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8 경피경간 담배액술 및 스텐트 삽입술 후 발생한 가성 동맥류의 색전술 Embolization of Arterial Pseudoaneurysm after PTBD and Stent Placement

김병극 , 이창수 , 김홍
Korean J Interv Radiol 1999;6(1):8.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1999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진단방사선과
  • 84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Aneurysm, hepatic. Bile ducts, interventional procedure. Arteries, therapeutk blockade
증례
F/61
임상소견
총수담관을 침범한 담낭암으로 총수담관에 PTBD와 금속 스텐트 삽입을 시행한 지 1 달만에 혈액 담즙이 발생.
진단명
경피경간 담배액술 및 스텐트 삽입술 후 우간동맥 분지에 발생한 가성 동맥류
영상소견
우측 간내담관을 통한 담관조영술상에서 common hepatic duct의 협착이 보여 (Fig. 1) 하나로스텐트 (10mm x 10cm)를 삽입하였다 (Fig. 2). 1개월후 추적 담관조영술에서 스텐트 내에 충만결손이 보이고, 간내담관과 연결된 다수의 간내농양이 조영됨. 또한 간동맥 분지와 aneurysmal sac이 조영됨 (Fig. 3). 간동맥조영술상 우간동맥에 가성동맥류가 관찰됨 (Fig. 4).
Fig. 1.
Fig. 1.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m shows luminal narrowing of CHD by tumor invasion.
Fig. 2.
Fig. 2. Hanaro stent(10cm 父 1cm) is placed in right intrahepatic duct to common bile duct.
Fig. 3.
Fig. 3. Follow-up cholangiogram 1 month after shows multiple filling defects in intrahepatic duct and common bile duct due to blood clots and multiple small liver abscesses (arrowhead). Note the filling of contrast material into branch of right hepatic artery(large arrow) and multiple aneurysm like sacs(small arrow).
Fig. 4.
Fig. 4. Celiac arteriogram demonstrates a pseudoaneurysm (arrow) of the right hepatic artery.
시술방법 및 재료
5 Fr Cobra catheter (Terumo, Tokyo, Japan) guide하에 3Fr Microferret(COOK, Bloomington, USA) catheter로 가성동맥류의 입구를 선택한 후microcoil (Tornado 3/2 5EA, Tornado 5/2 1 EA, MWCE-18-3-A 2EA)를 사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Fig. 5).
Fig. 5.
Fig. 5. Angiogram obtained after microcatheter is located at neck portion of the pseudoaneurysm shows extravasation of contrast material into common bile duct(arrow).
Fig. 6.
Fig. 6. Arteriogram obtained after embolization shows multiple microcoils occluding pseudoaneurysm. Note the lack of contrast material extravasation into the common bile duct.
고찰
PTBD등에 의한 간혈관의 합병증으로는 가성 동맥류, 동-문맥단락, 동-정맥 단락, 혈종등이 있으며 한 연구에 의하면 약 26%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하고 있다. 대개는 증상이 없는 혈관 손상이 흔하지만 큰 혈관을 손상시키는 경우 합병증 발생률이 증가된다. 이중 간동맥의 가성 동맥류는 대개 시술 1-2개월후에 발생하는 지연성 출혈로 드물지 않게 발생하며 주로 우간동맥에 생긴다. 가성 동맥류에 의한 증상은 대개 비특이적이나 감염에 의한 mycotic aneurysm이나 pressure erosion에 의해 주변 위장관이나 담도계, 호흡기계 등으로 파열되는 경우 위장관 출혈이나 혈액 담즙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동-정맥 단락이나 동-문맥 단락 등은 대개의 경우 증상이 없고 자발적 치유되나 가성 동맥류에서는 대부분 출혈이 멈추지 않아 색전술이 필요하므로 동맥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 복강 동맥 조영술로 출혈 부위를 확인하고 microcoil, cyanoacrylate, detechable balloons, gelatine sponge pledgets 등을 사용한 동맥 색전술을 시행하는데 이때 가성동맥류의 원위부와 근위부를 모두 막아 측부 순환에 의한 재출혈을 방지해야한다.
참고문헌
1. Scott JS, Scott OT, Dimitri SM, Antrony CV, Floyd AO. Hemobilia after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treatment with transcatheter embolotherapy. J Vasc Interv Radiol 1992;3:345-352 2. Claude LH, Olivier E, Olivier D, Geraldine S. Arterial complication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6:19:160-164 3. Finley JW, Franklin DP, Indeck M. Rupture of a traumatic common hepatic artery aneurysm. J Trauma 1998:45:637-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