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Transplanted Kidney Stenosis, renal artery Stent
임상소견
3개월전 당뇨병성 신증으로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로 추적검사 중 이식신동맥 협착증이 의심되어 내원함.
진단명
Renal arterial stenosis of the transplanted kidney
영상소견
도플러초음파 검사에서 신장내 동맥혈류의 가속시간이 지연되어 신동맥 협착이 의심되었다. 이식신에 대한 Tc-99m MAG3 신티그래피 기초 검사에서는 동위원소의 즉각적인 섭취와 배출을 보였으나, captopril 투여 후 배출시간이 지연되면서 콩팥동위원소조영 곡선이 상승되어 있다(Fig. 1).
부조영 CT 검사상 이식신의 조영증강이 약간 감소 되어 있으며 3D재구성 영상상 동맥문합부위에 협착이 의심되는 소견임 (Fig. 2) 혈관 조영술 상 우측 내장골동맥과의 이식신동맥의 문합 부위에 50% 이상, 편심성의 협착이 관찰되었다 (Fig. 3).
Fig. 1
Tc-99m MAG3 renal scintigraphy demonstraes prompt uptake and transit of radiotracer on the baseline study (A), but markedly prolonged transit of radiotraœr with elevated renogram curve after captopril ad ministration (B).
Fig. 2
Contrast enhanced CT shows decreased parenchymal perfusion of the transplanted kidney (A). Suspicious narrowing of the transplanted renal artery is noted at the anastomosis (arrow).
Fig. 3
The right internal iliac arteriogram shows moderate and ecentric stenosis involving the anastomosis site of the transplanted renal artery, along with mild post-stenotic dilataticn.
시술방법 및 재료
좌측 대퇴부 동맥을 천자하여 7Fr 유도카테터(Balk in; Cook)를 우측 내장골동맥 근위부에 말단을 위치시킨 후 협착 부위에 7mm~1.7cm 풍선확장형 금속스텐트를 삽입하였다.
시술 후 신동맥 조영술상 협착부위가 호전된 양상을 보임 (Fig. 4). 추적검사로 시행한 도플러 검사에서 신장내 동맥혈류의 스펙트럼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Fig. 5).
Fig. 4
After percutaneous deployment of balloon expandable stent (7 mm-17 cm sized), the arterial stenosis has regressed completely.
Fig. 5
A. Initia Doppler spectrum of the intrarenal artery shows significantly delayed acceleration time.
B. On follow-up Doppler ultrasound, the spectrum has normalized ater percutaneous stent deployment.
고찰
신이식 후 급성 혹은 만성 거부로 인한 이식 신부전은 면역치료법의 향상으로 20~30% 이하로 감소되었으나, 수여자의 사망, 공여신의 이전 질환의 재발, 약제 독성, 그리고 혈관 합병증 등으로 인한 이식 신부전은 증가되는 추세이다.
특히 이식신 동맥협착증이 23 %까지 보고되고 있어 예방, 조기 진단,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가 이식신과 환자의 생존율의 향상에 중요하다.
이식신 동맥협착증의 임상증상으로는 고혈압, 신기능저하 그리고 이식신 거부 등이 있고, Captopril scintigraphy, Duplex-Doppler검사, MRI, CT 등으로 진단하고 신동맥조영술으로 확진한다. 치료에는 대증요법과 수술이나 인터벤션 치료가 있는데, 대개 초기 인터벤션 치료로 경피적 신동맥 혈관성형술이 추천되며, 혈관 성형술에 저항을 보이는 재발성 동맥 협착증에는 스텐트 삽입술이 추천된다.
그리고 재협착율이 10~33 %까지 보고되는데 대부분의 이식신 동맥 협착증의 재협착과 탄성반도 등을 고려해 볼 때 본 증례와 같이 초기에 스텐트 삽입술을 고려해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1. Hariharan S, Johnson C, Bresnahan BA, Taranto SE, McIntosh MJ, Stablein D: Improved graft survival after renal transplantation in the United States, 1988 to 1996. N Eng J Med 2000; 342:605-612
2. Simona B, Giuseppe R, Piero R: Transplant Renal Artery Stenosis. J Am Soc Nephrol 2004; 15: 134-141
3. RG. da Silva, V.C. Lima, et al: Angioplasty with stent is the preferred therapy for posttransplart renal artery stenosis. Transplant Proc 2002; 34:514-515
4. R. Andrews, K.S. Nayak, S. Krishnan, et al: Percutaneous transluminal renal angioplasty with stent for treatment of transplant renal artery stenosis: A case report. Transplant Proc 2003; 35:304-306
5. Greenstein S, Verstanding A, Mclean G, et al: Percutaneous transluminal dilatation in renal transplant artery stenosis. Transplantation 1987; 43:29-32
6. Fauchald P, Vatne K, Paulsen D, et al: Long term clinical results of percutaneous translum inal angioplasty in transplant renal artery stenosis. Nephrol Dial Transplant 1992; 7: 256-259
7. Raynaud AM, Bedrossian J, Remi P, Brisser JM, Angel CY, Gaux JC: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of renal transplant renal arterial stenosis. Am J Rœentgenol 1986 146:853-857
8. Benoit G, Hiesse C, Icard P, et al: Transplant renal artery stenosis: experience and comparative results between surgery and angioplasty. Transplant Int 1990: 3:137-140
9. Clements R Evans C, Salaman JR: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of renal transplant artery stenosis. Clinic Radiol 1995; 50:245-250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