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6. 코일을 이용한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 Coil Occlusion of Patent Ductus Arteriosus

강성권 , 성규보 , 송호영 , 윤현기 , 구동억
Korean J Interv Radiol 1995;1(1):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1995
서울중앙병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104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Ductus arteriosus. Interventional procedures.
증례
2세/ 여아
임상소견
생후 PDA와 OSD로 진단 받은 환자로 추적 검사중 Umbrella device occlusion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특별한 증상없이 지내다가 다시 PDA occlusion하기 위하여 내원한 환자임.
진단명
PDA, Ostium Secundum Defect (OSD)
영상소견
단순흉부 촬영상 약간 폐혈관음영의 증가 이외에는 정상 심장 크기를 보였음. Arch aortogram상 descending aorta와 main pulmonary artery를 연결하는 PDA가 보였으며, 이 PDA의 양쪽 끝은 매우 좁고 midsegment가 ampullary expansion을 보이고 있어(Fig.1) Rashkind umbrella device로는 폐쇄하기가 힘들 것으로 판단되어 coil embolization을 시행하기로 결정함.
Fig.1
Arch aortogram shows saccular ductal communication between main pulmonary artery and descending aorta. Narrow segments are seen on both side of ampullary portion.
시술방법 및 재료
Seldinger법으로 대퇴동맥을 천자한 후 5F Cobra catheter (COOK)을 이용하여 PDA를 selection하여 직경 3mm 길이 4cm인 Gianturco coil (COOK) 2개를 PDA의 ampullary portion에 위치시켰으며, 이후 대동맥 조영술에서 단락을 발견할 수 없었음 (Fig.2).
Fig.2
After coil embolization with 2 Gianturco coils, complete occlusion of PDA is noted.
고찰
PDA의 occlusion은 지금까지 Rashkind의 umbrella device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그러니 Lloyde 등이 24예의 Gianturco coil을 이용하여 시행한 보고에 의하면 Rashkind umbrella device를 이용한 방법보다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폐쇄후 대동맥과 폐동맥의 내경감소가 업으며 둘째, 잔존하는 단락이 적으며 세째, 잘못 위치한 코일을 제거가하기가 Rashkind umbrella보다 용이하며 네째, Rashkind umbrella는 8F 카테터를 사용하는 반면 coil은 5F catheter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이며, 24예중 22예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하였다. 실패한 두예는 coil의 크기를 잘못 선정하여 실패하였으며, coil 사용의 제한점이 큰단락을 폐쇄할 수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Moor와 Lloyd 등에 의하면 단락의 크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코일의 크기를 제시하였는데 Ductus diameter가 1.5mm 이하인 경우는 3mm 직경의 코일을 사용하며, 2.5mm 이하인 경우는 직경 5mm 코일을, 2.5mm 이상인 경우 직경 8mm 코일을 사용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1,2,3).
참고문헌
1. Lloyd TR. Transcatheter occlusion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Gianturco coils. Circulation 1993; 88: 1412-1420 2. Krichenko A. Angiographic classification of the isolated, persistently patent ductus arteriosus and implications for percutaneous catheter occlusio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989; April 1: 877-878 3. Moore JW. Percutaneous closure of very small patent ductus arteriosus by occluding sping emboli. J Am Coll Cardiol 1993; 21: 446A.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