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8 경피침생검 후 발생한 폐동맥 거짓동맥류 색전술 Embolization of pseudoaneurysm at the pulmonary artery after percutaneous needle biopsy

김경민 , 김지대 , 김효철 , 제환준 , 정진욱 , 박재형
Korean J Interv Radiol 2010;17(1):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0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99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percutaneous needle biopsy,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embolization
증례
74/M
임상소견
결핵후 폐손상(tuberculous destroyed lung)의 병력이 있던 환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에서 우하엽에 경화성 종괴가 발견되어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경피침생검을 시행함. 생검 시행 직후 대량의 객혈이 있어 시행한 흉부 CT에서 폐동맥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이는 거짓동맥류가 발견됨.
진단명
폐동맥의 거짓동맥류(pseudoaneurysm at the pulmonary artery)
영상소견
흉부 CT에서 우하엽의 경화성 종괴 내에 폐동맥과의 연결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5mm 크기의 거짓동맥류가 있다(Fig. 1). 우폐동맥 조영술에서 우하행폐동맥의 분지에서 기원하는 거짓동맥류가 보인다(Fig. 2A). 우하행폐동맥 분지의 선택적 조영술에서 거짓동맥류가 확인된다(Fig. 2B). 거짓동맥류가 기원하는 분지의 원위부부터 근위부까지 MicroNester coil을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으며(Fig. 3), 이후 폐동맥 조영술에서 거짓동맥류의 소실을 확인하였다(Fig. 4).
시술방법 및 재료
초음파 유도하에서 우총대퇴정맥을 천자하고 9Fr long sheath(Teleflex, Limerick, PA, USA) 를 우총대퇴정맥을 통해 우폐동맥까지 진행시켰다. Pigtail catheter(Cook, Bloomington, IN, USA)를 우하행폐동맥 근위부에 위치시키고 우폐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후 Davis catheter(Cook)와 Microferret catheter (Cook)를 이용하여 우폐동맥분지를 선택하고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거짓동맥류가 기원하는 폐동맥 분지를 확인하였다. 이후 MicroNester coil(3mm x 14cm, Cook) 3개를 이용하여 분지의 원위부부터 근위부까지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폐동맥 조영술에서 거짓동맥류가 완전히 소실되었음을 확인하고 시술을 종료하였다.
고찰
폐동맥의 거짓동맥류는 드물지만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이다. 그 흔한 원인으로는 괴사성 폐렴, 세균성 심내막염, 털곰팡이증(mucormycosis), 결핵, 베쳇병과 같은 혈관염 등이 있다(1), 이보다 드문 원인으로는 Swan-Ganz 카테터나 Cournand 카테터의 삽입과 관련된 외상, 선천성 심질환, 괴사성 공동형성 폐암 등이 있고, 고주파소작술(RFA), 흉관 삽입술, 폐엽 절제술, 조직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상도 그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3). 침생검 후 폐동맥 거짓동맥류의 발생률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Swan- Ganz 카테터 사용과 연관된 폐동맥 거짓동맥류는 비교적 잘 연구된 바, 발생률은 0.001%-0.5%로 보고되고 있고, 위험인자로는 폐동맥고혈압, 전신적 항혈전 치료, 스테로이드의 장기 사용, 고령, 여성 등이 알려져 있다(1). 폐동맥 거짓동맥류는 갑작스러운 객혈이나 혈흉으로 발현하게 되는데, 보통 조영증강 CT로 진단이 내려진다. CT는 거짓동맥류의 크기, 개수, 위치 및 범위의 확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2). 폐동맥의 거짓동맥류는 치료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이 50%에 이르므로 즉각적인 치료가 요구되며, 경피적 색전술이 개흉술에 비해 사망률과 이환율이 낮은 최소 침습적인 치료법이다(1, 3, 4). N-butylcyanoacrylate나 코일이 색전 물질로 이용될 수 있으며, 코일을 이용한 색전술은 75%의 성공률을 보인다. 색전술후 재출혈율은 약 2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3).
참고문헌
1. Petege JP, El Hajjam M, Lagrange C, Chinet T, Vieillard-Baron A, Chagnon S, et al. Pulmonary artery interventions: an overview. Radiographics 2005; 25:1653-1667. 2. Nguyen ET, Silva Cl, Seely JM, Chong S, Lee KS, Muller NL. Pulmonary artery aneurysms and pseudoaneurysms in adults: findings at CT and radiography. AJR Am J Roentgenol 2007; 188:W126-134. 3. Yamakado K, Takaki H, Takao M, Murashima S, Kodama H, Kashima M, et al. Massive hemoptysis from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caused by lung radiofrequency ablation: successful treatment by coil embolization.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010; 33:410-412. 4. Matsumura Y, Shiono S, Saito K, Sato T. Pulmonary artery pseudoaneurysm after lung resection successfully treated by coil embolization. Interact Cardiovase Thorac Surg 2010 (in press)
Fig. 1.
Fig. 1. Contrast- enhanced CT scan shows a pseudoaneurysm(arrow) in the consolidative mass in the right lower lobe.
Fig. 2. A
Fig. 2. A. Right pulmonary arteriography shows the pseudoaneurysm(arrow) connected with a branch of the right descending pulmonary artery.
Fig. 2. B
B. Selective arteriography confirms the branch(arrowhead) supplying the pseudoaneurysm(arrow).
Fig. 3.
Fig. 3. The branch supplying the pseudoaneurysm was embolized with three MicroNester coils(arrows).
Fig. 4.
Fig. 4. There is no filling of contrast media in the pseudoaneurysm (arrow) on post-embolization arteri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