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1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s of Arterial Bleeding in Patients with Pelvic Bone Fracture

정수진 , 임남열 , 한승민 , 장남규 , 김재규
Korean J Interv Radiol 2008;15(1):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8

전남대학교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97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Pelvic bone, fracture, artery, embolization
증례
46세/남자
임상소견
10층 높이에서 낙상 사고(fall down) 후 골반골 골절과 함께 혈압이 측정 불가능할 정도로 하강되고 혈색소 수치가 9.0으로 생체 징후가 불안정하여 이에 대한 경피 경관 색전술 위해 의뢰됨.
영상소견
단순 골반 촬영에서 좌측 천장골 관절의 탈골과 치골 결합부 전위와(Fig.1) 함께 조영 증강 복부 전산화 단층 사진에서 치골 결합부 직상부에서 조영제의 혈관 외 유출이 관찰됨(Fig.2).
시술방법 및 재료
좌측 대퇴동맥에 5 F sheath를 삽입하고 5-French Yashiro catheter로 양측 내장골 동맥에 위치시킨 후 혈관 조영술을 시행한(Fig.3) 다음 손상이 의심되는 양측 회음부 동맥을 0.016-inch microguide wire와 microcatheter를 이용하여 선택적 혈관조영술을 다시 시행하여 양측 내회음부 동맥의 조영제의 유출을 확인하였다. 이 후 양측 내회음부 동맥을 젤폼조각과 오른쪽 내회음부 동맥은 2개, 왼쪽 내회음부 동맥은 3개의 microcoil을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색전술 후 얻은 내장골 동맥 혈관 조영술에서 조영제의 혈관 외 유출은 더 이상 보이지 않았다. (Fig 4)
고찰
골반 골절이 있는 대부분의 환자는 혈류역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소수에서만 중재적 시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골반 골절과 동반된 출혈이 아주 심할 때는 출혈의 조절은 아주 어려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1). 과거에는 이러한 출혈을 개복 술에 의한 직접적인 결찰술이 사용되었으나 결과는 좋지 않았다. 그 이유로는 골반의 광범위한 측부순환으로 인한 완전 지혈이 곤란하다는 점과 개복술시 출혈하는 혈관을 찾기가 아주 어렵고 혈종을 제거하면 탐폰효과가 없어져 조절할 수 없는 많은 양의 정맥출혈이 생기게 되고 또한 후복막강의 광범위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피경관 동맥색전술은 혈종의 탐폰효과로 정맥출혈을 조절하면서 동맥 출혈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응급진단에 이어 효과적으로 선택적 지혈을 즉시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유용하다. 경피경관 동맥색전술시 가능한 출혈동맥, 전 모세혈관 단위의 세동맥에 색전을 시행하여야 전모세혈관총을 통한 측부 순환에 의해 적절한 조직 관류가 일어난다(1). 양쪽 내장골동맥 색전술후에 방광이나 자궁의 괴사, 발기 부전이 발생할 수 있으나 그 빈도는 극히 낮으며 발기 부전이 생긴 환자에서도 2개월 내에 그 기능이 회복된다고 보고 되고 있다. 또한 골반 분열이 있을 때 천골부 신경총의 손상이 흔하기 때문에 임포텐스의 원인은 손상 자체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색전술에 의한 합병증 때문인지도 말하기는 어렵다. 보고에 의하면 골반 골절환자의 사망률은 7-15%이며 색전술이 필요한 경우의 사망률은 약 42%가 된다고 한다. 경피 경관 동맥 색전술은 출혈이 많은 환자에서 수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심지어 생명에 위협적이지 않는 환자에서도 수혈로 전파되는 질병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골반골절에 동반된 동맥출혈의 치료로서 경피 경관 동맥색전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출혈성 쇽이나 지혈장애인 경우에 있어서도 수술적 치료와는 달리 금기가 아니어서 적응증이 된다 (3). 결론적으로 외상으로 인한 골반 골절에 동반된 동맥손상에 의한 출혈이 있을 때 가능한 신속히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손상 동맥의 위치와 손상의 정도를 파악하고 즉시 경피 경관 동맥색전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용한 치료법이다
참고문헌
1. Perez JV, Hughes TMD, Bowers K. Angiographic embolization in pelvic fracture. Injuries 1998;29:187-191 2. Piotin M, Herbreteau D, Guichard JP, et al. Percutaneous transcatheter embolization in multiple injured patients with pelvic ring disruption associated with severe hemorrhage and coagulopathy.Injury 1995;26:677-680 3. 조용호·이희상·김현철 경피 경관 동맥 색전술을 이용한 골반 골절에 동반된 동맥출혈의 치료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9;41:903-908
Fig. 1.
Fig. 1 Plain film shows separation of left superior and symphysis pubis.
Fig. 2.
Fig. 2 CT angiogram shows extravasation of contrast material and large hematoma in superior portion of symphysis pubis.
Fig. 3. 1
Fig. 3 Arterial phase of selective both internal iliac arteriogram demonstrates extravasation of injected contrast media in peripheral branch of both internal pudendal arteries
Fig. 3. 2
Fig. 3 Arterial phase of selective both internal iliac arteriogram demonstrates extravasation of injected contrast media in peripheral branch of both internal pudendal arteries
Fig. 4. 1
Fig. 4 Both internal iliac arteriogram obtained immediately following embolization of peripheral branch of left internal pudendal artery demonstrates that extravasation is no longer apparent.
Fig. 4. 2
Fig. 4 Both internal iliac arteriogram obtained immediately following embolization of peripheral branch of left internal pudendal artery demonstrates that extravasation is no longer ap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