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4 우연히 발견된 비장동맥류의 미세코일을 이용한 색전술 Coil Embolization of Incidentally Noted Splenic Artery Aneurysm

김지창 , 전재수
Korean J Interv Radiol 2017;24(1):4.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7

1가톨릭의대 대전 성모병원 영상의학과


  • 112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Embolization, aneurysm, splenic artery
한글 초록
83세 남자가 건강검진 도중 우연히 발견된 약 2.2cm 크기의 비장 동맥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저자들은 비장 동맥의 개통을 유지 시키는 스텐트 도움 코일 색전 또는 비장 동맥을 막으면서 동맥류를 고립시키는 비장 동맥 근위부와 원위부의 미세코일 색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비장동맥 원위부로 유도 철선이 통과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미세 코일을 이용하여 동맥류 내강과 인접한 근위부 비장동맥을 모두 색전하였다. 추적 CT에서 비장의 경색소견 등의 합병증 없이 동맥류 내강이 성공적으로 코일 색전 되었기에 시술 과정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n 83-year-old man was admitted with a incidentally detected 2.2-cm sized splenic artery aneurysm on the routine health exam. We planned stent assisted coil embolization to maintain splenic artery patency or coil embolization of distal and proximal splenic artery of aneurysm to isolate the aneurysmal sac. However, guide wire did not pass through the aneurysm to the distal splenic artery. Inevitably, aneurysmal sac and adjacent proximal splenic artery was totally embolized with microcoils. Follow-up CT after 3 days showed compactly coil-packed aneurysm without complication such as splenic infarction. We want to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Introduction
비장 동맥 동맥류는 드물지는 않지만 크기가 커서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기저 질환이 없는 83 세 남자 환자가 건강 검진에서 우연히 2.2cm 크기의 비장 동맥 동맥류가 발견되어 미세 코일 색전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Case report
증례 83세/ 남자 임상소견 과거력상 특이 소견이 없는 83세 남자가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비장 동맥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검사실 소견에서 특이소견 없었다. 진단명 Splenic artery aneurysm 영상소견 영상소견 조영증강 CT 상 비장동맥 중간 부위에서 기시하는 2.2cm 크기의 동맥류가 관찰되었다(Fig 1).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대퇴동맥을 천자하여 6 Fr 유도 카테터(Ansel, Cook, Bloomington, IN, USA)를 삽입하고 복강동맥을 선택하여 시행한 동맥조영술에서 비장 동맥 중간 부위에서 기시한 큰 크기의 동맥류가 관찰되었고 비문 부위에 좀더 작은 크기의 동맥류가 하나 더 보였다(Fig. 2). 5Fr 카테터(RHR, Cook, Bloomington, IN, USA)를 비장동맥에 위치시키고 여러 방향에서 동맥촬영을 시행한 결과 동맥류의 목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미세 카테터(Excelsior, Stryker neurovascular, Fremont, USA) 와 미세 유도 철사(Synchro-14, Stryker neurovascular, Fremont, USA)를 이용하여 동맥류 내강을 지나 비장동맥 원위부까지 미세 유도 철선을 진입 시키려 하였으나 미세 유도철선이 동맥류 내강에서 꼬이면서 장시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동맥류 원위부로 통과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무리한 유도 철사 조작은 동맥류 파열을 일으킬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미세 코일을 이용하여 동맥류 내강과 동맥류 근위부를 색전하기로 계획하고 미세 카테터를 동맥류 내강으로 진입시켰다. 먼저 GDC 코일(Target 360 detachable coil, Stryker neurovascular, Fremont, USA) 두 개를 이용하여 틀을 잡고(Fig. 3) 내부를 여러 개의 다양한 크기의 미세 코일(Interlock, Boston scientifics, Cork, Ireland)을 채웠다. 동맥류 근위부의 비장동맥까지 색전 후 시행한 복강 동맥 조영사진에서 동맥류 내강은 거의 조영제가 채워지지 않고 원위부 비장동맥은 측부 혈관을 통해 조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3). 추적관찰 시술 4일째 되는 날 시행한 조영증강 CT 사진상 동맥류 내강을 채우고 있는 미세 코일이 보이고 비장경색 등의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4).
Fig 1
Arterial phase of contrast enhanced CT shows a 2.2-cm sized aneurysm originated from the mid portion of the splenic artery.
Fig 2
Celiac angiogram shows a tortuous splenic artery with a large aneurysm and another small sub-centimeter aneurysm in splenic hilum.
Fig 3A
Two GDC coils were used for initial framing (A) and multiple variable sized microcoils were inserted into the aneurysm sac sequentially.
Fig 3B
Final completion arteriography (B) demonstrated totally occluded splenic artery and compactly coil-packed aneurysmal sac.
Fig 4
Follow-up CT after 4 days demonstrated completely coil-packed aneurysm sac without contrast filling. Splenic infarction was not noted.
고찰
비장 동맥 동맥류는 복부 대동맥과 장골 동맥 동맥류 다음으로 흔한 복강내 동맥류이며 동맥 조영검사에서 0.8%의 빈도로 보인다. 대개는 작고 (2cm 이하) 증상이 없으며 비장동맥의 중간부위와 원위부에서 많이 발견된다. 파열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3-9%) 치료되지 않을 시 사망률이 높다(10-25%).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지름이 2cm 이상이거나, 임신 또는 가임기 여성에서 발견된 경우, 동맥류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이고 이때는 파열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수술 또는 인터벤션 치료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최근 카테터를 이용한 코일 색전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비장동맥의 혈류를 유지시키는 피복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도 좋은 결과를 보이지만 구불구불한 혈관 주행으로 인해 스텐트 설치가 어려운 경우가 있고 스텐트 설치 후에 혈전이 생기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동맥류가 비문에 위치하거나 원위부 비장 동맥에 위치하는 경우 비장경색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인터벤션 치료보다는 수술적 치료를 먼저 고려해야 한다. 미세코일 색전술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비장 동맥을 완전히 막는 경우와 동맥류 내강만 코일로 색전하여 비장동맥 혈류를 유지시키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대개 동맥류의 양쪽 비장 동맥을 코일로 막아 (sandwich technique) 동맥류를 고립시키는 방법을 많이 쓴다. 하지만 본 증례에서처럼 동맥류의 원위부로 미세 카테터의 진행이 어려운 경우는 동맥류를 포함한 근위부 비장 동맥을 색전하는 방법을 쓸 수 도 있다. 본 증례의 경우 유도 철사가 동맥류 내강에서 꼬이면서 더 이상 원위부 비장 동맥으로 진행하지 않았고 동맥류 내강안에서 무리한 유도철사 조작은 동맥류 파열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어 몇 번의 시도 후에 동맥류 내강 색전을 결정하였다. Li Er-Sheng 등에 의하면 두가지 방법을 비교했을 때 비장 동맥을 완전히 색전한 경우에 추적 검사에서 비장의 용적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유의 있게 감소하였고 백혈구, 혈소판, 간기능 수치 등 다른 소견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참고문헌
1. Li ES, Mu JX, Ji SM, et al Total splenic artery embolization for splenic artery aneurysms in patients with normal spleen. World J Gastroenterol 2014; 20:555-560 2. Akbulut S, Otan E. Management of Giant Splenic Artery Aneurysm: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Medicine (Baltimore) 2015;94:e1016 3. Madoff DC, Denys A, Wallace MJ, et al. Splenic Arterial Interventions: Anatomy, Indications,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Potential Complications. RadioGraphics 2005;25:S191-211 4. Kim BS, Do HM, Razavi M. N-butyl cyanoacrylate glue embolization of splenic artery aneurysms. J Vasc Interv Radiol 2004:15:91-94 5. Reed NR, Oderich GS, Manunga J, et al. Feasibility of endovascular repair of splenic artery aneurysms using stent grafts. J Vasc Surg 2015;62:1504-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