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응증 (Indications)
1) 담석이 있는 급성 담낭염이나 담석이 없는 무담석 담낭염(Acalculous cholecystitis)이다. 담석이 있는 급성 담낭염의 경우 환자의 전신 상태가 심각하거나 75세 이상의 노령 환자와 같이 응급 수술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담낭조루술을 통하여 환자를 안정시킨 후 담낭절제술을 진행하게 된다. 무담석 담낭염(A calculous cholecystitis)의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담낭조루술이 궁극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2) 담낭축농(GB empyema)나 담낭수종(GB hydrops), 담낭천공 등의 경우이다.
3) 담낭관 이하의 총담관 폐쇄가 있는 선택적인경우에 일시적인 담관 배액에도 사용될 수 있다.
2. 금기 사항 (Contraindic ations)
절대적 금기 사항은 출혈 경향이 있는 경우로서 혈소판이 50,000/cm3 이하이거나, 프로트롬빈 시간이 15초 이상인 경우이다. 상대적 금기 사항은 다량의 복수가 있어서 혈복강 또는 담즙 유출에 따른 복막염을 초래할 위험이 있는 경우이다.
3. 시술 방법
경피적 담낭조루술을 시행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접근 경로는 간을 통하는 경우(transhepatic, 경간)와 복막을 통과하는 경우(transhepatic, 경복막)로 나눌 수 있고 배액관을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 seld inger 수기와 트로카(trocar) 수기로 나눌 수 있다.
(1) 경간 경로 대 경복막 경로
A. 경복막 경로의 경우는 간을 통과하지 않고 담낭을 직접 천자하는 방법이다. 경복막 경로의 장점은 향후 경피적 담낭담석제거술을 시행할 경우 큰 경로의 확장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경복막 경로의 단점은 담낭 기저부(fundus)의 이동이 심하여 천자하기 어렵고 횡행결장(transverse colon)이 담낭을 싸고 있는 경우 결장 천공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seldinger수기를 사용하는 경우 유도철사가 담낭
밖에서 말리기 쉽다.
B. 경간적 경로의 장점은 담낭의 기저부와 달리 간에 부착되어 있고 움직임이 적은 담낭 부위로 배액관이 삽입된다. 따라서 천자하기 쉬고 담즙 유출이 있는 경우에는 간에 의해서 눌려질 수 있기 때문에 담즙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단점은 경피적 담낭담석제거술을 시행할 경우 큰 경로의 확장하는 과정에서 출혈 가능성이 증가된다.
(2) seldinger 수기법 대 트로카(tocar) 수기법
A. seldinger 수기법
ㄱ. 초음파을 이용하여 담낭의 위치와 담낭의 염증 유무를 확인하여 담낭을 천자하며 그 다음의 시술은 투시 유도하에 시행한다.
ㄴ. 21G나 22G 주사침(chiba needle)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담낭을 천자한다. 담낭이 천자되면 생리 식염수와 조영제를 1:1로 희석한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낭을 조영한다.
ㄷ. 주사침안으로 0.018인치 유도철사를 삽입한 후 피부를 배액관이 들어갈 정도(2-3mm)로 절개한다.
ㄹ. 0.018인치 유도철사 위로 stylet이 장착된 metal introducer set를 담낭에 삽입한 후 stylet을 빼고 0.035인치 유도철사를 넣고 7F에서 9F의 확장기(dilator)을 사용하여 경로를 확장한 후 7-8.5F 돼지 꼬리 형태의 배액관을 담낭에 삽입한다. 경로확장 과정에서 유도철사가 담낭 입구 부위에서 꺾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이런 경우에는 유도철사나 배액관이 담낭 밖인 복강내에 위치하게 된다.
B. 트로카 수기법
환자를 영상의학과로 옮길 수 없는 중환자실 환자의 경우에 침대옆에서 시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 유도하에 경간 경로로 시행한다 (14-17).
ㄱ. 먼저 배액관이 들어갈 피부를 국소 마취한 후 2-3mm로 절개한다.
ㄴ. 초음파 유도하에 21G나 22G 주사침(chiba needle) 이나 척수 바늘을 초음파 유도하에 담낭을 천자하여 기준(reference) 바늘로 한다.
ㄷ. 천자 후 담즙을 흡인하여 바늘이 담낭에 있는 것을 확인한다. 8F 돼지 꼬리 형태의 배액관을 기준 바늘에 일렬로 하여 한번에 신속히 담닝안으로 삽입한다. 배액관의 담낭내 위치는 초음파나 담즙 흡인으로 확인한다.
4. 배액관 관리
1) 배액관은 1일 3회 정도 약 10ml 의 생리식염수로 세척해야 개통 기간을 늘릴 수 있다.
2) 배액관은 최소 2주 후에 제거해야 한다. 담낭과 피부 사이 경로가 성숙되기 위해서는 2주가 필요하며 만약 그 전에 배액관을 제거하면 담즙이 복강으로 유출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배액관을 제거하기 전에 담낭과 피부 사이 경로가 성숙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18).
3) 급성담낭염의 증상이 호전되면 담낭염의 원인을 알기 위해 담낭담도조영술을 시행한다. 담낭담도조영술을 시행하여 담낭관(cystic duct)의 개통 여부 담낭, 담낭관, 총담관의 담석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5. 합병증
1) 경피적 담낭조루술의 합병증 발생률은 0-8%로 수술적 조루술의 약 24%에 비해 매우 낮다.
2) 주요 합병증은 출혈, 미주 신경 자극에 의한 서맥과 저혈압, 담즙 유출에 의한 복막염이다(19-21).
3) 담즙 유출이 의심되며 항생제를 투여하고 환자를 유심히 관찰해야 하며 환자의 상태가 안정되지 않으면 복강경이나 개복술이 필요하다.
4) 미주 신경 자극에 의한 서맥과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아트로핀(atropine)을 사용을 주장하는 저자들이 있으나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다.
그림 1. 급성 담낭염에서의 경피적 담낭조루술 시술 방법
A. 조영증강CT영상에서 담낭벽이 두꺼워져 있고 담낭 경부에 담석(화살표)이 보인다.
B. 22게이지 주사침(chiba needle)화살표)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담낭 체부를 천자한다.
C. 식염수와 조영제를 11로 희석한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낭을 조영한 후 주사침안으로 0.018인치 유도철사를 삽입한다(화살표).
D. 0.018인치 유도철사 위로 stylet이 장착된 metal introducer se((화살표)를 담낭에 삽입한다
E. Styiet을 빼고 0.035인치 유도철사를 넣고 7F 돼지 꼬리 형태의 배액관(화살표)을 담낭에 삽입한다.
그림 2. 국소담낭천공을 동반한 담낭축농(GB empyema)에서의 경피적 담낭조루술
A. 조영증강CT영상에서 담낭벽이 두꺼워져 있고 담낭에 담석((화살표)이 보인다. 담낭 기저부의 담낭벽의 결손과 공기 방울(짧은 화살표)이 있어 담낭 천공을 나타낸다.
B. 7F 돼지 꼬리 형태의 배액관을 담낭에 삽입하였다. 담낭에 담석(화살표)이 있고 담낭 주위에 공기 방울(짧은 화살표)이 있다.
그림 3. 경피적 담낭조루술 후의 담낭담도조영술(cholecystochdang iography)
경피적 담낭조루술 후 5일 후에 시행한 담낭담도조영술에서 담낭에 많은 수의 담석들(화살표)이 있고 총담곤(짧은 화살표)에도 담석이 있다.
참고문헌
1. Glenn F, Grafe WR Jr. Historical events in biliary træct surgery Arch Surg. 196693:848-852
2. Elyaderani M, Gabriele OF.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and cholangiography in patients with ostructive jaundice. Radiology 1979,130:601-612
3. Shaver RW, Hawkins IF Jr, Soong J.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AJR Am J Roentgenol 1982:138:1133-1136
4. Vogelzang RL, Nemcek AA Jr.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diagnostic and therapeutic efficacy. Radiology 1988;168:29-34
5. Werbel GB, Nahrwold DL, Joehl RJ, et al.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cholecystitis in the high-risk patient. Arch Surg. 1989;124:782-785
6. Van Steenbergen W, Ponette E, Marchal G, et al.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ecystostomy for acute complicated cholecystitis in elderly patients. Am J Gastroenterol 1990;85:1363-1369
7. Boland GW, Lee MJ, Leung J, et al.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in critically ill patients: early response and final outcome in 82 atients. AJR Am J Roertgenol 1994,163339-342
8. Hatzidakis AA, Prassopoulos P, Petinarakis I, et al Acute cholecystitis in high-risk patients: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vs conservative treatment. Eur Radiol 2002;12:1778-1784
9. Lee MJ, Saini S, Brink JA, et al. Treatment of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sepsis of unknown cause: value of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AJR Am J Roertgenol. 1991;156:1163-1166
10. Chuang VP. The aberrant gallbladder: angiographic and radioisotopic considerations AJR Am J Rœntgenol 1976:127417-421
11. Gore RM, Ghahremani GG, Joseph AE, et al. Acquired malposition of the colon and gallbladder in patients with cirrhosis: CT findings and clinical implications. Radiology 1989;171:739-742
12. Warren LP, Kadir S, Dumick NR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anatom ic considerations. Radiology 1988:168:615-616
13. vanSonnenberg E, D'Agostino HB, Casola G, et al The benefits of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for decompression of selected cases of obstructive jaundice. Radiology 1990:176:15-18
14. Mc Gahan JP. A new catheter design for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Radiology 1988;166:49-52
15. Sosna J, Copel L Kane RA et al.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update on technique and clinical applications. Surg Technol Int 2003;11:135-139
16. Akhan 0, Akinci D, Ozmen MN.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Eur J Radiol 2002;43:229-236
17. Cope C. Percutaneous subhepatic cholecystostomy with removable anchor. AJR Am J Roentgenol 1988;151:1129-1132
18. D'Agostino HB, vanSonnenberg E, Sanchez RB, et al. Imaging of the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tract: observations and utility. Radiology 1991;181675-678
19. vanSonnenberg E, D'Agostino HB, Goodacre BW, et al. Percutaneous gallbladder puncture and cholecystostomy: results, complications, and caveats for safety. Radidlogy 1992;183:167-170
20. Taormina V, McLean GK. Chronic bile peritonitis with progressive bile ascites: a complication of percutaneous biliary drainage.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85;8:103-105
21. 강성권 송호영, 윤현기 등. 경피적 담낭루 설치술 : 60예 치험. 대한영상의학회 1996;3489-93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