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8 스텐트그라트로 치료한 신장동맥류 Stentgraft insertion for renal artery aneurysm

정여진 , 백현정 , 추기석 , 백승국 , 전웅배
Korean J Interv Radiol 2014;21(1):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1양산부산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109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renal artery, aneurysm, stentgraft
증례
56세 / 여자
임상소견
신우신염으로 다른 병원에서 치료받으셨던 분으로 복부 CT에서 우연히 발견된 직경 2.1cm의 좌신장동맥류 치료위해 내원함.
진단명
Renal artery aneurysm
영상소견
복부 CT에서, 신장 왼쪽 주동맥 분지 근처에 2.1cm 크기의 낭성, 비석회화 양상의 동맥류가 관찰되었음. (Fig. 1).
시술방법 및 재료
오른쪽 총대퇴동맥을 천자하여 시행한 좌측 신동맥 혈관조영술에서 왼쪽 신동맥류를 확인함(Fig. 2A). 7F Ansel sheath(Cook, Bloomington, MA, USA)로 교환하였고, 이후에 6/25mm size의 Viabahn stentgraft (Gore, Flagstaff, AZ, USA)를 삽입하였다. 이후에 6/40mm 풍선 카테터(Mustang, Boston scientific, Natric, MA, USA)를 이용하여 ballooning 함. 시술 후 왼쪽 신동맥류는 완전히 차단됨. 주변부 신동맥 분지의 경련이 발생하였으나 경과관찰 하기로 하였고, 시술을 종료함(Fig. 2B). 시술 후 6개월째 시행한 혈관조영 CT에서 신동맥류는 완전히 차단되었으며 왼쪽 신장의 혈류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음.(Fig. 3)
고찰
신동맥류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로 흔한 내장동맥류이다. 여성에서 호발하여 주로 낭성, 비석회화 양상을 보인다. 주로 주신장동맥 분지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섬유근성 형성이상이 주요 원인이며, 혈관염이나 외상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많은 경우 무증상이나 파열되거나 부혈관의 색전 또는 동맥 혈전이 생기는 경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73%이상에서 고혈압과 연관이 있고, 30%정도에서 혈뇨 소견이 보고된다. 치료는 환자의 나이와 성별, 고혈압의 정도, 동맥류의 해부학적 소견에 따라서 결정된다. 크기가 2cm 이상일 경우,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특히, 가임기 여성의 경우 임신이 파열 가능성을 높이고, 임신한 여성에서 80% 이상 사망률을 보인다. 보전적 치료는 크기가 2cm 이하일 경우에 해당되고 CT, MRI 추적 검사를 실시한다. 신동맥류 치료의 목적은 동맥류의 확장이나 파열을 예방하는 것이다. 동맥류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서 치료가 결정되는데, 분지상의 신동맥류의 경우 색전술로 쉽게 치료가 된다. 하지만 주동맥류인 경우 절제와 동맥 혈관우회술, 신적출술 또는 스텐트 거치술을 통해 치료한다.
참고문헌
1. Nosher JL, Chung J, Brevetti LS, Graham AM, Siegel RL. Visceral and Renal Artery Aneurysms: A Pictorial Essay on Endovascular Therapy. RadioGraphics 2006; 26:1687–1704 2. Henke PK, Cardneau JD, Welling TH 3rd, et al. Renal Artery Aneurysms, A 35-Year Clinical Experience With 252 Aneurysms in 168 Patients. Ann Surg. 2001; 234: 454–463 3. Degertekin M, Bayrak F, Mutlu B, Gürses B, Güran S, Demirtas E. Large Renal Artery Aneurysm Treated With Stent Graft. Circulation. 2006; 113: e848-e849
Fig 1A
Axial image A. of Abdominal CT and MIP image B. demostrate aneurysm(arrow) in left renal artery
Fig 1B
Axial image A. of Abdominal CT and MIP image B. demostrate aneurysm(arrow) in left renal artery
Fig 2A
A. Selective angiography shows aneurysm in left renal artery.
Fig 2B
B. Aneurysm is excluded after stentgraft insertion, but peripheral renal artery is not visualized(arrowheads). Vasospasm is suspected because, these finding was relived, as time went on.
Fig 3A
Axial CT A. and MIP image B. of abdominal CT after 6 month shows patent stent graft. Note aneurysm is thrombosed after stentgraft insertion(arrow).
Fig 3B
Axial CT A. and MIP image B. of abdominal CT after 6 month shows patent stent graft. Note aneurysm is thrombosed after stentgraft insertion(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