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Iliac artery disease, rupture, Endovascular Stent-Graft Treatment
임상소견
고혈압이 있는 환자로 5개월 전 우측 외장골 동맥협착(stenosis)에 대 해 풍 선 혈관성형술(balloon angioplasty) 및 죽상경화증에 의한 폐쇄를 동반한 우측대퇴동맥 동맥류(right femoral artery aneurysm with atherosclerotic occlusion)에 대해 대퇴-오금 우회술 및 수술 중 혈관성형술을(femoropopliteal bypass and intraoperative angioplasty) 받은 병력 있음. 3일 전부터 우측 대퇴부(Right thigh)에 감각 저하 및 운동 저하 발생하여 본원 응급실 내원함. 내원 당시 혈압(blood pressure) 144/82, 맥박(pulse rate) 98/min로 상기 증상 외에 저혈압 관련 소견 없었음. 하지 컴퓨터 단층촬영(CT) 혈관조영술에서 Right EIA rupture with retroperitoneal hematoma 소견 관찰됨.
진단명
Rupture of the pseudoaneurysm at the external iliac artery
Aneurysm and dissection of artery of lower extremity
영상소견
하지 CT 혈관조영술에서 우측 외장골동맥(external iliac artery)의 파열 및 조영제 누출이 보이고 있으며 (Fig. 1) 그 주변으로 혈종(hematoma)이 형성되어 있음.
Fig. 1.
An initial CT angiogram (A) show a pseudoaneurysm formation at right external iliac artery. An axial CT scan (B) shows hematoma formation around the rupture site with contrast media extravasation.
시술방법 및 재료
좌측 총대퇴동맥(common iliac artery)을 후방향(retrograde) 천자하여 8Fr sheath로 교체하고 병변부위를 5Fr angiographic catheter (Berenstein, Terumo, Japan)과 0.035" guidewire (Radiofocus, Terumo)를 통해 우측 장골동맥(iliac artery) 혈관조영을 얻어 우측 외장골동맥(external iliac artery) 파열 (rupture)의 위치와 주변으로 contrast extravasation을 확인하였음(Fig. 1). 우측 외장골동맥을 통해 contrast extravasation 되는 부위를 지나 9Fr sheath와 Lunderquist guide wire를 사용하여 8mm-8cm 스텐트 (covered stent, Taewoong, Korea)를 설치하였음 . 8mm-4cm balloon dilatation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시술 후 시행한 혈관조영술에서 조영제 누출은 관찰되지 않았음(Fig. 2). 좌측 총대퇴동맥의 천자 부위는 Angioseal을 이용하여 지혈하였음. 추가적으로 주변에 형성된 혈종(hematoma)에 대해서 경피부배액술(percutaneous drainage)을 시행하였음.
Fig. 2.
Right iliac angiograms before (A) and after (B) stent graft placement show a ruptured pseudoaneurysm of the right external iliac artery which was well excluded after stent graft placement.
Fig. 3.
Follow up CT angiogram obtained ten weeks following stent graft shows no pseudoaneurysm around the previously ruptured site.
고찰
하지 동맥 폐색성 질환의 치료로서 혈관내치료가 증가하면서, 동맥우회술과 함께 시술되는 hybrid 시술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혈관중재술과 관련된 동맥류 형성은 Vive 등에 따르면 흔하지 않은 일이고 더욱이 외상의 과거력 없이 Spontaneous하게 생기는 것은 더 흔하지 않을 것이다.
본 증례는 내원 5개월 전 장골동맥 병변에 혈관 성형술 및 대퇴동맥 병변에 대해 동맥우회술을 시행받은 후 발생한 장골 동맥의 가성 동맥류 파열에 대해 스텐트(stent-graft)로 치료한 증례이다.
장골동맥에 발생한 동맥류에 대한 혈관 중재적 치료는 Razavi 등이 따르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에 대한 alternative treatment이며, 최근 Okada 등은 isolated iliac artery aneurysm에 대한 Endovascular tubular stent-graft placement에서 가성동맥류의 현저한 크기 감소를 확인하였다. Serious complication의 발생은 없었고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type II endoleak이 한 환자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conservative management 가능한 buttock claudication, colorectal ischemia가 보고 되었다.
참고문헌
1. Okada, Tamagychi, Kitagawa et al. Endovascular tubular stent-graft placement for isolated iliac artery aneurysms, Cardio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2012; 35: 59-64.
2. Ichiro Sakamoto, MD, Eijun Sueyoshi, MD, Shiro Hazama, MD et al. Endovascular Treatment of Iliac Artery Aneurysms: Radiographics 2005; 25:S213-S227
3. Vive J, Bolia A. Aneurysm formation at the site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a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Radio1 1993; 45:125-127.
4. Razavi, Dake, Semba et al. Percutaneous endoluminal placement of stent-grafts for the treatment of isolated iliac artery aneurysms, Radiology, 1995;197:801-804
5. Maleux G, Otal P, Soussean H et al. Percutaneous Treatment of an Iliac Artery Pseudoaneurysm Associated with a Stent-Graft. 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1997; Nov-Dec:1079-1080.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