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Arteries, therapeutic blockage.
Bile ducts, hemorrhage.
임상소견
GB cancer로 PTBD를 시행한 지 20일 만에 시작된 출혈
영상소견 및 시술방법
Left intrahepatic duct를 통하여 PTBD tube가 insertion되어 있는 상태였으며 celiac angiogram 상에서 출혈의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Fig.1). PTBD tract에 safety wire를 남겨두어 tract를 확보해 놓은 상태에서 PTBD tube를 제거하고 다시 angiography를 시행하였을 때 PTBD tract으로 조영제가 extravasation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Fig.2). 출혈부위는 PTBD tube와 left hepatic artery branch가 cross하는 부분으로 생각되었다. Microcoil (MWCE-18-1, 5-0-Hiral, Cook, Bloomington, USA)를 사용하여 left hepatic artery branch를 embolization 시켰다. Post-embolization angiogram상에서 더 이상의 출혈은 보이지 않았다(Fig.3).
Fig.1
A PTBD catheter was inserted through the left hepatic duct. Celiac angiography could not demonstrate bleeding focus.
Fig.2
PTBD catheter was removed after placing the guide wire. Left hepatic angiogram showed extravasation of contrast material along the guide wire (arrows)
Fig.3
Embolization of segmental branch of left hepatic artery was done with microcoils(arrow). Post-embolization angiogram showed no evidence of bleeding(arrow).
고찰
PTBD를 시행한 지 20일 만에 출혈이 시작되었던 증례로 PTBD tube에 의한 chronic irritation에 의하여 hepatic artery가 injury를 받은 것이 그 원인으로 생각된다. Angiography를 시행할 때 출혈부위를 찾을 수 없었는데 이는 PTBD catheter 자체가 tamponade의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출혈 부위를 찾고자 할 때 tract에 safety wire를 남겨두고 catheter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Hemobilia가 hepatic vein이나 portal vein과의 fistulous tract이 원인일 경우 대개는 drainage catheter의 size를 큰 것으로 바꾸면 tract 내에서 tamponade가 될 수 있다. 그러나 hepatic artery와 fistulous tract이 있거나 pseudoaneurysm이 있는 경우의 대부분에서 transcatheter embolization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1. Monden M, Okamura J, Kobayashi N, et al. "Hemobilia after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rch Surg 1980; 115:161-164.
2. Hoevels J.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nn Radiol 1986; 29:148-150.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