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Liver neoplasms, chemotherapeutic infusion.
Hepatic arteries, stenosis or obstruction.
Arteries, transluminal angioplasty.
임상소견
간암으로 진단받고 경동맥화학색전술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로서 2개월전에 시행한 화학색전술 보고서상 시술중 proper hepatic artery의 박리 (dissection)가 발생하였다는 언급이 있었다.
진단명
proper hepatic artery의 박리에 의한 협착
영상소견
Celiac angiogram 상에서 (Fig.1) proper hepatic artery 내강이 불규칙적이고, 정상 직경에 비해 약 80%의 협착이 있어 이전에 있었던 박리에 의한 이차적 변화임을 시사하고 있다. 종양읜 거의 간 전체를 차지하고 있으며, 무수한 신생혈관이 보인다. 화학색전술을 시행하기 위해 좁아진 proper hepatic artery에 대해 경피적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3mm 풍선을 사용하였고, 풍선의 waist가 없어진 것을 볼 수 있다(Fig.2). 이후 리피오돌, 항암제 및 Gelfoam으로 화학색전술을 시행하였다. 3개월 후 추적 celiac angiogram상에서 (Fig.3) proper hepatic artery의 직경은 정상화되어 더 이상 박리에 의한 내강 협착이 보이지 않으며, 종양의 크기가 상당히 줄어들었고, 신생혈관이나 tumor staining의 범위도 매우 줄어들어 있다.
Fig.1
Celiac angiogram shows an irregular narrowing of proper hepatic artery 2months after dissection. Huge hypervascular hepatic mass is also demonstrated.
Fig.2
Balloon dilatation (diameter 3mm) is perfored successfully.
Fig.3
Celiac arteriogram obtained 3months after balloon angioplasty revealed proper hepatic artery to be normal caliber with much decreased tumor vascularity and staining.
고찰
간암 환자의 고식적 치료방법의 하나로써 경동맥화학색전술이 널리 쓰이게 되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선택적 또는 초선택적 혈관도자술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혈관내 조작시, 예기치 않게 celiac artery 및 그 분지에 대한 박리가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충분하고 효율적인 시술을 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혈관 내 도자술을 시행할 때 의인성 박리의 빈도는 대개 0.5-2.7%, 박리된 혈관이 자연적으로 재개통되는 비율은 약 64-71%로 알려져 있다. 박리후 재개통된 혈관을 통한 화학색전술의 시행이 성공적인 경우는 약 79%로 보고된바 있으나, 의인성 박리에 의한 내강 협착의 중재적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 언급된 바 없다. 본 증례는 광범위한 간암에 대한 고식적 치료 즉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도하기 위해 좁아진 간동맥을 넓힐 필요가 있었고, 이를 성공적으로 넓힌 다음, 충분한 화학색전술을 시행하여, 간암에 대한 색전술의 효과를 높일 수 있었던 경우다. Celiac artery나 그 분지들에 대한 경피적 혈관성형술은 말초혈관에서의 성형술과 마찬가지의 수기와 기구를 사용하여 시술할 수 있다. 다만 말초 혈관 성형술시에는 원래 혈관 직경보다 조금 큰 풍선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셩우는 동맥 파열시 심각한 장기 손상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원래의 직경보다 큰 풍선은 사용하지 않으며, 말초혈관에서의 혈관 성형술시와 같은 정도의 충분히 혈관을 넓히려고 시도하지 않는다는 것이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celiac artery와 hepatic artery의 의인성 박리나 다른 원인에 의한 협착에서 경피적 혈관성형술은 쉽고 안전한 중재적 시술일 것으로 생각되나 이의 장, 단기 추적 검사 성적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 celiac artery와 renal artery의 ostial stenosis에 대한 metallic stent를 시도한 경우가 있는데, 적응 여부와 합병증 가능성으로 인하여 보다 신중히 사용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1. O'Durny A, Sniderman KW, Colapinto RF. Intestinal angina: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of the celiac and superior mesenteric arteries. Radiology 1988; 167: 59-62
2. DY Yoon, JH Park, JW Chung, JK Han, MC Han. Iatrogenic dissection of the celiac artery and its branches during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outcome in 40 pati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5; 18: 16-19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