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5 파열된 복강동맥 동맥류에서 섬유아교를 이용한 치료 Fibrin Glue Embolization of Ruptured Celiac Trunk Aneurysm

권세환 , 오주형 , 박호철
Korean J Interv Radiol 2007;14(1):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7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1
  • 100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Arteries, interventional procedure, Arteries, therapeutic embolization
증례
38세/남자
임상소견
급성 상복부 통증과 혈압 강하를 주소로 응급실 내원하여 64-다중채널 복부 컴퓨터 혈관촬영 시행
진단명
복강동맥 동맥류 파열 및 복강, 후복막강에 다량의 혈종
영상소견
복강동맥 기시부가 약 70~80%정도의 협착을 보이고 있으며 그 상부에 최대직경이 약 2.6cm정도되는 동맥류가 있음. 좌측 위동맥이 동맥류에서 직접 기시하고 있으며 주변 복강 및 후복막강에 다량의 혈종이 관찰됨(Fig. 1).
Fig. 1. A
Fig. 1 (a) Abdomen CT shows about 2.6cm sized celiac trunk aneurysm(arrows) and large amount of hematoma at retroperitoneal space.
Fig. 1. B
(b) 3D reconstruction image shows celiac trunk aneurysm and severe stenosis of celiac trunk. Left gastric artery originating from celiac aneurysm is noted.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대퇴동맥을 통하여 5 Fr 코브라 도관으로 복강동맥을 선택한 후 혈관조영술을 실시한 사진에서 복강동맥의 동맥류와 좌측 위동맥이 관찰됨(Fig. 2). 비장동맥 및 간동맥들은 상장간막 동맥을 통하여 공급받고 있음(Fig. 3). 3 Fr 미세도관을 동맥류 내에 위치시킨 후 섬유성 아교와 리피오돌을 1:1로 혼합하여 동맥류 내에 주입(Fig. 4). 이후 2개월 추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에서 동맥류가 성공적으로 사라진 것을 확인함(Fig. 5).
Fig. 2.
Fig. 2 Celiac trunk angiogram shows about 2.6 cm sized aneurysm and left gastric artery from the aneurysm.
Fig. 3.
Fig. 3 SMA angiogram shows the prominent pancreatico-duodenal arteries. Hepatic and splenic arteries are supplied by SMA.
Fig. 4.
Fig. 4 Embolization of celiac trunk aneurysm with fibrin glue and lipiodol mixture (1:1).
Fig. 5.
Fig. 5 Follow-up abdomen CT after 2 months shows the well embolization state of celiac trunk aneurysm(arrows).
고찰
내장동맥의 동맥류 혹은 가성동맥류는 드문 혈관 병변이다. 원인질환으로는 동맥경화증, 외상, 수술, 염증, 교원혈관병, 동맥염이나 선천성이상 등이 있다. 복강동맥의 동맥류는 내장동맥의 동맥류중 4번째로 흔하며 보다 더 흔한 질환으로는 비장동맥, 간동맥, 상장간막동맥의 동맥류등이 있다. 복강동맥에 동맥류가 있는 경우 증상이 없을 수 있고 우연히 발견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환자들은 동맥류가 자람에 따라서 복통을 호소하거나 동맥류의 파열에 의하여 위중한 동맥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에 따라서는 2 cm이 넘는 동맥류나 가성동맥류는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수술적 결찰술, 혈관성형술, 혈관내 색전술이 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내장동맥의 동맥류는 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다량의 출혈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동맥류 자체를 찾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혈관내 색전술이 첫번째 치료방법으로 선택되어져야 한다. 색전술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들로는 젤폼, 트롬빈, 이바론, 섬유아교, 금속코일, 분리풍선등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동맥류의 크기와 위치, 혈류 형태 등 여러가지를 종합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복강동맥의 치료에 있어서 주변의 좌측위동맥, 비장동맥, 총간동맥등이 폐색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하며 주변의 곁순환가지들이 충분한지 미리 살펴보아야 한다. 필요할 경우 주변 동맥을 금속코일로 막고 시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내장동맥의 동맥류가 있을 경우 혈관조영술이 필수적이며 가능한 혈관내 색전술이 수술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 Schoder M, Cejna M, Langle F, Hittmaier K, Lammer J. Glue embolization of a ruptured celiac trunk pseudoaneurysm via the gastroduodenal artery. Eur Radiol. 2000;10 :1335-1337 2. Abbott GT, McDermott, Smith T. Successful endovascular treatment of a celiac artery pseudoaneurysm complicating pancreatitis. J Vasc Interv Radiol 1996; 7: 103-106 3. Busuttil RW, Brin BJ.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isceral artery aneurysms. Surgery 1980; 88: 619-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