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6. 근위부 공장 협착: 자기팽창형 니티놀 스텐트와 송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 Stenosis of Proximal Jejunum: Treatment with Self-expandable Nitinol Stent and Song Stent

이창수 , 김홍
Korean J Interv Radiol 1998;5(1):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1998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105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Intestine, stenosis or obstruction Intestine, inteventional procedure
증례
42세/남자
임상소견
위암으로 2년 전 total gastrectomy with esophagojejunostomy를 시행받고 지내던 중 점차 진행되는 식후 구토를 주소로 입원하여 복강 암종증을 진단 받음.
진단명
근위부 공장 협착, 복강 암종증
영상소견
상부 위장관 조영술상 근위부 공장의 협착을 보이고 그 근위부 공장과 행장이 관찰됨(Fig. 1A, B)
Fig. 1.
A & B UGI shows total gastrectomy with esohagojejunostomy (A) and stenosis (arrows) of proximal efferent loop of jejunum(B).
시술방법 및 재료
구강 인두부를 lidocain sprays jelly를 이용하여 국소 마취한 후 5Fr cobra catheter (cook, Bloomingkn, USA) 와 0.035" guide wire를 이용하여 협착부를 통과하여 Amplatz super stiff guidewire(cook, Bloomingkn, USA) 를 공장에 위치시키고 직경 21mm 길이 8mm 풍선 카테터 로 협착부위를 넓혔다. 그후 20mm×10mm의 self ex- pandable Nitinol stent (covered Ultraflex, Meditech,USA)를 협착 부위에 위치시키고 시행한 상부 위장관 조명 술상 비교적 좋은 개통을 보였다(Fig. 2A). 그러나 10일 후 상복부 불쾌감과 구토를 호소하여 다시 시행한 상부 위장 관 조영술상 stent의 migration이 관찰되어(Fig. 2B) 직경 21mm 길이 8mm 풍선 카테타로 협착부를 다시 넓히고 직경 20mm 길이 10mm의 송 스텐트의 원위부 팽창부를 절단하고 난 다음 기존의 스텐트와 원위부가 겹치게 송스 텐트를 위치시켰다(Fig. 3A). 그 후 시행한 상부 위장관 조영술에서 충분한 스탠트의 확장과 조영제의 원활한 통과를 브이고 증상이 없어짐(Fig. 3B).
Fig. 2.
A. UGI just after Nitinol stent insertion shows fully expanded stent with good passage of barium. B. UGI 10 days after stent insertion shows migration (arrow) of stent with poor passage of barium.
Fig. 3.
UGI after song stent insertion shows fully expanded stent (A) with good passage of barium(B).
고찰
식도, 위식도 이행부위 또는 위공장 문합부의 협착의 치료에는 여러 종류의 풍선이나 금속성 스텐트가 사용되고 있고 위절제술 후 근위부 공장의 협착에도 풍선이나 스탠 트가 이용되고 있다. 위 공장 문할부나 근위부 공장 협착부 치료에 있어서는 위 공장 문합부와 식도가 이루는 각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식도는 비교적 고정되어 있으나 위공장 문함부는 비교적 movable하여 송 스탠드의 rigid introducer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본 증례에서는 좀더 flexible한 self expandible Nitinol stent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시술후 스탠트의 migration이 발생하여 재시 술시에는 위 전절제술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식도공장 이행 부의 각도가 비교적 직선을 이루고 있는 송 스탠트를 사용 하였으며 시술시 원위부 팽대부를 절단하여 스탠트의 원위 부를 기존의 스텐트와 겹쳐서 시술하였다. 본 증례와 같이 위 전절제술 후 근위부 공장에 발생한 협착의 치료에 있어서는 식도공장 문함부의 각도가 비교적 직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introducer가 rigid한 단점 가지고 있으나 근위부와 원위부에 팽대부가 있어서을 Migration이 비교적 적은 송 스텐트를 사용할 수 있을 것 생각된다
참고문헌
1. Cwiklel W. Stridbeck H, Tranberg K, et al. Malignant strictures Treatment with a self expandable nitinol stent. Radiology 1993,187:661-666 2. Song HY, Do YS Han YM, et al. Covered, expandable esophageal metalic stent tubes experiences in 119 patients. Radiology 1994:689-695 3. Holt PD, Lange EE, Shaffer HA Strictures after gastric sur gery: Treatment with fluoroscopically guided balloon dila tation AJR 1995:164:895-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