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Mediastinum interventional procedure Esophageal perforation, complications Stomach, gastrostomy Stomach, interventional procedure
임상소견
내원 10일전 식사중 생선가시가 목에 걸려 경한 흉통과 연하곤란이 생긴 후 상기 증상이 점차 심해져졌으며 내원 2일 전부터는 고열이 발생했다.
영상소견 및 시술방법
내원시 시행한 단순흉부 사진에서 상종격동에 공기수 민상이 보였으며 CT에서는 상종격동내 식도 주위에 공기 수면상을 보이는 농양이 있었다(Fig. 1A, B), 내원 당일 초음파 유도하에 흉골 상부를 통해 접근하여 21G Chiba needle로 천자한 후 0.018 hair wire를 위치시킨 후 투시하 에서 8.5F 배액 카테타를 위치시켰으며(Fig. 2A) 시술 중 약 50ml의 녹황색 농을 배농 하였다. 종격동 농양의 배액 과 함께 경피적 위루술을 실시하여 이를 통한 영양공급을 시작하였다. 시술 7일 후에도 고열과 흉통이 지속되어 시행한 CT에서 상종격동의 농양은 없어졌으나 전종격동에 공기를 함유한 농양이 새로 보였으며(Fig. 3A) 투사하여 서 흉골하부로 접근하여 카테타 배농을 시행했다(Fig. 2B). 이후 24시간 이내에 고열이 떨어졌으며 추저 누공조 영술에서 전종격동 농양과 식도와의 연결이 확인되었다. 상종격동 농양은 26일 후, 전종격동 농양은 25일 후에 각각 카테타를 제거하였으며 이때 경피적 위부술 카테타도 함께 제거하고 경구 식이를 시작하였다. 퇴원 전에 시행한 CT 에서 종격동은 정상소견을 보였다(Fig. 3B),
Fig. 1.
A. Chest PA view shows a cavitary lesion with air-fluid level in the superior mediastinum. B. CT scan shows a well defined cavitary lesion with air-fluid level posterolateral to the esophagus.
Fig. 2.
Sinogram reveals well defined. superior (A) and anterior (B) medias- tinal abscess cavities
Fig. 3.
A. CT scan obtained seven days after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superior mediastinal abscess reveals a newly depicted abscess in the anterior mediastinum. B. CT scan obtained after removal of catheters shows no residual abscess in the anterior mediasinum.
고찰
종격동 농양은 주로 식도 파열이나 외상 또는 수술 후에 생기며 환자는 매우 위중한 상태인 경우가 많고 예후가 대 제로 불량하다. 경피적 카테타 배농숨은 흔히 수술이나 재 수술까지의 일시적 증상 호전의 목적으로 시술되나 증례와 같이 수술할 필요 없이 완치를 보일 수도 있다. 다방성 병변인 경우가 흔하여 2개 이상의 배색 카테타를 위치시켜야 할 경우가 많으며 심장, 대혈관 등의 중요 장기가 밀집한 지역이어서 시술 시 실기간의 영상유도가 필수적이며 투시, 초음파, 필요에 따라서는 CT 유도가 필요하다. 대부분 의 환자에서 즉각적인 해열 등의 증상호전을 보이나 전반적인 예후는 동반된 질환으로 인해 불량하다. 주로 응급의 로 시술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혈액응고 장애가 없는 한 시술할 수 있으며 혈액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시술의 위험과 효과를 고려하여 시술될 수 있다. 식도 파열로 인한 종격동 농양의 경우에는 농양 배액술과 함께 식도 내용물 이 파열 부위를 통해 계속적으로 종격동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시술이 동시에 시술되어야 한다.
경구적 영양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에서의 영양 공급은 협 관을 통한 방법보다 위장관을 통한 영양 공급이 안전하며 효과적이다. 위장관을 통한 영양 공급은 그 원인에 따라 경 비위관, 수술적 또는 경피적 위투술, 식도내 스텐트 삽입술 등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경비위관은 단기간의 영양공급 의 방법으로는 적당하나 장기간의 영양공급 시에는 환자에 게 불편함이 많으며 수술적 위투술은 비교적 간편하고 효 과적이긴 하나 전신 마취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수술에 따 본 창상파열, 위천공, 출혈, 기도흡입, 복막염 등의 합병증 이 있을 수있어 최근에는 전신 마취가 필요 없고 합병증이 적은 비수술적 방법인 스탠트 삽입술이나 경피적 위부술이 주로 시술된다. 그러나 스탠트의 경우 상부 식도의 협착에 는 이용하기가 어려우며 양성 식도 협착의 일시적 영양공 금의 방법으로는 부적당하다. 이러한 경우 경피적 취루술 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이며 중재적방사선학적 방법은 내시경의 도움이 없이 시술할 수 있어 더욱 간편하다. 시술에 따른 중요한 합병증으로는 카테타 이탈, 복막염, 봉합부 위 누출, 주요장기의 손상, 출혈, 그리고 카테타의 폐쇄, 기도흡입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매우 드물다.
참고문헌
1. Maroney TP, Ring EJ, Gordon RL, Pellegri CA. Role of interventional radiology in the management of major esophageal leaks. Radiology 1989:170:1055-1057
2. Gobien RP. Stanley JH, Gobien BS, Vujic 1, Pass Hl. Percu taneous catheter aspiration and drainage of suspected mediastinal abscesses. Radiology 1984:151:60-71
3. Neff C. Lawson DW. Boerhaave syndrome: interventional rad iologic management. AJR 1995;145:819-820
4. 김태호, 이호석, 김용주, 김태헌, 서경진, 강덕식, 경피적 위주술 27예의 보고, 대한방사선 의학회지 1991:27(3): 377-382
5. Roverie JH, Longtain F. Percutaneous gastrostomy. Interven tional radiology. New York: Thieme, 1990: 741-745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