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8 감염성 상장간동맥류의 코일을 이용한 혈관내 치료 Coil Embolization of Mycotic Superior Mesenteric Artery Aneurysm

정진희 , 권동일 , 윤현기 , 고기영 , 성규보 , 신지훈 , 송호영
Korean J Interv Radiol 2008;15(1):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8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99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mycotic aneurysm, embolization, superior mesenteric artery
증례
52세/여자
임상소견
환자는 내원 1주일 전부터 반복적인 발열, 오한 및 설사 증상을 보였으며 승모판막 증식(vegetation)에 따른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받고 항생제 치료 및 내원 다음날 심장수술(승모판막 대치술)을 받았다. 입원 중 지속적인 복통을 호소하였다.
진단명
Mycotic Superior Mesenteric Artery Aneurysm
영상소견
내원 3일전 외부병원에서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상장간막동맥(superior mesenteric artery)에 분절 폐색 (Fig.1A) 및 혈관주위 침윤이 보였고(Fig.1B) 색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내원 1달 후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이전 검사에서 상장간막동맥에 분절폐색을 보였던 부위에 약 3.5cm 크기의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Fig.2).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대퇴동맥을 천자하여 5-F RH catheter(Cook, Bloomingtom, IN, U.S.A)로 시행한 상장간막동맥 혈관촬영술에서 상장간동맥의 원위부에서 낭성 동맥류를 확인하였고 (Fig,3A) 혈관내 치료를 결정하였다. 2.8-F Prograte microcatheter (Terum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동맥류의 근위부와 원위부를 색전하기 위해 원위부 공장분지동맥(jejunal branch)과 공회장분지동맥(jejunoileal branch) 및 상장간막동맥의 근위부 영양 동맥을 선택 후 25개의 Tornado microcoil (Cook)과 Nester microcoil (Cook)을 사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우측 대장 분지동맥의 근위부가 우발적으로 색전이 되었다(Fig,3B). 시술 후 시행한 상하장간막동맥 혈관촬영술에서 동맥류는 완전 폐색되었으며, 우측 대장 분지동맥은 상장간막동맥의 공회장분지동맥과 하장간막동맥의 중간 대장동맥에서 재개통되어 있었다 (Fig,4A-B). 시술 20일 후에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상장간막동맥류는 완전 폐색되었고 장허혈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Fig,5).
고찰
상장간동맥류는 드문 질환이며 내장 동맥류에 약 8%에 해당한다. 이중 감염성 동맥류가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며 약 50-60%에 해당한다. 다른 원인으로는 죽상동맥경화나 교원성 혈관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은 무증상을 보이거나 증상을 보이는 경우 복통이 가장 흔하며 그 외 박동성 종괴로 나타날 수 있고 장허혈 증상으로 발견될 수 있다. 드문 질환이나 크기와 관계없이 파열의 위험성이 높고 장 허혈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특히 낭성 비석회화성 동맥류의 경우 파열이 위험성이 높으며 파열이 일어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치료방법으로 기존의 동맥류를 절제하고 제건하는 수술적 방법 및 결찰술 등이 있다. 최근에는 경도관 코일을 이용한 혈관내 색전술로 효과적인 치료를 하였다는 보고들이 발표 되고 있다.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는 크기, 위치 및 형태 (ex, wide neck) 등이 고려되며 장허혈이 동반된 경우 장 절제가 함께 시행된다. 경도관 색전술의 경우 기존 수술에 비해 시술 시간이 짧으며 시술 후 부작용이 적어 효과적 치료법으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파열이 일어난 환자나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수술을 시행할 수 없었던 환자에서 시행한 경우도 보고된 바 있다. 결찰술이나 경도관 색전술 후 곁순환이 이루어져 장허혈이 생기는 경우는 드물며 임상적으로 혹은 검사에서 장 허혈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 혈관재개통술은 필요하지 않다.
참고문헌
1. Stone WM, Abbas M, Cherry KJ, Fowl RJ, Gloviczki P. Superior mesenteric artery aneurysm:Is presence an indication for intervention? J Vasc Surg. 2002;36(2):234-237 2. Chu PH. She HC, Lim KE, Chu JJ. Mycotic aneurysm of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in a young woman. Int J Clin Pract. 2005;5:614-616 3. Lorelli DR, CambriaRA, Seabrook GR, Towne JB.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neurysms involving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and its branches—a report of four cases. Vasc Endovascular Surg. 2003;37(1):59-66 4. Javid PJ, Belkin M, Chew DK. Mycotic aneurysm of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A delayed complication from a neglected septic embolus. Vasc Endovascular Surg. 2005;39(1):113-116 5. Okamoto M, Kaneko Y, Okamura K:Embolization for ruptured superior mesenteric artery aneurysms. Br J Radiol. 1996;69:296-300
Fig. 1. A
Fig. 1 CT angiography (A) and coronal CT image (B) showed segmental occlusion of superior mesenteric artery with increased mesenteric fat attenuation.
Fig. 1. B
Fig. 1 CT angiography (A) and coronal CT image (B) showed segmental occlusion of superior mesenteric artery with increased mesenteric fat attenuation.
Fig. 2.
Fig. 2 On axial CT at 1 month later, aneurysm was developed in superior mesenteric artery.
Fig. 3. A
Fig. 3 Superior mesenteric arteriogram (A) showed a saccular aneurysm with wide neck at distal superior mesenteric artery. During coil embolization right colic artery was accidently embolized by a microcoil (B).
Fig. 3. B
Fig. 3 Superior mesenteric arteriogram (A) showed a saccular aneurysm with wide neck at distal superior mesenteric artery. During coil embolization right colic artery was accidently embolized by a microcoil (B).
Fig. 4. A
Fig, 4 Superior mesenteric arteriogram (A) and inferior mesenteric arteriogram (B) showed successful occlusion of the aneurysm and right colic arterial recanalization from mid colic artery of inferior mesenteric artery.
Fig. 4. B
Fig, 4 Superior mesenteric arteriogram (A) and inferior mesenteric arteriogram (B) showed successful occlusion of the aneurysm and right colic arterial recanalization from mid colic artery of inferior mesenteric artery.
Fig. 5.
Fig. 5 On axial CT 17 days after the coil embolization, the aneurysm was completely embolized and bowel ischemia was not no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