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2. 섬유근성 이형성에 의한 신동맥 협착의 경피경관 혈관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of Renal Artery Stenosis in Fibromuscular Dysplasia

김찬교 , 도영수 , 주성욱 , 박홍석 , 김재형 , 주인욱
Korean J Interv Radiol 1997;4(1):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1997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진단방사선과
  • 97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Hypertension, renovascular, Arteries, transluminal angioplasty, Renal arteries, fibromuscular dysplasia
증례
38세 /남자
임상 소견
3년 전 교통사고로 골절 수술 중 고혈압 (200/100mmHg) 이 발견되었고 최근 시행한 oral captopril test 에서 plasma renin activity가 6.01에서 12.27로 증가하고 aldosterone이 235.1로 상승되어 있어 renovascular hypertension으로 진단됨.
진단명
섬유근성 이형성에 의한 신혈관성 고혈압
영상소견
복부 대동맥 조영사진상 좌측 신동맥의 근위부에 심한 국소 협착이 보임 (Fig. 1).
Fig. 1
Abdominal aortogram shows severe stenosis (arrow) in the proximal portion of left renal artery.
시술방법 및 재료
우 대퇴동맥을 경피 천자한 후 6Fr 동맥 sheath을 삽입 하였고 5Fr Cobra catheter를 사용해 좌 신동맥을 선택하였고 Heparin 5000 unit와 Nitroglycerin 200 microgram 을 동맥 내 주입하였다. Rosen guide wire (Cook, Bloomington, USA) 를 협착 부위보다 원위부에 넣고 직경이 6mm, 길이가 4cm인 balloon catheter를 협착 부위에 위치 시키고 2회에 걸쳐 30초 동안 8기압으로 가압하여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Fig. 2). 혈관성형술 후에 시행한 복부대동맥 조영사진 상 10%정도의 잔존 협착이 남아 있으나 이를 통한 현저한 혈류의 개선이 있었다. 시행 직후 혈압은 140/80mmHg으로 항고혈압약은 끊지 못하고 용량을 줄여 혈압을 조절하였으며 4개월 후 혈압 조절이 잘 되어서 항고혈압약을 끊었다.
Fig. 2
Balloon angioplasty was done with balloon catheter (6mmx4cm) at stenotic portion.
Fig. 3
Post-angioplasty aortogram shows 10% or less residual stenosis.
고찰
Fibromuscular dysplasia (FMD)는 전체 신혈관성 고혈압의 원인 중 20-50%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동맥경화 다음으로 많다. 주로 젊은 여성에게 많고 동맥경화성 신동맥 협착과 달리 신기능의 점진적 손실이 흔하지 않으며, 경피경관 혈관성형술은 초기의 선택적 치료로 성공율이 매우 높다. McCormack 등은 동맥혈관 벽의 연관된 원발 병소에 의해 FMD를 분류하였고, 조직학적 소견과 혈관조영 소견을 상호 연관시켰다. Intimal fibroplasia, medial fibroplasia, fibromuscular hyperplasia, subadventitial fibroplasia로 분류하였다. 이 중 medial type이 가장 흔하며, medial & subadventitial type이 경피경관 혈관성형술에 반응이 좋은 반면, intimal type은 반응이 좋지 않으며, subadventitial & intimal 병변은 guidewire가 통과하기가 용이하나, medial 병변의 경우 guidewire의 통과는 어렵지만 일단 통과하면 치료에 반응이 좋다고 하였다. 여러 문헌의 보고에 의하면, 경피경관 혈관성형술은 혈관인성 고혈압으로 치료받던 FMD 환자의 94%에서 기술적으로 성공하였고, 기술적으로 실패한 경우를 제외할 때 49%가 치료되었고, 43%는 호전, 92%는 시술 후 이점을 얻었다고 하였다. 1차 개통율은 85%, 2차 개통율은 93%로 경피경관 혈관성형술의 지속성은 우수하였고, 10년 예측 장기 개통율은 87%로 보고되고 있다. 경피경관 혈관성형술의 합병증은 5-10%로 다양하고 드물지만, 중요한 합병증은 혈관성형술 후 신동맥의 혈전증, 신동맥 파열, 색전증 등이 있고, 보다 흔하지만 심각하지 않은 것들은 한 개의 신동맥 가지의 폐쇄 또는 경축, 혈관성형술 인접 부위의 국소 경축 등이 있으며, 또한 경피천공 부위의 큰 혈종, 신경 손상 등이 있다.
참고 문헌
1. Baum S, Pentecost MJ. Abram's angiography. 4th ed.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97:311-316 2. Luscher TF, Lie JT, Stanson AN, Houser ON, Hollier LH, Sheps SG. Arterial fibromuscular dysplasia. Mayo Clin Proc 62: 931-952, 1987 3. McCormack LJ, Poutasse EF, Meaney TF , et al. A pathologic arteriographic correlation of renal artery disease. Am heart J 1966; 72: 188-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