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Lung hemorrhage, Pseudoaneurysm pulmonary, Pulmonary arteries therapeutic blockade, Tuberculosis pulmonary
임상소견
약 50cc객혈을 주소로 본원을 내원하여 결핵으로 진단받고 치료 및 검사 시행중 컴퓨터단층촬영상 동맥기에 우하엽에 약 25mm크기의 조영제가 충만되는 종괴를 확인하고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진단명
Pulmonaiy tuberculosis with hemoptysis, abnormal bronchial arteries and pseudoaneuiysm of the pulmonary artery (Rasmussen)
영상소견
폐동맥조영상 posterobasal segment에 위치한 가성동맥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색전 후 시행한 폐동맥조영상에서 폐동맥류로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추후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상에 술전에 주입된 조영제가 가성동맥류 안을 채우고 있고 동맥기상 조영제 충만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여 성공적인 색전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Fig. 1.
Fig. 1. The CT scan shows contrast filling mass in the right lower lobe during the arterial phase.
시술방법 및 재료
우측 대퇴동맥 및 정맥을 각각 천자한 후 5F catheter를 사용하여 2개의 우측기관지동맥을 Gelfoam cube를 사용하여 색전한 후 다시 5F catheter로 폐동맥 류를 초선택하여 5mm stainless steel coil(Gianturco, Bloomington Inc., Cook Int.) 로 공급폐동맥 기시부에 색전하였다.
Fig. 2.
Fig. 2. A. The selective pulmonary angiogram shows the pseudoaneurysm supplied from the posterobasal segment of the right lower inferior pulmonary artery.
B. The pseudoaneurysm is no more visible in the postprocedural angiogram.
Fig. 3.
Fig. 3. A, B. Two right bronchial arteries supplying the abnormal vessels in the right middle and lower lobes were embolized with the Gelfoam cubes.
고찰
Rassmussen 동맥류는 원발성 혹은 전이성 폐암종, 기관지 확장증, 폐농양, 급만성 폐염증성병변, 흉부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폐동맥의 미란의 결과로 일어날는 가성동맥류이다.
동공을 가지는 만성결핵의 경우 부검상 약 4%정도의 빈도로 보고되어 있다. 기관지동맥 및 기타 체동맥들이 정상이거나 또는 비정상적 혈관들의 성공적 색전에도 불구하고 다량의 객혈 (>300mL/24hr) 을 보이는 경우 반드시 Rasmussen 가성동맥류 파열에 의한 출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폐순환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필요한 경우 코일을 사용한 색전술이 유용한 치료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1. Remy J, Lemaitre L, Lafitte JJ, Vilain MO, Michel JS, Steenhouwer F. Massive Hemoptysis of Pulmonary Arterial Origin: Diagnosis and Treatment. AJR 1984;143:963-969
2. Santelli ED, Katz DS, Godlschmidt AD, Thomas HA. Embolization of Multiple Rasmussen Aneurysms as a Treatment of Hemoptysis. Radiology 1994;193:396-398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