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Embolization, aneurysm, splenic artery
임상소견
2년 전부터 진행성 간세포암으로 여러 차례 경동맥 화학색전술로 치료 받고 있던 환자로 조영증강 CT 사진상 우연히 비장동맥의 거대동맥류가 발견되었고 서서히 커지는양상임 .
진단명
Giant splenic artery aneurysm
영상소견
조영증강 복부 CT에서 비장동맥과 연결된 5.2 cm 직경의 거대동맥류가 관찰됨(fig. 1).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대퇴동맥을 천자하여 5 Fr Yashiro 카테터(Terumo, Tokyo, Japan)를 삽입하고 복강동맥을 선택한 후 시행한 동맥조영술에서 비장동맥에서 기원한 약 5 cm 크기의 거대동맥류가 관찰이 되었다(Fig. 2). 0.035-inch 유도철사를 이용하여 Yashiro 카테터를 비장동맥 거대동맥류의 근위부까지 접근한 후 카테터 내부로 2.8 Fr 미세카테터 (Progreat;Terumo)를 삽입하였다. 미세카테터로 동맥류 내강을 지나 원위부로 삽입한 후 GDC 코일(360-18 24-40 cm, Target Therapeutics, Fremont, CA, USA)를 설치하여 추가로 삽입되는 미세코일이 원위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어서 동맥류 원위부에 14개의 다양한 크기의 미세코일들을 삽입하여 색전하였다(fig. 3). 원위부가 완전히 폐색된 것을 동맥 조영술로 확인한 후 동맥류 내강 내로 폴리비닐알코올 입자(700-1000u Contour; Boston Scientific, Natick, MA, USA)와 젤폼을 주입하여서 동맥류 내강을 색전하였다. 동맥류 근위부는 추가적으로 15개의 미세코일들을 이용하여 색전하였다(Fig. 4). 색전술 후 시행한 복강동맥조영술에서 비장동맥의 거대동맥류는 더 이상 조영되지 않았으며 비장동맥의 원위부 및 비장은 단위동맥 및 위대망동맥을 통한 측부순환에 의해서 조영이 되었다(Fig. 5). 시술 1달 후에 시행한 조영증강 복부 CT에서 비장동맥의 거대동맥류는 혈전으로 인해 조영증강되지 않는 저음영으로 관찰이 되었으며 비장경색 등의 합병증의 소견은 없었다(Fig. 6).
고찰
비장동맥의 동맥류는 가장 흔한 내장동맥의 동맥류로서, 전체 내장동맥 동맥류의 약 50-60% 이상이고 유병률은 약 1% 정도이다. 이 질환은 여자가 남자보다 2배 이상 흔하고, 특히 다산을 한 여성에게서 좀 더 흔하다. 이러한 차이는 임신에 의한 호르몬과 혈역동학적 변화 때문으로 생각된다. 비장동맥 동맥류은 주로 동맥경화증, 여러 번의 임신, 진균증, 간문맥고혈압, 섬유근육이형성증, 외상과 췌장염 등에 의한 혈관벽의 변성에 의해서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비장동맥의 동맥류는 대개는 증상이 없어 우연히 발견되지만 파열되면 극심한 복부통증과 저혈량 쇼크가 야기될 수 있다. 통증과 같은 증상이 있거나, 지름이 2 cm 이상인 경우, 임신 혹은 가임기의 여성에서 발견된 경우, 동맥류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는 파열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수술이나 인터벤션 시술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최근에는 카테터를 통한 색전술 같은 인터벤션 시술이 수술보다 낮은 합병증, 유병률과 사망률을 보이므로 보다 선호되는 치료방법이다. 그러나 동맥류가 비문에 위치하거나 동맥류가 비장동맥 원위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비장경색의 위험 때문에 인터벤션 시술보다는 비장동맥을 결찰하거나, 동맥류 및 비장절제술을 시행하는 등의 수술적인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비장동맥 동맥류는 동맥류의 원위부와 근위부를 각각 색전하여 동맥류를 치료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된다. 색전물질로는 금속코일, vascular plug, 분리형 풍선 , 폴리비닐알코올, 젤폼, 트롬빈, N-Butyl cyanoacrylate glu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장동맥의 주행이 구불구불하고 동맥류의 내강이 커서 진단용이 나 유도용 카테터를 동맥류의 원위부로 삽입시키기가 힘든 경우에는 미세카테터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에는 이용할 수 있는 색전물질이 제한적이다. 특히 원위부 동맥의 직경이 1 cm가 넘는 경우에는 본 증례에서와 같이 미세카테터를 통해 GDC 코일을 삽입하여 색전하고자 하는 동맥의 원위부에 고정시킨 후 추가적으로 미세코일을 삽입하면 원위부로의 이동 없이 색전이 가능하다. 근위부와 원위부의 혈관을 색전술에 의해서 막을 수 없는 경우에는 동맥류의 내강만을 색전물질로 채우거나 동맥류의 목 부분을 스텐트-그라프트로 덮어 치료할 수 있다. 비장동맥 주위는 위, 췌장, 대망 등 혈류가 풍부한 장기가 인접해 있고, 색전술 후에 측부순환이 잘 발달되므로 색전술로 인한 비장경색 등의 합병증은 드물다. 비장동맥의 거짓동맥류의 경우는 췌장염, 패혈색전증, 동맥염에 따른 동맥벽의 염증과 파괴 때문에 발생하므로 비장동맥 동맥류와 구분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1. Deshpande A A, Kulkami VM, Rege S, Dalvi AN, Hardikar JV. Ruptured true aneurysm of the splenic artery: an unusual cause of haemoperitoneum. J Postgrad Med 2000: 46:191-2.
2. McDermott VG, Shlansky-Goldberg R, Cope C. Endovascular management of splenic artery aneurysms and pseudoaneurysms. Cardio vasc Intervent Radiol 1994;17:179-84.
3. Kim BS, Do HM, F^zavi M. N-butyl cyanoacrylate glue embolization of splenic artery aneurysms. J Vase Interv Radiol 2004; 15:91-4.
4. Kenningham R, Hershman MJ, McWilliams RG, Campbell F. Incidentai splenic artery aneurysm. J R Soc Med 2002; 95:460-1.
5. Guillon R, Garcier JM, Abergel A, Mofid R, Garcia V, Chahid T, et al. Management of splenic artery aneurysms and faIse aneurysms with endovascular treatment in 12 patients Cardio vasc Intervent Radiol 2003;26:256-60.
6. Gabelmann A, Gorich J, Merkle EM. Bidovascular treatment of visceraI artery aneurysms. J Endovasc Ther 2002; 9:38-47.
Fig. 1.
Fig. 1 & 2. Contrast enhanced abdomen CT & selective arteriography showed a 5.2 cm-sized, giant aneurysm originated from the mid-portion of the splaiic artery.
Fig. 2.
Fig. 1 & 2. Contrast enhanced abdomen CT & selective arteriography showed a 5.2 cm-sized, giant aneurysm originated from the mid-portion of the splaiic artery.
Fig. 3.
Fig. 3. The distal portion of splenic artery was embolized with a GDC coil(arrows) and multiple microcoils.
Fig. 4.
Fig. 4. The giant splenic artery aneurysm was completely excluded by distal & proximal embolization with multiple metallic coils, gelfoam and PVA particles.
Fig. 5.
Fig. 5. Post-embolization arteriography showed no more opacification of the aneurysmal sac. The distal splenic artery was reconstituted by profuse collaterals from the gastric and gastroomental arteries (arrows).
Fig. 6.
Fig. 6. One month-follow up abdomen CT demonstrated complete thrombosis of the aneurysm sac without contrast filling.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