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Bile duct, stenosis or obstruction.
Bile duct, prosthesis.
Bile duct, interventional procedure.
임상소견
4년전 위암으로 수술받은 경력이 있으며 5일전부터 심한 소양증을 호소하여 복부 CT를 시행한 바 총담관 주위에 림프절 종대와 담도 확장이 확인되었다.
진단명
Obstructive jaundice due to periductal metastatic lymphadenopathy.
영상소견
PTC 상 총담관이 담관주위 림프절종대에 의하여 rat-tail 양상으로 폐쇄되었고 근위부 담도와 담낭은 심히 확장되었다(Fig.1).
Fig.1
PTC shows complete obstruction of distal common bile duct with rat-tail appearance at its distal end, and marked dilatation of proximal biliary trees.
시술방법 및 재료
우선 PTCD 시술로 약 1주일간 담즙을 배액하여 담도의 염증 및 부종을 소실시킨 후 Terumo guidewire로 폐쇄부위를 통과시켜서 십이지장까지 진입시켰다. 그리고 시술 도중 guidewire가 외부로 빠질 가능성에 대비하여 다른 "safety wire"를 다시 십이지장내까지 진입시켰다. 그 후 10mm, 4cm Blue max balloon catheter (Meditech Co.)를 협착부위 내강에 위치시키고 약 3~4회에 걸쳐 2~3분간씩 10기압으로 협착부위를 확장시켰다(Fig.2). 그리고 Balloon catheter를 뺀 후 8mm, 7cm Endocoil stent (Instent Co.)를 guidewire를 따라 삽입하고 deploy한 바 개통되었으나 그 부위에 경도의 협착부위가 남아있었다(Fig.3). 4일 후에 추적검사를 한 바 협착부위는 넓어지고 stent 내강이 정상으로 개대되어 담도내의 조영제가 스텐트를 통하여 십이지장내로 잘 배출되었다(Fig.4).
Fig.3
Cholangiogram immediately after stent placement: mild segmental stenosis of the stent still remains.
Fig.4
Four days later, the stent is well expanded and the contrast media drains well into the duodenum through satisfactorily patent stent.
고찰
자가팽창성 스텐트는 악성담도폐쇄시 일시적 완화를 목적으로 이용된다. 여러종류의 스텐트가 쓰일 수 있지만 가장 많이 보고된 것은 Wallstent이다. 스텐트는 평균 개존율은 4~9개월인데, 스텐트가 재폐쇄되는 것은 종양이 스텐트내로 자라나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스텐트 양단으로의 종양의 과다한 증식때문이다. 수술이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는 생존기간이 짧으므로 환자가 생존해 있는 기간동안은 대개 스텐트 개통성이 유지된다. 그러나 서서히 자라는 담도암 같은 경우에는 스텐트가 다시 막힐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참고문헌
1. Davids PHP, Groen AK, Rauws EAJ et al. "Randomized trial of self-expanding metal stents versus polyethylene stents for distal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Lancet 1992; 340: 1488-1492.
2. Boguth L, Tatalovic S, Antonucci F et al.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treatment with self-expandable stainless steel endoprosthesis."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Radiology 1992; 15: 351-355.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