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6 당뇨발 환자에서 percutaneous technique을 이용하여 deep venous arterialization을 성공한 사례

권요한 , 강남규 , 김진우 , 원제환 , 최태원 , 백지현
Korean J Interv Radiol 2022;29(1):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아주대학교병원

  • 259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요약
Hind foot wound가 있는 당뇨발 환자에서 dorsalis pedis artery와 lateral, medial plantar artery가 잘 유지되지 않는 경우 percutaneous technique을 이용한 deep venous arterialization을 이용하여 flow를 만든 증례
키워드
당뇨발, DVA, pDVA, valvulotome
서론
Deep venous arterialization의 경우 당뇨발 환자에서 흔히 desert foot이라고 불리는 distal run-off가 없는 환자에서 angioplasty가 불가능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미국에서는 LimFlow라는 device를 이용하여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 약 8만여 case를 치료하였으나 국내에는 해당 device가 없어 실정에 맞게 필요한 여러 device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시술로 balloon angioplasty가 불가능한 환자에서 유일한 치료방법으로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하던 outback re-entry device를 사용하지 않고 percutaneous approach로 시행한 deep venous arterialization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본 증례는 66세 남환으로 당뇨와 periphe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과거력이 있으며, non-healing amputation stump 및 hindfoot wound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Fig 1
이번 증례에서 시행하게 될 'percutaneous approach로 시행하는 deep venous arterialization (pDVA)'의 대략적인 개요를 나타낸 그림이다.
Fig 2
먼저 환자의 plantar vein을 puncture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sheath(5Fr, Radiofocus™, Terumo®, Tokyo, Japan)를 삽입하여 pDVA를 시행할 위치 (posterior tibial artery와 posterior tibial vein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곳)를 정했다.
Fig 3
Shunt를 만들 위치에 arterial side 및 venous side에 각각 side by side로 balloon을 위치시켰다.
Fig 4
fluoroscopy 유도 하에 micropuncture needle을 이용하여percutaneous하게 두 balloon을 관통하여 puncture에 성공하였고 만들어진 fistula를 통해 wire를 통과시켰다.
Fig 5
fistula에 serial balloon dilatation을 시행하여 stent-graft(6x60mm, Covera plus™, BARD®, NJ, USA)를 삽입하였다.
Fig 6
기존에 시행하던 방법대로 balloon을 이용하여 vein의 valve를 제거하려고 하였으나 시간이 오래 걸리고 valve도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는 경험을 바탕으로 valvulotome(Lematire valvulotome™, Lematire®, MA, USA) device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Fig 7
위 사진에서 보이는 device는 LeMaitre valvulotome이고, over-the-wire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은 있지만 사용시 매우 효과적으로 valve를 제거하고 시간도 매우 적게 걸리는 장점이 있어 이번 증례에 사용하였다.
Fig 8
Final angiography상에서 새로 만들어진 fistula를 통해 arterial flow가 강하게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distal foot flow가 매우 좋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찰
이번 증례는 tibial vein으로 접근하였던 기존 방식의 pDVA와 달리 plantar vein에서 접근함으로써 기존 방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foot에 가까운 distal flow 까지 개선할 수 있는 시술 방법으로, hindfoot wound가 있는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었다는 점과 outback re-entry device를 쓰지 않아서 비용 면에서 경제적이었다는 점, 그리고 valvulotome device를 사용하여 vein의 valve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시간도 절약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1. Fadi A. Saab, George Pliagas, et al. Percutaneous Deep Venous Arterialization: Treatment of Patients with End-Stage Plantar Disease. Journal of the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 Interventions. Vol.1 Issue 6. Published online: August 26,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