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Femoral artery; Aneurysm, False; Stents
임상소견
음경암으로 음경과 임파절 절제술을 시행받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후 추적관찰 중인 환자로 약 8개월 전부터 우측 서혜부 림프절 전이가 있었고, 약 2개월 전에 그 부위에 피부 누공이 발생하였다. 내원 1시간 전부터 우측 서혜부 피부 누공에서 동맥성 출혈이 발생하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진단명
총대퇴동맥 가성동맥류(common femoral artery pseudoaneurysm)
영상소견
4개월전 CT상 우측 서혜부 림프절 전이가 있었고(Fig. 1A), CT에서 피부 누공과 조직의 결손이 있으며 내부에 혈종이 있고 우측 총대퇴동맥이 노출되어 있다(Fig. IB). 동맥조영술에서 우측 총대퇴동맥의 원위부에서 가성동맥류와 조영제의 누출이 확인되었다 (Fig. 1C).
Fig. 1. A-C
A. Contrast enhanced axial CT shows an enlarged right inguinal lymphadenopathy (arrow), suggesting metastasis.
B. Contrast enhanced axial CT shows the exposed right common femoral artery and adjacent hematoma in the right inguinal cutaneous fistula
C. Arteriogram shows contrast leakage and a ruptured pseudoaneurysm at distal portion of the right common femoral artery.
시술방법 및 재료
좌측 총 대퇴동맥을 천자하여 우측 외장골 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가성동맥류와 출혈 위치를 확인하였다. 우측 총 대퇴동맥의 원위부에서 심부대퇴동맥의 입구 근처에 가성동맥류가 위치하여 심부 대퇴동맥에서의 역류로 인한 재출혈을 막기 위하여 stent-graft에 앞서 우측 심부 대퇴동맥의 기시부를 코일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8F sheath (Balkin, Cook, Bloomington, IN, USA) 를 우측 외장골동맥까지 진입하고 5F catheter를 우측 심부 대퇴동맥 입구까지 진입시킨 후 색전코일 (Nester, Cook, Bloomington, IN, USA) 2개를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Fig. ID). 그 다음 직경 8mm, 길이 4cm 크기의 stent-graft (Viabahn, Gore, Flagstaff, AZ)를 우측 총대퇴동맥에 설치하고 직경 8mm 풍선카테터를 이용하여 2기압으로 풍선확장술을 시행하였다(Fig. IE). 시술후 혈관조영술에서 출혈부위와 가성동맥류 부위가 충분히 포함되어 조영제 누출이 보이지 않았다 (Fig. IF).
Fig. 1. D-F
D. Embolization using coil at the proximal portion of ttie deep femoral artery was performed before stent graft placement for prevention of retrograde perfusion.
E. A radiograph shows balloon dilatation after stent-graft placemait at the right common fanoral artery.
F. Arteriogram after stent-graft placement shows no evidence of contrast leakage.
고찰
동맥의 손상에 의한 출혈은 염증, 감염, 외상, 수술, 조직검사 등의 시술뿐만 아니라 방사선 치료 등의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동맥 손상은 주로 가성동맥류 또는 동정맥루의 형태로 나타나며, 대량 출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발견 즉시 치료를 요구하는 응급상황이다.
동맥 손상은 수술적 방법이나 인터벤션 시술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치료할 수 있다. 가성동맥류를 형성한 경우는 코일 등의 다양한 색전물질을 이용하여 동맥류의 전, 후 동맥의 색전술을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큰 직경의 총 대퇴동맥 같은 axial artery의 가성동맥류와 출혈이 있는 경우는 색전술은 원위부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시행할 수 없어 수술적 치료를 하거나 본 증례와 같이 Stent graft를 설치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Stent-graft를 이용한 혈관내 시술은 동맥벽의 손상 부위 폐쇄와 혈관의 내강의 개통을 동시에 얻을 수 있어 혈류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동맥 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술이다. 수술에 비하여 덜 침습적인 방법이므로 수술적 치료를 견디기 어려운 전신상태의 환자에게 시행하여 유병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 후 회복이 빠르기 때문에 일상생활로 빠른 복귀가 가능하며 입원기간도 감소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1. Thalhammer C, Kirchherr AS, Uhlich F, Waigand J, Gross CM. Postcatheterization pseudoaneurysm and arteriovenous fistulas: repair with percutaneous implantation of endovascular covered stents. Radiology 2000;214:127-131
3. Saad NE, Saad WE, Davies MG, Waldman DL, Fultz PJ, Rubens DJ. Pseudoaneurysms and the role of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in their management. Radiographics 2005;25:S173-189
3. Katsanos K, Sabharwal T, Carrell T, Dourado R, Adam A. Peripheral endografts for the treatment of traumatic arterial injuries. Emerg Radiol 2009;16:175-184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