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Health Organization(WHO)에서는 정맥류를 정맥의 사행성 낭성 확장(saccular dilatation of the vein which are often tortuous)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성인의 30-60%에서 하지에 정맥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빈도는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의 정맥류에 telangiectasias나 venulectasias를 포함하면 거의 모든 성인들이 어느 시점에서는 어떤 형태의 정맥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자가 남자보다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호르몬의 영향에 의해서 정맥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대부분 정맥 기능 부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맥류는 미용적인 면에서도 문제가 되지만, 표재 정맥염(superficial phlebitis), 피부의 변화, 정맥성 피부 궤양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치를 통하여 심각한 부작용과 미용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맥류는 주로 보존적인 치료방법과 수술적 제거를 통한 치료가 기본적인 치료 방법이었으나 최근에는 수술에 의존하지 않고 비수술적 치료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시행되고 있는 추세로서 치료방법이 간단하고 기간이 단축되며 미용적인 면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정맥류를 이해하고 치료하려면 하지정맥의 기능, 하지정맥의 해부학적 구조, 정맥류의 발생 원인 인자와 병태생리 등을 잘 이해하고 각각의 임상적인 양상을 정확히 판단하여 확실한 치료를 시행하여야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다.
I. Normal Physiology of the Lower Extremity Venous System
하지의 정맥은 심장에서 동맥을 통하여 순환하는 혈액이 정맥을 통하여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단순한 통로 역할이외에,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첫번째는 많은 양의 혈액을 저장할 수 있고, 두 번째는 많은 양의 혈액을 심장을 향해서 품어 올리는 pumping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 몸 전체 혈액의 약 75%가 정맥계에, 특히 하지의 정맥계에 머물러 있는데 몸을 일으켜 세워 직립자세를 취하면 300-800 ml의 혈액이 다리쪽으로 고이게 된다. 이것은 전체 혈액의 약 15%에 해당되는 분량으로 주로 하지 정맥에서도 심부 정맥에 많은 양의 혈액이 고이게 된다. 결국 하지의 정맥은 전체 혈액의 많은 양을 저장하는 저장고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정맥에 저장되어 있는 많은 양의 혈액을 심장으로 품어 올리는 데는 상당량의 수압(hydrodynamic forces)이 필요하다. 직립 상태에서는 심장으로부터 발목까지 혈액에 의해서 생긴 정맥의 압력이 90-120 mmHg로 상승하게 된다. 심장으로의 혈액의 이동은 주로 종아리 근육(calf muscle)에 의한 심부정맥의 압박과 기능적으로 일방 판막(one-way valve)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하지의 근육이 수축하게 되면 심부정맥을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어 정맥내부의 혈액이 움직이게 되고, 한쪽 방향으로만 흘러가게 되는 정맥 판막의 기능에 의해서 많은 양의 혈액이 심장쪽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종아리 근육 수축 시에는 정맥 압력이 200-300 mmHg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하지 특히 종아리 근육의 구조와 기능은 심장이 수축할 수 있는 기능, 대혈관, 판막을 가지고 있는 구조와 비슷하다고 하여서 peripheral heart라고 불리기도 한다.
II. Normal Anatomy of Lower Extremity Venous System
하지 정맥의 해부학은 동맥계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변이도 많은 편이다. 하지는 근육 근막(deep fascia)을 경계로 표재정맥(superficial venous system), 심부정맥(deep venous system), 교통정맥(perforating system)으로 나눌 수 있고, 한가지 계통에 문제가 발생되면 연쇄적으로 다른 계통에도 영향을 미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Fig. 1A, B).
Fig. 1
A, B. Diagram of the major veins within the venous system of the lower limb.
가. Superficial venous system: deep fascia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대복재정맥(greater saphenous vein, GSV)과 소복재정맥(lesser or small saphenous vein, LSV)및 tributary vein이 포함된다 (Fig. 2A, B).
나. Deep venous system : deep fascia 안에 위치하는 정맥으로, lower leg에서 각각 1쌍의 anterior tibial vein은 anterior compartment를, posterior tibial vein은 posterior compartment를, peroneal vein은 lateral compartment의 혈류를 배출한다. 슬와부 하방에서 합류되어 popliteal vein이 되고 대퇴 하방에서(superficial) femoral vein이 된다. Deep femoral vein은 대퇴 근육을 drain하고 femoral vein과 합류하여 common femoral vein이 된다.
다. Perforating system : 근육근막층(deep fascia)을 관통하여 superficial vein과 deep vein간을 연결하는 정맥을 perforating vein이라 한다 (Fig. 3A, B).
라. Communicating vein : 같은 system내의 정맥끼리의 연결하는 정맥을 communicating vein이라 한다.
Fig. 2
A, B. Normal anatomy of the principle superficial venous system of the lower extremity.
Fig. 3
A, B. Diagram of the principle perforator veins communicating between superficial and deep veins.
1. 대복재정맥(Great saphenous vein;GSV)
정상 정맥의 직경은 3.5-4.5 mm(range 1-7 mm)
1) GSV의 주행 경로: GSV는 발등에서 dorsal venous arch로 시작하여 medial malleolus 앞쪽을 지나 tibia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주행하고 하퇴의 전방 내측으로 주행하여 서혜인대 3 cm 하방에서 common femoral vein으로 합류한다.
2) Branches in leg: Posterior arch vein(Posterior accessory great saphenous vein, PAGSV, vein of Leonardo)은 발목 내측의 뒤쪽에서 시작, 하퇴의 후방 내측으로 주행, 슬관절 하방에서 GSV와 합류한다. Cockett perforators(Posterior tibial perforating veins, cockett I, II, III, 24 cm perforating vein)는 posterior arch vein과 posterior tibial vein을 연결한다. 따라서 이러한 perforator reflux발생 시 하퇴의 GSV보다는 posterior arch vein에 주로 정맥류가 발생하게 된다. Anterior tributary vein(anterior accessory great saphenous vein)은 anterolateral leg을 drain하여 patella아래로 주행하여 슬관절 하방에서 GSV으로 합해진다.
3) Branches in thigh: Anterolateral branch (anterior accessory great saphenous vein), posteromedial branch(posterior accessory great saphenous vein), superficial accessory great saphenous vein이 있고 GSV와 합류한다. Interspahenous vein(ascending superficial vein, vein of Giacomini)은 LSV에서 나와 슬와부에서 상방으로 진행하여 대퇴 상부의 내측에서 posteromedial branch를 통하여 GSV와 합류한다.
4) Saphenofemoral junction : GSV는 서혜인대 3 cm하방 부근으로 common femoral vein으로 합류된다. GSV가 fascia를 관통하는 부위를 fossa ovalis라고 하는데 이 부위에 superficial external pudendal vein, superficial epigastricvein, superficial circumflex iliac vein등이 있다. 좀더 하방으로 anterior lateral branch와 posterior medial branch가 GSV로 유입된다. 이러한 지류정맥이 GSV와 합류하는 confluence양상은 일정하지 않고 상당이 다양하다.
2. 소복재정맥(Lesser, Small saphenous vein; LSV)
정상 정맥의 직경은 3 mm
1) LSV의 주행 경로 : 발등의 외측에서 dorsal venous arch로 시작하여 lateral malleolus 뒤쪽으로 주행하여 gastrocnemius head사이로 하퇴의 정중선을 따라 주행하여 슬와부에 이른 다름 popliteal vein이나 GSV등으로 합류된다.
2) Branch of LSV: 하퇴에서는 posterolateral branch가 있고 대퇴에서는 anterior thigh circumflex vein, posterior thigh circumflex vein, intersaphenous vein(vein of Giacomini)등이 있다. 약 15%에서 Vein of Giacomini를 통해 LSV와 GSV가 연결되고 다른 여러 가지 조그만 communicating vein(intersaphenous vein)이 존재한다.
3) Termination: LSV의 termination위치는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약 57%는 proximal popliteal fossa에서 popliteal vein과 합류하고 33%에서는 보다 위쪽으로 주행하여 femoral vein과 합류하거나 대퇴의 후방 내측으로 주행하여 GSV에 합류한다.
3. Perforating veins (PV)
하지의 superficial system과 deep system 을 연결하는 PV는 크게 direct PV와 indirect PV로 나눌 수 있다. Direct PV는 superficial vein과 deep vein을 직접 연결되는 정맥으로서 비교적 일정한 해부학적 위치를 가진다. 반면 indirect PV는 muscular venous channel을 통하여 서로를 연결하는 것으로 해부학적 위치가 불규칙적이다. 실제로 둘을 엄격히 분류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에는 64-155개가 존재하고 thigh, leg, foot의 분포 비율은 1:2:8이다. 정상 직경은 1-2 mm이다. 대부분은 아주 작은 크기여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것은 많지 않다.
1. Foot perforators: 아홉 개 정도의 direct PV가 있다.
1) Medial ankle perforators(perforator of Kuster or May); GSV와 dorsalis pedis vein 또는 medial plantar deep vein을 연결한다.
2) lateral ankle perforators(perforator of Kuster or May); LSV와 dorsalis pedis vein 또는 lateral plantar deep veins을 연결한다.
2. Medical calf perforators: 정맥류 환자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 Cockett I
2) Cockett II
3) Cockett III
Cockett I, II, Ⅲ은 Post arch vein과 post tibial vein을 연결한다.
4) Proximal paratibial perforator
3. Posterolateral calf perforators
1) Peroneal PV; 하퇴의 후방 외측 부위의 원위부에 위치하고 LSV와 peroneal vein을 연결한다. 발목 외측에서 5-7 cm 상방에 Bassi's Perforator가 있고 12-14 cm 상방에 12 cm perforator가 있다.
2) Perforator at the gastrocnemius point
3) Perforator at the soleus point
4. Thigh perforators
1) Dodd's PV; GSV와 proximal popliteal vein을 연결한다.
2) Hunterian PV; GSV와 distal femoral vein을 연결한다. Saphenofemoral junction은 정상인 경우에 medial thigh 정맥류의 흔한 원인이 된다.
4. Lateral Subdermic Venous System (LSVS)
Lateral venous system은 슬관절의 위 아래로 하지의 외측을 따라서 분포하고 있는 작은 내경의 정맥계이다. 정상적인 정맥혈의 흐름은 아래쪽으로 진행하여 lateral thigh perforator와 슬관절 부위의 교통정맥으로 흐르게 된다. 대부분 젊은 여성에서 다른 표재 정맥인, GSV 혹은 LSV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대퇴부위 후외측에 뚜렷한 telangiectasias, venulectasias를 보이며 burning등의 국소적인 증상을 일으킨다 (Fig. 4). 그리고 정맥류는 드물다
Fig. 4
Lateral Subdermic Venous System (LSVS)
5. Fascial Envelope
하지는 높은 압력의 calf muscle pump를 둘러 싸고 있으며, deep venous system을 지지하는 deep fascia와 superficial fascia를 가지고 있다.
Deep fascia는 하지 전체를 elastic stocking처럼 보호하는 dense fibrous membrane이며 심부정맥과 표재정맥 사이에 기능적인 경계 역할을 한다. 근육의 superficial fiber에 부착되어 있으며 비교적 얇고 교통 정맥 위에는 없다. 결국 하지 근육을 둘러싸고 있으며 쉽게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근육이 수축하면 높은 압력을 유지하게 하여준다.
Superficial fascia는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super-ficial layer of loculater fatty tissue(Camper 's fascia)와 deep layer of collagen and elastic tissue(Scarpa 's fascia)이다. Superficial fascia는 saphenous trunk를 둘러싸고 있으나 saphenous branch는 superficial fascia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GSV보다는 branch가 쉽게 확장되어 정맥류를 형성하게 된다.
Ⅲ. 정맥부전의 분류
1994년 2월 American Venous Forum의 후원 하에 구성된 특별 위원회가 지금까지 진단과 치료방법에서 서로 다른 평가에 따른 혼란을 줄이고 세계적으로 통일된 보고방식을 만들려고 새로운 정맥부전 분류법을 개발하였다. 임상증상(C), 원인인자(E), 해부학적 분포(A), 기저병태생리학적 소견(P) 즉 CEAP분류에 기초한 만성정맥질환의 분류와 등급에 따른 합의를 하였다. 그 외에도 임상적 소견과 장애를 점수화하여 표시하였다.
1. Clinical classification(C0-6)
관찰소견에 의해서 무증상인 경우와 증상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 기록하며 높은 숫자일수록 증상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Table 1).
Table 1. Clinical classification
2. Etiologic classification(Ec, Ep or Es)
정맥의 부전상태를 congenital primary secondary로 나눈 것이다. Congenital은 태생 시나 좀더 시간이 지나서 확인된 것을 말하며 primary는 congenital아 아니면서 어떤 확인된 원인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Secondary는 acquired condition으로 deep venous thrombosis와 같은 알려진 병력적 원인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Table 2).
Table 2. Etiologic classification
3. Anatomy classification (As, D, P)
해부학적 진행도에 따라 superficial, deep, perforating으로 분류하였다.
한 질환은 이 세가지 정맥계를 단독으로 혹은 중복 침범할 수 있다 (Table 3).
Table 3. Segmental localization of chronic lower extremity venous disease
4. Pathophysiologic classification(Pr,o)
정맥부전의 임상증상이나 징후들은 역류, 폐색 또는 역류와 폐색이 같이 있는 경우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초음파 검사는 분류에 도움이 되면서 진행정도와 역류의 시간도 알 수 있다 (Table 4).
Table 4. Pathologic classification
5. Scoring of venous dysfunction
만성 정맥부전에 대한 scoring system은 하지의 상태와 치료 후 결과에 대한 과학적 비교가 가능하게 한다. 3가지 요소로 이루어 지는데 1) 이환된 해부학적 분절의 수(anatomic score, Table 3), 2) 증상과 징후의 정도(Clinical score, Table 5), 3) Disability score (Table 6) 등이다.
Table 6. Disability score
IV. Pathophysiology of Varicose vein
정맥류의 발생원인은 원발성 혹은 이차성 정맥 판막 부전, 교통정맥 판막 부전, 유전적인 요인, 직업, 호르몬의 영향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가지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렵고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Theoretical Causes of Varicose Veins
Heredity
Race
Gender
Posture
Weight
Height
Occupation
Hormones
Estrogen
Progesterone
Pregnancy
Primary valvular incompetence
Congenital absence of venous valves
Decreased number of venous valves
Vein wall weakness
Aging
Incompetent perforating veins
Arteriovenous communication
Secondary valvular incompetence
Phlebitis
Deep vein thrombosis
Increased venous distensibility
Hormonally induced through pregnancy, systemic estrogens, and progesterones (concentration and ratio-dependent)
원발성(일차성) 정맥류는 대부분 선천성이고 또는 가족력을 가지고 있고 유전적인 정맥 구조의 이상으로 주로 원발성 정맥 판막부전으로 발생한다. 그 외에도 나이, 성별, 인종, 신장, 체중, 직업 등이 정맥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속발성(이차성) 정맥류는 심부정맥 혈전증의 후유증, 골반 종양, 임신, 선천성 혹은 후천성 arteriovenous fistula 때문에 발생하는 정맥류이다
1. Pathophysiologic Mechanisms of Venous Insufficiency
1. Failure of Valvular function
1) Hereditable defect in valve(primary venous insufficiency)
2) Hormonal effects(pregnancy)
3) Trauma/previous thrombosis, less common
2. Deep venous obstruction
3. Failure of muscle pump
일차성 정맥 판막 부전은 정맥류 발생에서 중요한 원인이다. William Harvey에 의하여 처음 기술되었는데 정맥 판막부전은 gravitational back pressure에 의하여 정맥을 확장시키고 따라서 정맥류가 발생한다. 판막 부전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며 판막 발생의 이상과 판막의 파괴가 중요하다. 원발성 판막기능부전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태생적으로 판막의 수가 현저히 적거나, 판막의 생성이 전혀 없는 경우, 정맥 벽이 약한 경우이다. 비교적 많이 보고된 Congenital valvular agenesis는 드물게 정맥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다. 이는 하지의 심부정맥 판막이 일부분 혹은 전부 생성되지 못한 것으로 우성유전으로 가족력을 보인다. 판막부전은 어린 나이에 발견되지만 사춘기를 지나서 임상 증상을 나타낸다. 발목 부위가 부어 오르고, 피부 궤양을 일으키며, 하지에 정맥혈이 고이게 되어 orthostatic hypotension을 일으킨다.
임신 기간 동안에는 정맥류의 발생이 매우 증가되는데, 호르몬(estrogen, progesterone)의 변화로 인한 정맥의 확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차성 판막부전에 의하여 정맥류가 발생된다. 임신 중에는 자궁과 난소정맥의 혈류량 이 증가되어 장골정맥으로 혈류량이 증가되고, 비대해진 자궁은 대퇴정맥을 압박하여 혈액의 흐름에 장애를 주어서 정맥내의 혈류량 증가와 압력의 증가에 의하여 정맥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임신 중 정맥류는 first trimester에 70-75%, second trimester에는 20-25%, third trimester에는 1-5%에서 발생하여 혈류량 증가와 자궁비대에 의한 혈류량 장애요인 보다는 호르몬의 영향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호르몬의 영향은 정맥벽의 팽활근을 이완시키고 콜라겐을 softening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밝혀져있다. 임신 중에 발생한 정맥류는 80-90%가 분만 후 8주 이내에 자연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임신과 관련하여 발생한 정맥류의 치료는 elastic bandage를 이용한 대증 요법을 시행하고 적어도 12주를 경과한 후에도 계속 지속될 경우에 치료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심부정맥혈전의 후유증으로 심부정맥이 재 개통되면서 심부정맥의 판막부위에 백혈구 침윤 등 염증현상으로 판막이 파괴되어 심부정맥 부전 즉, 발목부위에 정맥성 고혈압이 지속되고 천공정맥으로 압력이 파급되면 판막기능이 상실되고 결과적으로 표재정맥으로 까지 심부정맥의 압력이 전달되어 정맥류가 발생한다. 심한 경우에는 정맥성 고혈압으로 하지에 부종이 지속되고 피부가 경화되며 발목주위에 과색소 침착 및 피부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심부정맥 폐쇄에서는 표재정맥의 판막이 정상이고 calf muscle pump의 기능도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혈액을 품어 올릴 수 있다. 그러나 하지 정맥의 outflow tract인 심부 정맥이 막히게 되어 정맥의 압력이 올라가고, 내경이 확장되어 이차적인 판막 부전을 일으키고, 전달된 압력은 교통정맥 판막 부전을 유발하여 정맥류를 발생시킨다.
Muscle pump의 장애는 하지 정맥의 혈액을 움직일 정도의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neuromuscular disease에서 정맥의 압력이 상승하고, 정맥 내경이 확장되어 이차성 판막 부전에 의하여 정맥류가 발생된다.
교통정맥의 판막 부전은 주로 외상에 의해서 혈전이 형성되고 혈전이 재 개통된 후에 판막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된다. 근육 수축 시 교통정맥 판막 기능부전으로 심부정맥에서 표재정맥으로 혈류가 역류하여 국소적인 정맥류가 발생한다. 대복재-대퇴 합류부(saphenofemoral junction)에 위치하는 판막에 기능부전이 없이 31%에서 대복재정맥을 따라서 정맥류가 발생되고, 소복재-슬와 합류부(saphenopopliteal junction)에 위치하는 판막에 기능 부전이 없이 21%에서 소복재정맥을 따라서 정맥류가 발생된다는보고가 있으며, 이는 교통정맥의 판막 부전증이 정맥류의 발생에서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 심부정맥내의 압력의 증가로 정맥류를 심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복강내 종양에 의해서 정맥이 눌리거나, 장골동맥에 의해서 정맥이 눌리는 iliac vein compression syndrome, 복압이 상승될 수 있는 배변습관, 양성 전립선 비대증, 꼭 쪼이는 옷, 의자를 주로 사용하면서 다리를 꼬고 앉는 습관, 저섬유질 음식, 비만 등도 유관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2. Varicose vein을 일으키는 reflux (빈도 순에 따라서)
a. Superficial truncal vein," typical reflux" (approximately 70% of all cases)
- Junctional incompetence : saphenofemoral or saphenopopliteal junction (Fig. 5)
- Secondary reflux in the valves within the saphenous vein
b. Perforator incompetence: 심부정맥의 높은 압력이 saphenous vein으로 전달되어 secondary saphenous incompetence
c. Reflux in the valves within tributaries of GSV, often secondary to saphenofemoral junction or pudendal incompetence
d. Atypical pattern such as anomalous drainage of the LSV in the posterior medial saphenous branch vein(Vein of Giacomini)
e. Deep vein, prior DVT or valvular trauma, agenesis, secondary deep vein valvular failure from vein dilation
f. Congenital anomalies: persistent vein of Labbe reflux in patients with Klippel-Trenaunay Syndrome
정맥류를 일으키는 판막의 기능부전은 정맥혈의 역류가 일어나면서 retrograde circuit가 형성되는데 4개의 요소를 가진다; 1) source of downflow from deep to superficial veins at high level, 2) pathway of incompetence running down the limb, 3) re-entry points where superficial downflow joins the deep veins, 4) return pathway provided by the deep veins and the musculovenous pumping mechanisms (Fig. 5, 6).
Source of downflow의 가장 흔한 장소는 대복재-대퇴 합류부, 소복재-슬와 합류부, 교통정맥 판막 이상 부위 등이 있고, 보다 적은 빈도를 보이는 경우로는 ovarian vein via pelvis veins, crossover incompetence from opposite saphenous stump, pubic or inguinal vein due to iliac vein obstruction, superficial vein acting as collaterals due to DVT 등이 있다.
Incompetence pathway는 downflow source에서 시작된 역류가 진행되는 course를 일컫는데, GSV경우 trunk를 따라 진행하다가 무릎 하방에서는 분지쪽으로 진행하여 pumping mechanism 하방에서 심부정맥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판막기능의 이상경로는 일정하지 않고 크기, 범주, 유형이 다양하여 나타날 수 있다. 비교적 흔히 접할 수 있는 유형으로는 GSV의 antero-lateral branch를 따라 대퇴부의 anterolateral쪽에, postero-medial branch나 superficial external pudendal branch를 따라서 대퇴부의 posteromedial 쪽에 형성되는 정맥류를 볼 수 있다. 심부정맥 혈전증에 의해서 속발되는 정맥류는 혈전이 발생된 정도와 위치, 혈전의 용해 정도에 따라서 심부정맥의 부전의 형태가 결정되고 증상이 달라진다. 흔히 발견되는 정맥류의 유형은 tibiopopliteal과 femoropopliteal 폐색 시는 GSV과 LSV을 통하여 부행혈류가 이루어지고, 장골정맥 폐색 시는 external pudendal vein, superficial epigastric vein, 골반내의 정맥등으로 이루어진다.
Re-entry points는 표재정맥으로 역류된 혈액이 venous pump function이 이루어지는 하방에서 다시 심부정맥으로 유입되는 지점으로 종아리나 족부에 위치하는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교통정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Return pathway는 심부정맥으로 돌아온 혈액이 muscu-lovenous pumping mechanism에 의해서 초기 역류 되었던 지점에 이르는 경로를 말한다. 정맥류에서 역류되는 혈류의 속도와 양, 역류된 혈액을 심부정맥의 pumping mechanism과 return pathway가 처리하는 정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것과 관련되는 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다. 즉 역류 지점에서의 정맥압, 역류경로를 이루는 정맥의 크기, 판막, musculovenous pump activity 등이다. 유입되는 혈액량이 많거나 pump function이 떨어지거나 return pathway에 폐색이 동반될 때 역류되는 혈액을 심장쪽으로 처리하는 속도가 늦어지게 되고 정맥내 압력은 상승하게 되어 venous stasis와 이로 인한 다양한 후유증이 발생하게 된다.
Fig. 5
The retrograde circuit of superficial vein incompetence in a standing patient. (A) Standing still. (B) On contraction of muscle. (C) On relaxation of muscle.
Fig. 6
A typical pathway of superficial vein incompetence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