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0. 진행성 위암으로 위아전절제술 후 수입각과 수출각의 재발성 악성 협착에 있어서 자가팽창성 나이티놀 스텐트 삽입술/ Placement of Polyurethane-covered Retrievable Self-expandable Nitinol Stent in the Afferent and Efferent Loop Recurrence after Subtotal Gastrectomy

이광훈 , 송호영 , 김준형 , 서태석 , 성규보
Korean J Interv Radiol 2000;7(1):1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0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과
  • 97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Stents and prostheses Gastrointestinal tract, neoplasms
증례
43세 / 여자
임상소견
10개월 전 진행성 위암으로 위아전절제술과 Billoth II 문합술을 받은 환자로 1개월 전부터 2일에 한 번씩의 구토와 6kg의 체중감소가 있었음.
진단명
수입각과 수출각을 침범한 재발성 위암에 의한 부분폐쇄
영상소견
수용성 조영제 (Ultavist 300; Schering, Ansung, Korea)를 이용한 상부 위장관 조영술상 수입각과 수출각에 각각 4-cm, 6-cm 길이의 심한 부분협착이 있고 위 및 수입각의 확장소견이 있다 (Fig. 1).
Fig. 1
UGI showed severe partial strictures involving both afferent and efferent loop proximal portion near the anastomotic site. Gastric and afferent loop distension were associated.
시술방법 및 재료
수입각과 수출각을 5-F Davis catheter (Cook, Bloomongston, Ind)와 Terumo guide wire(Radiofocus M; Terumo, Tokyo, Japan)로 각각 선택한 후 양측 모두 sizing catheter (Cook, Bloomongston, Ind)로 바꿔서 수용성 조영제를 분사하여 협착길이를 측정 (수입각 4-cm, 수출각 6-cm)한 후 super stiff J-tip guide wire (Meditech / Boston Scientific)로 바꾼 후 7-mm 외경의 스텐트 삽입기를 수입각과 수출각 모두에 삽입하여 (Fig. 2), 수입각에 16-mm/8-cm 스텐트 (Song stent, Stentech, Seoul, Korea)를 먼저 설치한 후 수출각에도 16-mm / 10-cm 스텐트를 설치하였다. 스텐트는 즉시 확장되었고 위 확장이 즉시 감소되었고 시술 도중 위에 저류되어 있던 수용성 조영제가 스텐트를 잘 통과하였다 (Fig. 3). 시술 후 구토는 해소되었고 죽을 먹는데 지장이 없었다. 1개월 추적 검사상 스텐트는 이동 없이 기능을 잘 하고 있었다 (Fig. 4).
Fig. 2
Two 7-mm outer diameter stent introducers were inserted in both afferent and efferent loop.
Fig. 3
Immediately after placement of the two stents, well expansion of the stents with good function was noted.
Fig. 4
One month follow-up UGI showed well expansion of the stents without migration.
고찰
위암 수술 후 문합부 재발에 의한 악성협착 시 재수술과 고식적 스텐트 치료를 할 수 있다. 본 증례는 CT상 악성복막파종이 의심되어 스텐트 치료를 하기로 하였다. 위아전절제술 후 Billoth I 문합부 재발이나 Billoth II 문합술에서 수입각 혹은 수출각 중 어느 한 부위의 재발에 있어서는 재발한 부위에만 쉽게 스텐트를 삽입하면 되겠지만, 본 증례는 수입각과 수출각 모두에 협착이 있었던 경우로서, 스텐트 삽입 시 주의할점은 한쪽 각에 스텐트를 삽입한 후 다시 다른 각에 스텐트 삽입기를 삽입하려 할 때, 수입각과 수출각이 근접해 있고 스텐트 이동 방지를 위해 스텐트 상 하방이 장개(flare)되어 있으므로, 두 번째 스텐트 삽입기가 진입할 때 먼저 넣은 스텐트를 변형시키거나 이동시킬 우려가 있고 또한 먼저 넣은 스텐트가 두 번째의 스텐트 삽입기의 진입을 방해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입각과 수출각 모두에 7-mm 스텐트 삽입기를 먼저 삽입해 놓은 상태에서 한쪽 각의 스텐트를 설치하고 삽입기를 뺀 후 나머지 각의 스텐트를 쉽게 설치하였다.
참고문헌
1. Wayman J, Bliss R, Richardson DL, Griffin SM. Self-expanding metal stents in the palliation of small bowel stenosis secondary to recurrent gastric cancer. Gasrtointest Endosc 1998;47:286-290. 2. Cheung HY, Chung SC. Covered metal stent for tumor obstruction of efferent loop recurrence after gastrectomy. Surg Endosc 1997;11:936-938. 3. Nakane Y, Okumura S, Akehira K, et al. Management of intestinal obstruction after gastrectomy for carcinoma. Br J Surg 1996;83: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