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Ureter, interventional procedure/ Ureter, stents/ Ureter, injuries
임상소견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자궁절제술과 골반임파선 절제술(pelvic LN dissection)을 받은 후, 우측 옆구리에 위치한 배액 주머니(drainage bag)를 통해 소변 유출이 발생하요 우측 요관 손상과 손상에 의한 요관피부누공을 의심하고 우측 하행성 신우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진단명
Postoperative ureteral injury with uretero-cutaneous fistula
영상소견
우측 하행성 신우조영술을 시행한 결과 상부 요관의 사행성(tortous) 확장 소견과 조영제가 drainage tube를 통해 배액되는 소견이 보이며, 누공 이하 부위의 요관과 방광은 조영되지 않는 소견이 보였다 (Fig. 1).
Fig. 1
Right antegrade pyelogram shows extravasation of contrast medium through drain tube (arrow heads) at the fistula site (curved arrow) without passage into the distal ureter and the urinary bladder.
시술방법 및 재료
경피적 신루 설치술을 시행하고 신루를 통해 유도철사 (Terumo, Tokyo, Japan)를 넣은 후 요관이 좁아진 누공 부위를 통과하여, 유도철사를 방광까지 진행시켰다. 이 유도철사를 통하여 5 Fr Berenstein (Meditech, Watertown, U.S.A.) 도관을 방광까지 삽입한 후 유도철사를 Amplatz stiff guide wire(Meditech, Watertown, U.S.A.)로 교환하였다. 5 Fr 도관을 제거하고 Amplatz 유도철사를 이용하여 double-J 요관스텐트(Meditech, Boston, U.S.A.)를 설치하였다. 하행성 신우조영술상 조영제가 double-J 요관 스텐트를 통하여 원활하게 방광 내로 배액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 환자는 시술 후 배액주머니로 소변 유출이 점차 감소하여 3주 후 옆구리의 배액관을 제거할 수 있었다.
Fig. 2
Right antegrade pyelogram performed after stent placement shows adequate position of double-J ureteral stent and passage of contrast medium into the urinary bladder.
고찰
요관누공은 골반내 악성종양이나 근치적 골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외상, 신장 이식술 후에 생길 수 있다. 요관누공의 치료로서 경피적 요관 스텐트 설치술은 외과적 수술과 비교하여 70-82%의 비슷한 성공율과 훨씬 낮은 이환율이 보고되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요관 스텐트는 신우로부터 방광까지 뇨의 배출을 원활히 함으로써 요관내의 압력을 줄인다. 또한 누도관을 통한 뇨의 누출을 감소시키고, 손상된 요관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치유 후에 나타나는 반흔성 협착을 감소시킨다. 누공 치료에필요한 스텐트 삽입 기간은 약 4-5주 정도로 보고된다.
스텐트를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하행성과 역행성 접근방법이 있는데, 요도를 통한 역행성 스텐트 설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신루를 통한 하행성 접근시에는 대부분에서 유도철사가 성공적으로 통과된다.
이 증례는 하행성 신우조영술상 하부 요관과 방광이 조영되지 않았지만 유도철사의 적절한 통과에 의해 요관 스텐트를 설치할 수 있어서 수술 후 발생한 요관피부누공을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던 예이다.
참고 문헌
1. Castaneda-Zuniga WR, Brady TM, Thomas R, eds. Interventional Uroradilogy. In Castaneda-Zuniga WR, eds. Interventional Radiology.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7:1049-1354
2. 고강석, 김병근, 박병란, 김세종, 양동철. 좌측 요관 결석이 있는 환자에서 요관 절석술 실패 후 생긴 요관 누공의 치료. 혈관 및 중재적방사선과학 증례집 제5호 1998:93-94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