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1. "카테터-와이어"법을 이용한 완전 폐쇄된 총장골 동맥의 재개통술/ Recanalization of Completely Occluded Common Iliac Artery with "Catheter-wire" Method

김재규 , 박승제 , 김병진 , 강형근
Korean J Interv Radiol 1995;1(1):1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1995
전남대학교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96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Arteries, iliac. Arteries, stenosis or obstruction. Arteries, transluminal angioplasty.
증례
73세/ 남자
임상소견
3개월간 지속된 left leg의 intermittent claudication 및 left femoral artery pulse의 촉지가 안됨.
진단명
Atherosclerotic occlusion of left iliofemoral artery.
영상소견
Seldinger technique으로 right femoral arery를 천자하여 시행한 대동맥 조영상부터 total occlusion 소견을 보임. right external iliac artery의 diffuse luminal narrowing 소견을 보임 (Fig.1a).
시술방법 및 재료
5.2F Sidewinder catheter (Cordis, Miami, FL, USA)의 tip을 left common iliac artery의 기시부에 위치하고 0.035-inch Radiofocus guidewire M angled type (Terumo, Tokyo, Japan)을 이용해서 occlusion을 pass함 (Fig.1a). Left femoral artery를 fluoroscopic guidance하에 18G I.V. Catheter-Radioopaque Teflon (JelcoTM, Critikon, Ethicon Spa, Roma, Italy)로 천자를 함. 다른 0.035-inch Radiofocus guidewire를 넣고 4F Headhunter catheter (Mallincrodt, ST Louis, Mo., USA)를 우측에서 넣은 가이드와이어의 끝 근처에 위치시킨다(Fig. 1b).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해서 4F catheter를 cannulation을 한 다음 (Fig. 1c) 좌측 천자부위를 지난 부위까지 밀어 넣는다(Fig. 1d). 몸 밖으로 나와있는 가이드와이어를 꼭 잡은다음 좌측 headhunter catheter를 서서히 occlusion을 지나 patent한 부위의 distal aorta까지 밀어 넣는다. 좌측 카테터를 빼내고 가이드와이어를 따라서 풍선카테터 (10mm 직경, 6cm 길이, Meditech, MA, USA)로 혈관성형술을 시행함. 시술 후 복부대동맥조영상 (Fig. 1e) 재개통된 left iliofemoral artery가 잘 조영되었다.
Fig.1
a: Abdominal aortogram shows complete occlusion of left common iliac artery at bifurcation level. b: 4F Headhunter catheter through left femoral artery was positioned close to the tip of guidewire inserting through the Sidewinder catheter which was introduced from right femoral artery. c: Guidewire was cannulated through 4F catheter successfully. d: Guidewire was introduced into 4F catheter. e: Post-recanalization abdominal aortogram shows good patent left iliac artery.
고찰
Iliac artery의 complete occlusion시 재개통을 위한 접근 방법은 반대측에서 antegrade로 접근하는 데 만약 iliac artery의 기시부가 막힌 경우는 할 수가 없다. 그리고, 동측의 femoral artery가 patent한 경우에는 retrograde로 접근할 수 있는데 가끔 가이드 와이어나 카테터가 subintima나 subatheroma dissection을 일으켜서 distal aorta wall까지 dissection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증례와 같이 동측의 iliac artery의 기시부가 약간 보이는 경우에는 상기 2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하는 "catheter-wire method"로 dissection의 위험이 없이 쉽게 재개통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시술도중 동측에서 삽입한 카테터의 직경이 작아 가이드 와이어로 cannulation하기가 어려우면 카테터 대신 introducer sheath로 대치 할 수도 있다. 단, 이때에는 sheath내의 check valve에 가이드 와이어가 막혀서 밖으로 안 나오기 때문에 이런 경우는 sheath dilator의 끝을 check valve를 약간 지나서 진입시켜 주면 dilator를 통해서 쉽게 가이드와이어가 나온다. 저자들은 이러한 방법으로 10명의 환자에서 성공적인 재개통술을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Dotter CT, Rosch J, Robinson M. Fluoroscopic guidance in femoral artery puncture. Radiology 1978; 127:266-267 2. Gaines PA, Cumberland DC. Wire-loop technique for angioplasty of total iliac artery occlusions. Radiology 1988; 168: 275-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