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Embolization,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Aberrant bronchial artery
임상소견
우하엽에 기관지확장증 있으며, 2년전 다량의 객혈있어, 한차례 기관지동맥색전술 시행받았던 환자로 내원 당일 100cc 정도의 객혈 3차례 있어 내원. 내원 당시 Hgb 12.6이었고 BP 150/100 이였음. 내원 다음 날 객혈 양 증가하고, Hgb 11로 감소 소견 있어 기관지동맥색전술 시행
진단명
이상 기시 기관지동맥에 의한 재발성 객혈
영상소견
Chest CT lung window setting image에서 우하엽에 기관지확장증 있으며, Volume rendering image에서 대동맥활에서 기시한 작은 혈관이 있음. 이 혈관은 하방으로 주행하여 우기관지 벽을 따라 주행함.(Fig 1-A,B) 대동맥에 pig-tail 카테터를 두고 시행한 조영검사에서 뚜렷하게 커져있는 혈관은 발견되지 않았음.
시술방법 및 재료
객혈의 원인이 되는 혈관을 찾기 위해 시행한 조영검사에서 커져있는 우기관지동맥을 발견하였으며, 대동맥활에서 기시하는 것을 확인함. 이상 기시 우기관지동맥을 Simmons catheter로 초선택하여 시행한 조영검사에서 우하엽에 과혈관성병터가 보임.(Fig3-A) 이상 기시 우기관지동맥을 미세도관으로 선택하여 gelfoam과 PVA 입자를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함. 색전술 후 사진에서 더 이상의 과혈관성 병터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함. (Fig3-B)
고찰
대량객혈은 질식과 드물지만 과다출혈 때문에 보존적인 치료만을 시행하였을 경우에 사망률이 약 50~85%에 이르는 호흡기계 질환 중 가장 치명적인 응급상황이다. 대량객혈의 원인은 대부분 기관지동맥이며, 따라서 기관지동맥색전술은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의 대량 혹은 재발성 객혈의 유용한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기관지동맥색전술 시행 후에도 객혈이 재발하는 경우 이상 기시한 기관지 동맥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약 20%에서 기관지동맥은 내림흉부대동맥 이외의 장소에서 이상 기시하며, 이중 가장 흔한 부위는 대동맥활이다. 그 밖에 속가슴동맥, 갑상목동맥, 빗장밑동맥, 목갈비동맥, 무명동맥, 심장가로막동맥, 아래가로막동맥, 복부대동맥등이 있다.
제 5,6 등뼈 부위에서 비후된 기관지동맥을 찾지 못했을 때, 이상 기시하는 기관지동맥을 찾기 위해 대동맥활조영술 혹은 쇄골하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의사는 기관지동맥색전술을 시행하기 전 반드시 CT를 통해서 이상기시기관지동맥을 확인해야 하며, 조영술을 시행하였을 때, 과혈관성 폐실질을 공급하는 의의있게 비후된 기관지동맥이 관찰되지 않을 때, 이상기관지동맥의 가능성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또한 성공적인 기관지동맥 색전술 시행 후에도 재발하는 객혈이 있을 때, 조영술을 통해 이상 기시 기관지 동맥을 찾아 색전 함으로써 치료율을 높여야 하겠다.
참고문헌
1. Yoon W, Kim YH, Kim JK, et al. Massive hemoptysis:prediction of nonbronchial systemic arterialsuppluy with chest CT. Radiology 2003;227:232-238
2. Antoine K, Muriel F, Marc T, et al. Role of MDCT in identification of the bleeding site and the vessel causing hemoptysis. AJR 2007;188:W117-W125
Fig. 1. A
Fig. 1 (A) Chest CT shows bronchiectasis in RLL
Fig. 1. B
(B) 3D-Volume-rendering-image shows enlarged bronchial artery origin from aortic arch
Fig. 2.
Fig. 2 Flushing aortic arch angiogram
Fig. 3. A
Fig. 3 (A) Aberrant right bronchial artery origin from aortic arch and hypervascular staining lesion in RLL
Fig. 3. B
(B) Post-embolization images of shows no definite hypervascular staining lesion in RLL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