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Aneurysm, splenic
Arteries, interventional
interventional procedures
임상소견
만성 중증의 알코올 중독증 환자로 심한 복부통증과 빈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E RCP상 ampulla of Vater를 통해 십이지장 내강으로 피가분출되었다.
진단명
Splenic artery pseudoaneurysm caused by chronic pancreatitis
영상소견
복부 CT상 췌장염에 의한 췌장주위의 침윤과 가성낭종, 그리고 왼쪽 늑막삼출이 보였고(Fig. 1), 복강동맥 혈관조영술 상에서 비장동맥은 심한 만곡을 보였고, 근위부에 작은 동맥류가 관찰되었다(Fig. 2).
Fig. 1.
Fig. 1. Contrast enhanced CT scan shows a small cystic lesion at the pancreatic body, and peripancreatic infiltration. Left pleural fluid collection is noted.
Fig. 2.
Fig. 2. Celiac arteriogram shows a small pseudoaneruysm arising at a tortuous splenic artery.
시술방법 및 재료
5F Yashiro catheter (Cook, Bloomington, IN, USA) 로 복강동맥 혈관조영술을 시행한 후 0.035 Terumo 유도철사를 이용하여 도관을 동맥류 낭의 원위부에 위치시킨 후 microcoil, 5 mm in diameter/5cm in length (Bloomington, IN, USA) 2개를 이용하여 원위부의 색전술을 시행하였고, 같은 방법으로 동맥류 낭의 근위부에 같은 크기의 microcoil 2개를 이용하여 근위부 색전을 시행하였다.
색전술후 시행한 복강동맥 혈관조영술상 동맥류는 보이지 않았고 측부순환을 통해 새전부위 이후의 비장동맥이 조영되었다(Fig. 3). 색전술후 더 이상의 출혈은 보이지 않았고, 빈혈도 호전되었다.
시술시 처음에 사용한 8mm/5cm 크기의 coil(Cook, Bloomington, IN, USA)은 혈관 내경에 비해 직경이 너무 커서 펴진 상태로 비장동맥의 말단부위로 이동하였다. 20일 후 시행한 복부 CT상 비장에 국소적 경색부위가 보였다(Fig. 4).
Fig. 3.
Fig. 3. Postembolization celiac arteriogram shows complete occlusion of the pseudoaneurysm.
Fig. 4.
Fig. 4. Follow up CT scan shows a metallic density at pancreatic body and focal splenic infarction
고찰
만성췌장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가성 동맥류는 비장동맥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수술적으로 가성동맥류를 치료할 수 있으나 췌장암에 의한 변화로 인해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수술보다는 경피적 경관색전술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경피적 경관색전술을 시행할 때는 색전물질의 선택이 중요한데 가성동맥류의 벽은 연약하고 시술시 압력이 높아져 파열의 위험이 있으므로, 색전물질로는 적당한 압력으로도 색전이 가능한 코일, 분리형 풍선, 아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환자와 같이 비장동맥에 가성동맥류가 있는 경우는 처음에 동맥류 원위부의 비장동맥에 코일을 위치시킨 후 동맥류경부를 지나서 동맥류의 근위부까지 색전을 시도하면 동맥류 자체를 막지 않아도 치유가 가능하다. 또한 색전원위부의 비장동맥은 위대망막 복개통로(gastroepiploic arcade) 등의 측부순환을 통해 혈류가 유지되기 때문에 색전술 후 합병될 수 있는 비장 경색이나 농양의 발생은 피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Lipuma JP, Sachs PB, Sands MJ, Stuhlmiller S, Herbener TE. Angiography/interventional case of the day. Splenic artery pseudoaneurysm associated with pancreatitis. AJR 1997; 169:259, 262-3.
2. 김인섭, 오주형, 윤엽. 내장가성동맥류: 경피경관색전술.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 36: 417-423
3. 한영민, 강성수, 이정민 등. 위십이장동맥 가성동맥류의 색전 시험: 1예보고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 35:55-58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