129-134
3. H. Shimmura, N. Ishikawa, K. Tanabe, T. Tokumoto, et al. Angiographic embolization in patients with renal allograft arteriovenous fistua. Transplant Proc 1998; 30 2990-2992
4. J. Asakuma, A. Miyajima, H. Sawazaki, Y. Miozuguchi, et al. Incidentally discovered giant ren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Intervent J Urol 2001; 8: 322-325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