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07. 출산 후 난소동맥 동맥류 파열로 인한 후복강 출혈의 색전술 / Embolization: spontaneous retroperitoneal hematoma from rupture of an aneurysm of the ovarian artery following delivery.

이승화 , 정환훈 , 차인호 , 김윤환 , 조성범
Korean J Interv Radiol 2009;16(1):7.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9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영상의학과
  • 91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Aneurysm, ovarian artery, embolization
증례
34세/여자
임상소견
세 번째 자연분만을 3일전에 마치고 퇴원하였던 환자가 갑자기 발생한, 우측 허리의 극심한통증과 뒤이어 발생한 어지러움을 주 증상으로 내원하였음. 내원시 환자의 Hb은 6.1g/dL로 측정되었고, 수혈 후에도 저혈압과 빈혈이 지속됨.
진단명
Spontaneous retroperitoneal hematoma from rupture of an aneurysm of the ovarian artery following delivery.
영상소견
CT상 우측 후복강이 hematoma에 의해 팽창되어 있었고 hematoma내부에 구불구불하고 조영이 잘되는 혈관으로 생각되는 구조물이 보임(Fig. 1).
Fig. 1
Coronal MPR CT iamge (A) shows large right retroperitoneal hematoma with internal tortuous vascular structure. MIP image (B) shows tortuous right ovarian artery with focal aneurysm.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총대퇴동맥을 천자하고 5Fr sheath(Terumo, Tokyo, Japan)을 삽입함. Pig-tail catheter(Cook, Bloomington, USA)로 복부대동맥과 양측 장골동맥의 혈관조영술을 시행함. 우측 난소동맥이 커져있으며, 난소 동맥의 원위부에 동맥류 혹은 가성동맥류로 생각되는 병변이 발견됨. 난소동맥은 자궁동맥과 연결이 있어, 자궁의 윗 부분은 난소동맥에 의해 조영되고 있었음(Fig. 2). 5Fr RDC catheter (cook, Bloomington, USA)로 우측 난소동맥의 조영술을 재차 시행하여 위 사실을 다시 확인 후, microcatheter (Renegade, Boston Scientifics, USA)를 coaxial로 삽입함. 색전술시 우측 난소도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어 처음에는 동맥류가 있는 부분을 지나 microcatheter를 통과 시킨 후 coil로 근위부와 원위부에 색전술을 시행하려 하였음. 그러나, 통과가 원활치 않고, 무리한 조작은 동맥류의 파열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동맥류 근처에 microcatheter를 위치시키고 glue(glue: lipiodol = 1;3)를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함. 시술 후 시행한 우측 난소동맥 조영술과 우측 내장골동맥 조영술상 색전술이 성공적임을 확인하였고, 색전물질의 위치상 우측 난소의 손상은 없을 것으로 생각됨 (Fig. 3).
Fig. 2
Aortogram (A) shows enlarged right ovarian artery with aneurysm in distal portion. Selective right ovarian arteriogram (B) shows aneurysm in the distal portion. Communication between ovarian artery and uterine artery is also noted.
Fig. 3
Embolization with glue (A). Right ovarian arteriogram (B) and right internal iliac arteriorgram (C) show successful embolization.
고찰
분만 후 난소동맥에서 발생한 동맥류에 의한 후복강 출혈은 드물게 보고되는 질환으로, 주로 자연분만 후 3-5일 혹은 그 후에 그 증상이 나타나며, 모든 경우가 세 번째 이상의 분만 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덟 개의 증례를 수술 후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모든 증례에서 진성 동맥류가 발견 되었으며, 난소동맥에 동맥류가 생기는 기전으로는 1) 임신 시 난소동맥으로의 혈류의 증가, 2) 임신 시 증가되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에 의한 혈관벽의 약화, 3) 임신 시기에 우측 앙와위를 자주 취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혈역학의 변화, 그리고 4) 자연 분만 시 산모의 복압이 강하게 반복적으로 자주 변함 등이 제시되고 있다. 수술 이외에 coil 색전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도 몇 개 보고되어 있다. 매우 드문 질환 이긴 하지만, 여러 번의 자연분만의 경험이 있는 환자가 출산 몇 일 후 후복강 출혈이 의심된다면, 상기 질환을 의심해 보는 것이 신속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Guillem P, Bondue X, Chambon JP, Lemaitre L, Bounoua F. Spontaneous retroperitoneal hematoma from rupture of an aneurysm of the ovarian artery following delivery, Ann Vasc Surg 1999;13:445–448 2. King WL. Ruptured ovarian artery aneurysm: a case report, J Vasc Surg 1990;12:190–193 3. Blachar A, Bloom AI, Golan G, Venturero M, Bar-Ziv J. Spiral CT Imaging of a ruptured post-partum ovarian artery aneurysm, Clin Radiol 2000;55:718–720 4 Rathod KR, Deshmukh HL, Asrani A, Salvi VS, Prabhu S. Successful embolization of an ovarian artery pseudoaneurysm complicating obstetric hysterectomy,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005;28:113–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