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2 기관지동맥류 색전술 Embolization of the bronchial artery aneurysm

김효철 , 제환준 , 전웅배 , 정진욱 , 박재형
Korean J Interv Radiol 2008;15(1):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101 Views
  • 1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aneurysm,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증례
66세/남자
임상소견
우연히 발견된 기관지동맥류 17년전 기관지 확장증으로 진단받고 지내던 중 2002년 흉부컴퓨터단층촬영(CT)에서 기관지동맥류가 발견됨. 2007년 흉부 CT에서 기관지동맥류의 크기가 증가함 (2002년 15mm, 2007년 18mm).
진단명
기관지동맥류 (Bronchial artery aneurysm)
영상소견
흉부 CT 에서 하행흉부대동맥과 기관지 사이에 18mm 크기의 동맥류가 있으며, 기관지 동맥과 연결이 되고 있어서 기관지동맥류에 합당하다 (Fig. 1). 기관지동맥조영술에서 기관지동맥류가 보이며 좌기관지동맥의 커져 있다 (Fig. 2A). Glue와 리피오돌을 이용하여 색전하였고 (Fig. 2B), 기관지동맥조영술에서 동맥류의 일부가 조영제로 조영되고 있어(Fig. 2C), Glue와 리피오돌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색전을 시행하였다. 이후 기관지동맥조영술에서 동맥류가 보이지 않는다(Fig. 2D). 3일후 시행한 CT에서 동맥류는 완전히 색전되어 있다 (Fig. 3).
시술방법 및 재료
초음파 유도하에 우총대퇴동맥을 천자하고 5Fr sheath(Terumo, Tokyo, Japan)를 우총대퇴동맥에 삽입하였다. Pigtail catheter(Cook, Bloomington, IN, USA)를 상행대동맥에 위치시키고 대동맥조영술을 시행하였고, G.R.B catheter(A&A Medical Device Company)를 이용하여 좌기관지동맥조영술을 시행하였다. Microferret catheter(Cook)를 이용하여 원위부 기관지 동맥을 선택하려고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PVA particle 250-355 micrometer(Contour, Bostomscientific, Fremont, Calif)과 gelatin sponge particle(Gelfoam; Upjohn, Kalamazoo, Mich)을 이용하여 원위부 기관지 동맥을 색전하여 동맥류 내부의 혈류 속도를 줄였다. 이후 N-butyl-2-cyanoacrylate (Histoacryl, B. Braun, Melsungen, Germany)와 리피오돌의 1:3 혼합액을 이용하여 동맥류 자체의 색전술을 3회에 걸쳐서 시행하였다. 색전물질이 기관지동맥의 근위부까지 차도록 색전하였다.
고찰
기관지동맥류는 매우 드물며, 기관지확장증, 만성 염증, trauma, Rendu-Osler-Weber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 기관지동맥류는 우연히 발견될 수도 있지만, 파열되면 혈흉, 객혈, hemomediastinum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기관지동맥류가 생기는 기전은 폐에 만성염증으로 인하여 기관지동맥의 혈류가 증가하고, 기관지동맥이 늘어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동맥류가 생긴다는 가설로 설명하고 있다. 기관지동맥류는 coil, gelatin particle, N-butyl-2-cyanoacrylate, occlusion balloon, stent-graft 등으로 치료한 보고들이 있다. 기관지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해 어떤 색전물질을 사용하더라도, 영양동맥(feeding artery)과 efferent artery를 같이 색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동맥류가 매우 커서 원위부 기관지 동맥으로 미세도관이 진입하지 못하여 Gelfoam과 PVA particle로 원위부 기관지 동맥을 색전한 후, 동맥류는 N-butyl-2-cyanoacrylate를 이용하여 영양동맥까지 색전하였다.
참고문헌
1. Aburano H, Kawamori Y, Horiti Y, Kitagawa K, Sanada J, Matsui O. Bronchial artery aneurysm embolization with NBCA.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006;29:1141-1143 2. Pugnale M, Portier F, Lamarre A, et al. Hemomediastinum caused by rupture of a bronchial artery aneurysm:successful treatment by embolization with N-butyl-2-cyanoacrylate. J Vasc Interv Radiol 2001;12:1351-1352 3. SakaiT, Razavi MK, Semba CP, Kee ST, Sze DY, Dake MD. Percutaneous treatment of bronchial artery aneurysm with use of transcatheter coil embolization and thoracic aortic stent-graft placement. J Vasc Interv Radiol 1998;9:1025-1028
Fig. 1. A
Fig. 1A Enhanced CT scan shows aneurysm (arrow) supplied by the bronchial artery (arrowhead).
Fig. 2. A
Fig. 2A Left bronchial angiogram shows aneurysm coming from the proximal left bronchial artery and hypertrophied left bronchial artery.
Fig. 2. B
Fig. 2B Radiograph obtained during injection of Histoacryl/Lipiodol mixture shows embolization material casting the aneurysm.
Fig. 2. C
Fig. 2C Left bronchial angiogram after partial embolization shows partial filling of contrast media in the aneurysm.
Fig. 2. D
Fig. 2D Left bronchial angiogram after complete embolization shows no opacification in the aneurysm and regurged contrast media into the aorta.
Fig. 3.
Fig. 3 Unenhanced CT scan 3 days after embolization shows bronchial aneurysm filled with Histoacryl/Lipiodol mix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