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9. 식도풍선확장술후 발생한 식도파열: 보존적 치료와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Esophageal Rupture after Esophageal Balloon Dilatation: Treatment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 Stent

권세환 , 오주형 , 윤엽
Korean J Interv Radiol 2000;7(1):9.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0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92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Esophagus, interventional procedure, Esophagus, perforation
증례
30세/ 여자
임상소견
Primary portal hypertension으로 진단된 환자로 Grade III-IV의 esophageal varix로 modified sugiura operation시 후 점차 심해지는 연하곤란을 주소로 내원.
진단명
수술후 식도 협착증
영상소견
식도조영술상 anastomosis부위에 양성 협착소견이 관찰됨 (Fig. 1).
Fig. 1
Esophagogram shows benign stenotic portion at anastomosis site.
시술방법 및 재료
10% lidocaine spray(Astra, Sweden)으로 환자의 구강을 마취시키고, 0.035 유도철사(Terumo, Tokyo, Japan) Berenstein도관으로 병변부위를 통과시킨 후 12mm, 4cm풍선도관으로 병변을 확장시킴. 풍선확장술 시행후 식도조영술상 확장부위에 type II transmural rupture소견이 보임 (Fig.2). 일주일간의 보존적치료후 다시 시행한 검사에서 transmural rupture가 소실되었음을 (Fig. 3) 확인하고Amplatz superstiff유도철사(Meditech/Boston scientific, Watertown, Mass)를 이용해 8cm, 16mm retrievable, covered 스텐트(Doosung, Seoul, Korea)를 협착이 있던 부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다 (Fig. 4). 다시 10일 후 스텐트를 제거하고 추적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Fig. 5) 협착이 호전되었으며, 환자는 이후 특별한 합병증의 소견없이 증상이 좋아지고 외래에서 추적관찰중이다.
Fig. 2
After balloon dilatation, esophagogram shows localized barium leakage which does not drain into esophageal lumen (transmural rupture).
Fig. 3
One week after balloon dilatation, follow-up esophagogram shows no more barium leakage
Fig. 4
Esophagogram obtained after stent placement shows good passage of barium through the expanded stent.
Fig. 5
Esophagogram after stent removal shows improvement of the stricture.
고찰
풍선확장술의 합병증으로는 통증이 가장 많으며, 출혈, 발열, 식도파열, 흡인성 폐렴등이 있다. 이중 식도파열은 가장 위험한 합병증으로 조기에 진단하여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환자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풍선확장술에서 식도파열은 1-3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식도파열유형은 Type I-intramural rupture, Type IItransmural rupture, Type III-mediastinal leakage로 분류하며, 이중 Type I, II rupture, 임상적으로 안정된 상태이거나 instrumental perforation with NPO state등은 보존적 치료의 적응증이 되나 Type III rupture, unstable mediastinitis, pleural effusion, subsequent respiratory failure 및 septic shock 등이 동반되었을 경우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풍선확장술후 식도파열이 있을 때 다시 풍선확장술을 시행하면식도파열의 위험성이 증가되는지의 여부는 아직 알려진바 없다. 하지만, 저자들은 Type II 식도파열이 있었던 환자에서 식도파열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다시 풍선확장술을 시행하지않고 보존적 치료와 retrievable, covered 스텐트를 사용하여 좋은 치료효과를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강성권. Balloon Dilatation for the Treatment of Esophageal Stricture. 혈관 및 중재적 방사선과학 증례집 제 5호 1998:1-6 2. William SL, Michael GS, Vicente CD, Joseph WP. Ruptures & Perforations of the Esophagus: The Case for Conservative Supportive Management. Ann Thorac Surg 1978;25(4):346-350 3. Michel L, Grillo HC, Malt RA. Operative and nonoperative manage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s. Am J of Surg. 1980;194:5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