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navigation Skip to main content
  • KSIR
  • Contact us
  • E-Submission

KJIR : Korean Journal of Interventional Radiology

OPEN ACCES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Articles

Case Report

Case 14. 수술후 발생한 양성 결장직장이행부 협착: 제거가 가능한 자가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Postoperative Benign Colorectal Stricture: Treatment with a Retrievable Expandable Metalic Stent

서태석 , 송호영 , 성규보 , 이광훈 , 김준형
Korean J Interv Radiol 2000;7(1):14.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00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102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중심단어
Rectum Colon, stenosis or obstruction Colon, interventional procedure Stents and prostheses
증례
59세/남자
임상소견
1개월 전부터 발생한 배변장애를 주소로한 환자로 2년전에 직장암절제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다. 대장조영술상 대장결장 문합부위에 협착이 있어 배변장애의 치료목적으로 2일전에 풍선확장술을 시행했으나 증상이 지속되었다.
진단명
Benign colorectal stricture at the anastomtic site after resection of the cancer
영상소견
풍선확장술을 시행한 후 증상이 지속되어 시행한 2일 추적검사로 시행한 대장조영술상에서 약 4 cm 길이의 협착이 결장직장문합부에서 관찰된다 (Fig. 1).
Fig.1
Colon study obtained before stent placement shows a stricture in the colorectal anatstomotic site despite of balloon dilatation at 2 days ago.
시술방법 및 재료
대장조영술로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한 후 길이 4 cm직경 10mm의 풍선(Ultra-thin Diamond Balloon Dilatation Catheter, Boston Scientific, Watertown, Mass)을 이용하여 병변을 확장하였다. 안내철선을 0.035-inch super-stiff Jtip guide wire(Medi-tech/Boston Scientific, Watertown, Mass)로 교환한 후 안내철선만 남긴 상태에서 풍선을 제거하고 9 mm 삽관기(Sooho Medi-tech, Seoul South Korea)를 이용하여 스텐트(Song Retrievable Colo-rectal Stent, Stentech INC, Seoul, South Korea)를 삽입하였다. 스텐트는 길이 6 cm 직경 26 mm의 크기로 나이티놀세선을 이용하여 원통형으로 만들었으며, 스텐트의 망사이로 점막이 과증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으로 피복하였다. 스텐트의 제거를 위하여 스텐트 하방의 내부에는 나일론세선으로 만들어진 당김줄(drawstring)이 부착되어있다. 스텐트는 시술 당시에는 부분적으로 팽창되었지만 1개월 추적검사에서 완전히 팽창되었다 (Fig. 2). 스텐트의 제거를 위해 0.035-inch 안내철선을 항문을 통해 삽입하여 끝을 하행결장에 위치시킨 후 이를 따라 확장기(dilator)와 함께 피포(sheath)를 스텐트의 근위부에 위치시켰다. 안내철선과 확장기를 제거한 후 피포내로 스텐트 제거용 카테터를 삽입한 후 스텐트 내에서 금속부분인 갈고리(hook)로 당김줄을 당겨 스텐트가 피포내로 접어들어오게 하여 피포와 함께 직장밖으로 제거하였다 (Fig. 3) 스텐트 제거 후 1개월 추적대장검사상 재협착의 소견은 없었고 (Fig. 4), 3개월 추적검사까지 고형변을 배변하였다.
Fig.2
Plain radiography obtained 1 month after stent placement shows full expansion of the stent.
Fig.3
Plain radiography obtained during removal of the stent 2 months after placement shows pulling the hooked stent out of the rectum.
Fig.4
Colon study obtained 1 month after removal of the stent shows improvement of stricture
고찰
대장폐색증은 말기 직장암이나 결장암 환자들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인데 수술이 불가능한 직장암이나 결장암 환자들의 증상완화를 위한 고식적치료로 최근에는 X-선 투시하의 금속스텐트의 설치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텐트는 설치후 제거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양성협착의 경우에는 스텐트를 설치하는데 많은 제한점이 있었다. 양성협착의 치료를 위해 스텐트를 설치하는 것은 결장이나 직장에서는 보고가 없었으나 기관과 식도에서는 스텐트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스텐트를 설치하고 2개월 후 제거용 갈고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시술은 합병증 없이 시술할 수있고 많은 수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여 기관과 식도의 양성협착 치료에 있어 스텐트 설치술이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어있다. 스텐트를 제거하는 시기는 스텐트가 너무 일찍제거되면 재협착의 발생가능성이 높고, 너무 늦게 제거되면 스텐트의 근위부와 원위부 말단위로 점막이 과증식되어 자라들어와 스텐트가 폐색될 가능성이 높아 2개월이 가장 적절하다.
참고문헌
1. Song HY, Shim TS, Kang SG, et al. Tracheobronchial strictures: treatment with a polyurethane-covered retrievable expandable nitinol stent-initial experience. Radiology 1999;213(3):905-12 2. Song HY, Park SI, Jung HY, et al. Benign and malignant esophageal strictures: treatment with a polyurethane-covered retrievable expandable metallic stent. Radiology 1997;203(3):747-52 3. Choo IW, Do YS, Suh SW, et al.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treatment with a flexible covered stent. Radiology 1998; 206(2):4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