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Arteries, interventional procedure, Arteries, stenosis or obstruction, Arteries, stent and prostheses
임상소견
2개월전 뇌경색 발생하여 보존적 치료받던 환자로 만성적인 식후복통이 있어 64-다중채널 컴퓨터촬영 시행하였음.
진단명
Proximal superior mesenteric artery total occlusion with significant stenosis of celiac trunk and proximal inferior mesenteric artery
영상소견
상창자간막 동맥은 근위부에서 2.3cm 정도 길이로 완전폐색이 관찰되며 복강동맥과 하창자간막동맥이 모두 기시부에서 심한 협착을 동반하고 있음(Fig 1, 2)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대퇴동맥을 통하여 7Fr 안내도관을 삽입하여 복강동맥 기시부에 위치시켜놓고 복강동맥을 4mm x 4cm 풍선으로 확장시켰으나 여전히 심한 협착이 관찰되어 6mm x 27mm 스텐트(Express, Boston Scientific, USA)를 설치하였다 (Fig 3). 이후 좌측 겨드랑 동맥을 통해 7Fr 안내도관을 이용하여 하창자간막 동맥 기시부에 5mm x17mm 스텐트(Express)를 설치하였다 (Fig 4). 시술 후 환자는 더 이상 식후복통을 호소하지 않았다.
고찰
허혈성 복통은 위장관계의 만성허혈로 발생하는데 보통 두개 이상의 창자간막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게 된다. 임상적으로는 만성적 식후복통, 체중감소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치료의 목적은 직접적 혹은 곁가지동맥을 통해 충분한 혈류순환을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원인으로는 동맥경화에 의한 폐색이 가장 많으며 드물게 동맥염, 섬유근성이형성증, 신경섬유종증 등이 있다. 과거 이러한 허혈성 복통의 치료는 수술이 유일한 방법이었으나 최근 풍선을 이용한 혈관성형술과 스텐트의 발달로 큰 합병증없이 추적조사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고 있다. 만성 창자간막 허혈의 진단에 있어 동맥의 협착과 임상증상과의 연관성은 여러 가지 논쟁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여러 다른 임상증상과 가능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Acute Mesenteric Ischemia, Retroperitoneal or Celiomesenteric Malignancy, Median Arcuate Ligament Syndrome, Gastroduodenal Ulcer, Nonocclusive Vascular Lesions:Aneurysms and Dissections 등이 있다.
참고문헌
1. Cognet F, Ben Salem D, Dranssart M, et al. Chronic mesenteric ischemia:imaging and percutaneous treatment. Radiographics 2002; 22:863–879
2. Rose SC, Quigley TM, Raker EJ Revascularization for chronic mesenteric ischemia:comparison of operative arterial bypass grafting and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J Vasc Interv Radiol 1995; 6:339–349
3. Nyman U, Ivancev K, Lindh M, Uher P Endovascular treatment of chronic mesenteric ischemia:report of five case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8; 21:305–313
4. Yamakado K, Takeda K, Nomura Y, et al. Relief of mesenteric ischemia by Z-stent placement into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compressed by the false lumen of an aortic dissection.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8; 21:66–68
Fig. 1. A
Fig. 1 (a) Abdominal CT 3D reconstruction image showing significant narrowing of the celiac artery (upper arrow) and diffuse total occlusion of the proximal superior mesenteric artery (lower arrows).
Fig. 1. B
(b) Abdominal CT 3D reconstruction image showing the marginal artery of Drummond and the paracolic arcade run between the superior and inferior mesenteric artery.
Fig. 2.
Fig. 2 Image from angiography of the low abdominal aorta shows a significant stenosis of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arrow) and prominent marginal artery of Drummond connected to the paracolic arcade.
Fig. 3.
Fig. 3 Balloon-expandable stent was inserted within the stenotic portion of the celiac trunk. Post-stent implantation angiogram shows restored celiac blood flow
Fig. 4.
Fig. 4 A 5mm x17mm Express stent was inserted into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Final angiogram shows a good result after stent placement.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