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Embolization, uterine artery, arteriovenous malformation
임상소견
1달 전 임신 12주, 계류유산으로 외부병원에서 자궁소파수술 시행하고, 2주 전 부터 자궁출혈이 심해서 본원 내원함.
진단명
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
영상소견
도플러 초음파에서 Uterus의 right side에 vascular mass가 보임(Fig. 1). CT에서는 uterus의 right side에 strong enhancement^ 보이는 mass가 관찰됨(Fig. 2).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총대퇴동맥을 천자하고 5F sheah(Terumo, Tokyo, Japan)을 삽입함. 5F Pig-tail catheter(A&A M.D., Kyunggido, Korea)로 복부대동맥과 양측 장골동맥의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우자궁동맥에서 혈류를 받는 혈관성 종괴를 확인함(Fig. 3A). 5F Oshiro catheter(Terumo, Tokyo, Japan)를 우측내장골동맥을 선택하고 이후 microcatheter(Microferret, Cook, Bloomington, USA)을 coaxial로 삽입하여, 우측 자궁동맥을 통해 혈관종괴의 입구까지 위치시킴(Fig. 3B). 이후 glue(glue: lipiodol =1:3)를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함. 좌측 자궁동맥을 선택한 혈관조영에서는 혈관종괴로의 혈류는 보이지 않았으나, 커져있어 Gelfoam을 이용하여 가볍게 색전술을 시행함. 이후 시행한 복부대동맥 혈관조영에서 양측 자궁동맥의 혈류는 감소하였고, 종괴로의 혈류는 보이지 않음(Fig. 3C).
고찰
자궁동정맥기형은 드문 질환으로 동맥과 정맥의 비정상적인 연결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선천성 혹은 후천성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후천적인 경우는 상처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동맥과 정맥이 연결될 수 있는 정도의 자궁의 외상 후에 발생하기 쉽다. 자궁동정맥기형과 관계있는 자궁외상으로는 제왕절개나 소파수술이 있다. 진단은 Doppler 초음파로는 turbulence를 동반한 strong hypervascular area로 보이며, 혈관조영에서는 양측 자궁동맥은 tourtuous하고 커져있으면서 큰 accessory feeding vessel과 커진 vein으로 early drainage를 가진 종괴를 feeding하는 소견을 보인다. 치료는 출혈을 줄이기 위해서 15-methyl- prostaglandin F2a, parenteral estrogen, progestin, methylergonovine, danazol을 써 왔으며, 색전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자궁적출술이 치료법이었다. 색전물질로는 polyvinyl alcohol particles, stainless steel coils, hemostatic gelatin, detachable balloons, thrombin, glue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GriveII RVl, Reid KM, Mellor A. 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Obstet Gynecol Slirv. 2005; 60:761-767.
2. Patel S, Potti S, Jaspan D, Dandolu V. Embolization of 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 for treatment of menorrhagia. Arch Gynecol Obstet. 2009; 279:229-232.
3. McCormick CC, Kim HS. Successful pregnancy with a full-teim vaginal delivery one year after n-butyl cyanoacrylate embolization of a 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006; 29:699-701.
Fig. 1.
Fig. 1. Color Doppler image shows hyperechoic mass with increased flow signals in the uterine corpus. On spectral analysis, pulsatile and continous flow signals are noted within the lesion, suggestive of mixed arterial and venous flow.
Fig. 2.
Fig. 2. Pelvis CT demonstrates hypervascular mass in the right side of the uterine body.
Fig. 3. A
Fig. 3. Pelvic angiogram (A) and selective angiogram (B) show hypervascular mass supplied by right uterine artery. After glue and gelfoam embolization, (C)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 is not visualized.
Fig. 3. B
Fig. 3. Pelvic angiogram (A) and selective angiogram (B) show hypervascular mass supplied by right uterine artery. After glue and gelfoam embolization, (C)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 is not visualized.
Fig. 3. C
Fig. 3. Pelvic angiogram (A) and selective angiogram (B) show hypervascular mass supplied by right uterine artery. After glue and gelfoam embolization, (C)uterine arteriovenous malformation is not visualized.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