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2. 의인성 좌측총경동맥 좌무명정맥 동정맥루: 색전치료/ Iatrogenic Fistula of Left Common Carotid Artery and Left Innominate Vein: Coil Embolization

황대현 , 정진욱 , 박재형
Korean J Interv Radiol 1995;1(1):1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1995
서울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94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Carotid arteries, abnormalities. Veins, innominate. Fistula, arteriovenous. Interventional procedures.
증례
38세/ 남자
임상소견
16년전 arotic arch aneurysm이 있어서 aortic arch replacement with Hemashield graft 시행함. 최근 발생한 hoarseness를 주소로 내원하여 95년 2월 6일 aortic arch pseudoaneurysm을 수술함.
영상 소견
There are mild stenosis in proximal portion of left subclavian artery (Fig.1), 75% stenosis of right innominate trunk (Fig.2), and fistula between left common carotid artery and left innominate vein (Fig.3).
Fig.1
Multiplanar reformation image shows 75% stenosis of right brachiocephalic trunk.
Fig.2
Multiplanar reformation image shows mild stenosis of proximal portion of left subclavian artery.
Fig.3
Multiplanar reformation image shows fistula of left common carotid artery and left innominate vein.
시술방법 및 재료
Aortic arch angiogram에서 left common carotid artery와 left innominate vein사이에 fistula가 관찰됨(Fig.4). Berenstein catheter로 change하여 시행한 left common carotid angiogram상 이 fistula는 뚜렷이 관찰된다. Coil embolization을 시행하기 위하여 left common carotid artery 방향에서 3mm 와 5mm coil을 사용하였으나 막히지 않고 coil은 left internal jugular vein의 distal portion으로 떠내려감(Fig. 5). 다시 left subclavian vein을 초음파 guide하에 puncture하여 Berenstein catheter로 venogram시행 후에 8mm coil을 사용하여 embolization을 시행하였고, 이어서 6mm coil을 사용하여 성공적인 embolization을 함(Fig.6). 다시 시행한 left common carotid artery angiogram상 left innominate vein으로 가는 flow는 거의 없음(Fig.7). 8mm와 6mm coil이 left common carotid artery와 left innominate vein 사이의 fistula 부위에 위치하여 있음. 3mm 와 5mm coil이 left internal jugular vein의 distal portion에 위치하여 있음 (Fig.8).
Fig.4
Arch aortogram shows similar findings to multiplanar reformation images.
Fig.5
Left common carotid angiogram shows well visualization of arteriovenous fistula.
Fig.6
Venogram shows slight visualization of proximal common carotid artery and well visualization of left innominate vein.
Fig.7
Left common carotid arteriovenous fistula.
Fig.8
8mm and 6mm coils located at fistulous tract. 3mm and 5mm coil located in the distal portion of left internal jugular vein.
고찰
James H. Anderson등이 16마리의 개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right common carotid artery와 jugular vein 사이에 인위적인 동정맥루를 형성하여 시행한 폐색에서도 동맥쪽으로 시행한 경우에는 만족할만한 성공률을 못거두었지만, 대퇴정맥을 통해서 경정맥으로 폐색을 시행한 경우에는 만족할만한 성공률을 거두었다. 본 경우에도 동맥쪽 시행은 혈류가 빨라 실패하였고, 합병증의 우려 때문에 무리한 시술은 할 수 없었고 정맥쪽으로 시행한 경우에 flow도 느리고 굵은 coil을 사용하여 성공적인 폐색을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Anderson, J. H., Wallace, S., and Gianturco, C. Transcatheter intravascular coil occlusion of experimental arteriovenous fistulas. AJR 129: 795, 1977. 2. 최연현, 박재형, 한준구, 한만청, 김주완. 혈관내 삽입된 Gianturco형 스텐트가 혈관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1:27; 431-439. 3. Wallace S. Interventional radiology. Cancer 37: 517-531, 1976. 4. Wallace S, Gianturco C, Anderson JH, Goldstein HM, Davis LJ, Bree RL: Transcatheter intravascular steel coil occlusion. AJR 127: 381-387,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